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13
제1장 서론 2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제2절 연구 추진 체계와 전략 27
제2장 인공지능 윤리기준 자율점검표(안) 개발 30
제1절 개발의 필요성 및 목적 30
1. 개발의 필요성 30
2. 목적 및 방향 32
제2절 국내외 인공지능 윤리 자율점검표 동향 33
1. 유럽연합(EU)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위한 자체 평가 목록」 34
2. 영국 개인정보감독기구(ICO) 「인공지능 및 데이터 보호 안내지침」 37
3. 세계경제포럼(WEF)과 싱가포르 정부 「인공지능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조직을 위한 실행 및 자체 평가 안내서」 38
4. 스마트두바이 「인공지능 윤리 원칙 및 가이드라인」 39
5.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인공지능 개인정보보호 자율점검표」 40
6. 한국 금융위원회 「금융분야 인공지능 운영 가이드라인」 41
제3절 인공지능 윤리기준 자율점검표(안) 개발 과정 42
1. 개요 42
2. 문헌 및 사례 연구 44
3. 전문가 및 공개 의견수렴 58
제4절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안) 77
1. 구성 77
2. 핵심요건별 문항의 주요 특징 80
제5절 소결 및 향후 연구 방향 87
제3장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개발 기준(안) 연구 90
제1절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성격과 필요성 90
1. 인공지능 윤리의 특성 90
2.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필요성과 지향점 91
제2절 국내외 인공지능 교육내용 고찰 93
1. 국내 인공지능 교육 교재에서의 인공지능 윤리교육 현황 93
2. 해외 인공지능 교육 교재에서의 인공지능 윤리교육 현황 98
3. 소결 106
제3절 인공지능 윤리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탐구 108
1. 현행 교육과정과의 연계 108
2. 내용 구성 원칙과 방식 114
3. 주요 학습 주제와 학습 목표 118
4. 학습 목표 달성 기준 128
5.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교수ㆍ학습 방향 133
제4절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135
1. 의견수렴 및 공론화 과정 135
2. 주요 의견수렴 내용 및 결과 반영 136
제5절 소결 및 향후 연구 방향 142
제4장 인공지능 윤리 정책협력 플랫폼 구축 144
제1절 인공지능 윤리 정책협력 플랫폼 구축 배경 및 필요성 144
제2절 인공지능 윤리 정책협력 플랫폼 관련 해외사례 145
1. 유럽연합(EU) 「European AI Alliance & AI HLEG」 145
2. 독일 「Lernende Systeme(Learning Systems)」 147
3. 영국 「Centre for Data Ethics and Innovation(CDEI)」 147
4. 해외 사례 분석의 시사점 149
제3절 인공지능 윤리정책 전문가 협의회 149
1. 인공지능 윤리정책 전문가 협의회 목적 149
2. 인공지능 윤리정책 전문가 협의회 구성 및 운영 150
제4절 소결 및 향후 인공지능 윤리정책 거버넌스 운영 방향 157
1.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및 분과위원회 157
2. 시민사회 소통 채널 158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60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160
제2절 향후 연구 방향 164
제6장 정부정책 반영 현황 167
참고문헌 169
[부록 1] 2021년 11월 23일 '인공지능 신뢰성 제고를 위한 공개 정책세미나'에서 공개된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안)' 174
[부록 2] 2021년 11월 23일 '인공지능 신뢰성 제고를 위한 공개 정책세미나'에서 공개된 '인공지능 윤리교육 콘텐츠 개발 기준' 214
판권기 230
[그림 1-1] 본 연구의 목표 체계 27
[그림 1-2] 본 연구의 추진 체계 29
[그림 2-1] 인공지능 윤리 실천을 위한 민간의 노력 예시 31
[그림 2-2] 인공지능 윤리기준 자율점검표(안) 초안 도출 과정 43
[그림 2-3] 인공지능 윤리기준 자율점검표(안) 초안 예시 44
[그림 2-4] 워킹그룹 문항 매칭 작업 46
[그림 2-5] 핵심요건별 문항 검토 예시: 책임성 49
[그림 2-6] 영국 대입 시험 점수산정 결과에 대한 반발 53
[그림 2-7] 안면인식 시스템의 오용 사례 54
[그림 2-8] 자율점검표(안) 설명회 개최 60
[그림 2-9] 공개 정책세미나 개최 61
[그림 2-10]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안): 문항표 79
[그림 2-11]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안): 세부구성 80
[그림 2-12] EU ALTAI 온라인 툴킷 89
[그림 3-1] 인공지능 윤리기준 3대 기본원칙과 10대 핵심요건 92
[그림 3-2] 하버드 대학교 「Embedded ethiCS」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단계 103
[그림 3-3] 주제중심 내용 구성 구조 115
[그림 3-4] 활동중심 내용 구성 구조 116
[그림 3-5] 학교급 중심 내용 구성 117
[그림 3-6] 모듈중심 내용 구성 구조 118
[그림 3-7]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한 내용 구성 방식 119
[그림 3-8] 인공지능 윤리교육 과정의 기본관점 133
[그림 3-9] 인공지능 윤리교육 수업과정 전개 단계 134
[그림 4-1] 「EU Futurium」과 「The European AI Alliance」 146
[그림 4-2] '인공지능 신뢰성 제고를 위한 공개 정책세미나' 행사 사진 156
[그림 4-3] 인공지능 윤리정책 포럼 구성(안) 158
[그림 4-4] '포럼ㆍ분과위원회 ↔ 시민사회 소통 채널' 연계 운영계획(안) 15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