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권두화보
판권기
국정백서 편찬위원회/집필·감수·자문
발간사 / 조대엽 ; 이호승
머리글 / 임서정
한눈에 보는 문재인정부 국정 5년
목차
제1편 총론 69
제2편 일자리 중심의 국정운영 101
제1장 문재인정부 출범 당시 일자리 상황과 여건 102
1. 고용창출 여력 하락 104
2. 일자리 격차 심화 106
3. 취약계층 고용여건의 악화 110
제2장 일자리 중심의 국정운영 기반 마련 112
제1절 대통령 1호 지시, 일자리위원회 신설 112
제2절 일자리 중심의 국정운영 시스템 구축 115
제3장 정부 일자리정책의 방향 설정 121
제1절 문재인정부의 일자리 로드맵 설계 121
제2절 일자리위원회의 주요 활동과 역할 138
제4장 통계로 보는 문재인정부의 고용성과 160
1. 일자리의 양적 변화 160
2. 일자리의 질적 개선 166
3. 분배지표 개선으로 일자리 격차 해소 169
제5장 평가 및 향후 과제 171
제3편 일자리 창출 및 지원 177
제1장 민간일자리 창출 178
제1절 벤처·창업 활성화 178
제2절 신산업 일자리 창출 190
제3절 지역일자리의 새로운 방정식, 상생형 지역일자리 208
제4절 산단 대개조 224
제5절 중앙·지역 협업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232
제6절 사회적경제 활성화 247
제2장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 창출 259
제1절 국민의 필수 공공서비스 공급과 국가의 역할 259
제2절 국민의 생명·안전을 지키는 현장 민생공무원 확대 261
제3절 사회서비스일자리 270
제4절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및 정규직 전환 274
제3장 맞춤형 일자리 지원정책 281
제1절 청년 281
제2절 여성 306
제3절 신중년과 고령층 맞춤형 대책 319
제4절 장애인 일자리 대책 334
제4장 일자리사업에 대한 OECD 수준의 재정투자 343
제1절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투자 확대 343
제2절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 추진 346
제3절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성과 349
제5장 평가 및 향후 과제 354
제4편 고용안전망을 보다 두텁고 촘촘하게 363
제1장 일하는 모든 국민을 위한 고용안전망 강화 364
제2장 전 국민 고용보험 : 1차 고용안전망 강화 추천 368
제1절 고용보험 보장성 강화 368
제2절 전 국민 고용보험 단계적 확대 373
제3장 2차 고용안전망 국민취업지원제도의 도입 386
제1절 중층적 고용안전망 구축 필요성 386
제2절 한국형 실업부조의 전신(前身)인 취업성공패키지 387
제3절 국민취업지원제도 도입 389
제4장 직업능력개발 및 고용서비스 확충 400
제1절 국민 평생 직업능력개발 체계 구축 400
제2절 신기술 인력양성 기반 마련 407
제3절 새로운 훈련 지원방식 도입 및 인프라 혁신 415
제4절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정비 420
제5장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 426
제1절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 426
제2절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인력양성 투자 확대 435
제6장 평가 및 향후 과제 445
1. 일하는 모든 사람을 고용보험으로 보호 446
2. 고용보험 사각지대도 폭넓게 지원 446
3.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인재양성 및 평생직업능력개발 강화 447
4.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 447
제5편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고용충격 대응 449
제1장 코로나19 고용위기 상황과 신속한 대용체계 구축 450
제1절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충격 450
제2절 코로나19 고용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과 운영 452
제2장 코로나19 고용위기 대응 454
제1절 고용유지 지원에 총력 455
제2절 취약계층 생계안정 지원 강화 468
제3절 공공·민간일자리 창출 지원 477
제4절 고용위기에서 새로운 고용형태에 대한 보호 강화 487
제5절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 490
제3장 평가 및 향후 과제 493
제6편 노동존중사회 실현 499
제1장 노동기본권 보장 및 자율·상생의 노사관계 구축 500
제1절 국제적 수준의 노동기본권 보장 500
제2절 자율과 상생의 노사관계 구축 509
제2장 비정규직 차별시정 및 정규직 고용관행 정착 516
제1절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 개편 및 불합리한 차별 금지 516
제2절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528
제3장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격차 해소 537
제1절 추진 배경 537
제2절 최저임금위원회 논의 경과 540
제3절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 548
제4장 노동시간 단축과 일·생활 균형 실현 554
제1절 실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노사정 합의 554
제2절 주 최대 52시간제 도입을 통한 노동시간 단축 559
제3절 일·생활 균형과 육아·돌봄 지원 확대 571
제5장 취약계층 노동자들의 기본적 권익 보호 578
제1절 취약근로자 권익 보호 578
제2절 필수업무 종사자 보호 588
제3절 가사근로자 보호 제도 도입 593
제4절 고용형태 다양화에 따른 보호 대책 추진 597
제5절 근로감독관 확충 및 감독조직 개편 604
제6장 평가 및 향후 과제 608
제1절 평가 608
제2절 향후 과제 610
제7편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 조성 611
제1장 총론 612
제1절 산재사망사고 감축 추진 612
제2절 일하는 사람의 건강권 강화 615
제3절 산재보험의 사각지대 해소 및 보상 확대 616
제4절 산재예방 정책 및 집행역량 강화 617
제2장 산재사망사고 감축 618
제1절 산재사망사고 절반 감축 대책 추진 618
제2절 위험의 외주화 방지 등 법·제도 개혁 635
제3절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 및 시행 643
제4절 현장 중심 점검·감독 체계 정비 650
제5절 사업장 자율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지원 655
제6절 산업안전보건본부 신설 등 정책·집행역량 강화 660
제7절 평가와 과제 664
제3장 코로나로부터 안전한 일터 구축 669
제1절 사업장 내 코로나 확산 방지 강화 669
제2절 사업장 내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지원 확대 672
제4장 직업성 질병 예방에 대한 국민 관심 확대 675
제1절 직업성 질병 예방 강화 필요성 대두 675
제2절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를 통한 직업성 질병 예방 678
제5장 사회적 요구에 부응한 근로자 건강권 보장 강화 684
제1절 고객응대 근로자 보호 강화 684
제2절 산업보건 사각지대 해소 687
제6장 산재보험 적용 확대 및 보장성 강화 693
제1절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693
제2절 산재보험의 보상 확대 700
제3절 산재보험의 재활 기능 강화 705
제7장 평가 및 향후 과제 711
1. 평가 711
2. 향후 과제 714
제8편 사회적 대화로 당면 위기 극복 717
제1장 한국형 사회적 대화 기구 718
제2장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적극적 노력 722
제1절 계층 위원 위촉과 계층별 위원회 출범 722
제2절 취약계층의 이해를 대변하기 위한 주요 의제별·업종별 위원회 725
제3절 주요 의제별·업종별 위원회 729
제3장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의 노력 737
제1절 3·5선언과 7·28협약 737
제2절 주요 위기 업종별 사회적 대화 743
제4장 다양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 748
제1절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미래 일자리 대응 748
제2절 주요 현안 대응 752
제5장 평가 및 향후 과제 755
부록 : 정책일지 75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62654 | R 351.51 ㄱ428ㅁ | v.6 |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 이용가능 |
0002862655 | R 351.51 ㄱ428ㅁ | v.6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국가전략정보센터 / 서가번호: 7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