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판권기 3
서문 / 김한권 5
목차 8
일러두기 9
1. 2021년 중국정치 두 백년의 교차와 시진핑체제의 공고화 / 이남주 10
I. 세 개의 키워드 : 창당 100년,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중국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 11
II. 공산당 창당 100년 기념활동 13
1. 창당 100년 기념 활동의 진행 13
2. 창당 100년 기념 활동의 의미 - (공산)당 영도와 (공산)당의 자기혁명 20
III.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와 공동부유 30
1. 시진핑체제 출범 이후 사회주의 이념의 강조 30
2.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와 공동부유 33
3. 공동부유 추진의 중국사회(정치, 경제, 사회)에 대한 영향 40
IV. 20차 당대회 준비 43
1. 당대회 준비 과정과 20차 당대회의 의미 43
2. 역사결의와 20차 당대회를 위한 정치적·사상적 준비 47
3. 20차 당대회를 위한 조직적 준비 51
V. 결론 57
참고문헌 60
2. 2021년 중국경제 : 소강사회를 넘어 공동부유 경제로 갈 것인가? / 왕윤종 66
I. 서론 67
II. 2021년 중국경제 동향 70
1. 2021년 경제정책 방향 70
2. 거시경제 성과 72
III. 주요 경제정책의 방향과 시사점 89
1. 14차 5개년 계획 및 2035년 중장기 목표 89
2. 2021년 경제운영 10대 중점 업무와 이에 대한 평가 94
IV. 중국경제가 당면한 주요 이슈 105
1. 바이든 행정부하에서의 미중 경제전쟁 105
2.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과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112
3. 중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제정의 시사점 118
4. 헝다그룹의 사태와 금융시장 불안 121
V. 전망과 시사점 124
참고문헌 129
3. 2021년 중국 외교의 지향과 도전 / 이동률 132
I. 서론 133
II. 국제정세에 대한 시진핑 정부의 인식 136
1. '백년대변국'의 국제정세 인식 : 전략적 기회와 도전의 병존 136
2. '복합' 미중관계의 도전과 과제 142
III. 2021년 중국 외교의 지향과 전개 145
1. 체제 안정과 경제발전 우선의 외교 145
2.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 확대 : 지역, 글로벌 다자주의의 적극 참여와 주도 149
3. 국가와 체제의 이미지 개선 155
4. 대미 복합 외교 전략 : 우회, 내부 결집, 협력, 맞대응과 경쟁의 5중주 160
5. 우군 확보를 위한 전방위 외교 165
6. 일대일로의 외교전략으로의 적극 활용 168
IV. 2021년 중국 외교의 도전과 과제 172
1. 국내정치와 외교전략의 부조화와 딜레마 172
2. 일대일로의 종합전략으로의 진화와 딜레마 176
3. 우군 확보를 위한 전방위 외교의 한계 179
V. 전망과 시사 183
참고문헌 188
4. 2021년 미중 관계 평가 / 한석희 194
I. 서론 195
II. 바이든 정부와 시진핑 정부의 상호 전략 198
1. 바이든 정부의 대중전략 198
2. 시진핑 정부의 대미전략 201
III. 2021 미중 관계 주요 이슈 분석 205
1. 미중 고위급 회담 205
2. 미중 상호 제재 208
3. 바이든 행정부의 동맹 강화 전략 212
4. 대만 문제 217
5. 멍완저우(孟晩舟) 석방과 재동조화(Re-coupling) 제기 221
IV. 결론 225
참고문헌 227
5. 2021 한중 관계 : 변화와 지속 / 강준영 236
I. 2021년 한중 관계, 무엇이 문제인가? 237
II. 수교 30년, 한중 관계의 구조적 이해 242
III. 2021년, 한중 교류의 전개와 특징 249
1. 한중 정상/고위급 교류 249
2. 외교 장관 회담 252
3. 기타 협력 256
4. 2021년, 한국의 입장 258
IV. 2021년, 한중 관계 변수의 확장 260
1. 미국의 대중 압박 강화 261
2. 중국의 결사 항전 천명 265
3. 중국의 역사·문화 왜곡 도발의 심화 268
4. 경제력의 외교 무기화 고착 추세 271
5. 한국의 대중 인식 악화 274
6. '대만해협의 안정'과 '종전선언' 문제 277
V. 2021년, 한중 관계 결산 - 결론에 대신하여 280
참고문헌 286
6. 2021년 한중 경제관계 : 미중갈등과 산업경쟁력 변화의 도전과 대응 / 최필수 292
I. 서언 293
II. 한중 교역과 투자 추이와 현황 294
1. 교역 294
2. 양국의 투자 302
III. 통상 및 산업 협력 이슈 313
1. 통상부문 313
2. 산업부문 317
3. 금융부문 334
4. 정부 간 협의 340
IV. 한중 경제협력의 평가와 전망 344
V. 한중 리커플링 제언 349
1. 선택적인 디커플링과 포기할 수 없는 중국과의 경제협력 349
2. 중국의 산업경쟁력 부상에 따른 새로운 경제협력 모델 350
3. 신산업에서의 협력 - 디지털 플랫폼과 탄소절감 354
4. 정교한 공급망 관리 356
참고문헌 358
7. 2021년 북중 관계의 평가와 전망 / 박병광 362
I. 들어가는 말 363
II. 북중 동맹 60주년에 대한 평가와 의미 366
III. 2021년 북중 관계의 정치외교 동향 : 친서·축전 외교를 중심으로 374
1. 1월 축전 교환 374
2. 3월 친서 교환 376
3. 7월 축전 교환 378
4. 9월 축전 교환 381
5. 10월 축전 교환 382
6. 정치외교 동향 분석 383
IV. 2021년 북중 관계의 경제교류 동향 387
V. 결론 394
참고문헌 398
8. 2021 중국의 국방정책 : 해양작전 능력의 강화와 대만해협 분쟁 / 박창권 400
I. 서론 401
II. 중장기 정책 목표 및 군사전략의 발전과 강화 403
1. 중국의 국가전략과 핵심이익 403
2. 중국의 국방개혁 및 군사전략의 특성과 발전 408
III. 중국 해양작전 능력 및 첨단기술 능력 강화 412
1. 중국군의 우주작전 능력 및 정보·정찰·감시 능력 강화 412
2. 중국의 해·공군력 및 미사일 능력 강화 417
3. 중국군의 전략적 억제 및 대응 능력 강화 435
IV. 실전적 해양작전 훈련의 강화와 대만해협 분쟁 시나리오 440
1. 실전적 해양작전 훈련의 강화 440
2. 대만해협 분쟁 양상과 분쟁 시나리오 457
V. 평가 및 전망, 시사점 467
참고문헌 472
뒷표지 48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77096 | 327.52 -22-2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877097 | 327.52 -22-2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