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4
Ⅰ. 들어가며 19
1. 배경 20
2. 목적 22
Ⅱ. 교육 체제 전환 요구와 동향 23
1. 교육 체제 전환 요구 배경 24
가. 뉴노멀과 교육 뉴노멀 24
나. 다양한 학습자 특성 고려 필요 32
다. 교육 분야, 묵은 모순 극복 필요 35
2. 최근 해외 교육 의제 동향: '더 나은 일상(better normal)' 관련 40
가. 세계 교육의 핵심 어젠다: 회복 탄력성 함양과 대응력 강화 40
나. 포스트 팬데믹 시대 유럽 각국의 교육 정책 대응 43
다. 미래교육의 핵심적 화두로서 미래 문해력 45
라.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 47
Ⅲ. 전환기, 교육의 시대정신 49
1. 생태적 조화 51
2. 디지털 사회에서의 존재성 이해 53
3. 격차 완화와 형평성 강화 58
4. 근원적 질문, 새 질문 제기 63
5. 다시, 국가 미래 전략으로서 교육 전략 67
Ⅳ. 미래교육 정책 방향과 주요 어젠다 73
1. 교육 정책 방향 75
가. 학습자 삶 중심 75
나. 유연성: 다원성 인정 및 재도전 기회 확대 76
다. 현장성: 지역 중심의 지속 가능한 혁신 추구 78
라. 연계ㆍ융합: 사회, 과학 등 다분야 연계 교육 정책을 통한 전문성 제고 79
마. 사회 통합: 교육적 가치 추구, 형평성 강화, 공(共)참여 확대 81
2. 주요 어젠다 83
가. 초ㆍ중등교육에서 선택권 확대 가운데 형평성 견지 83
나. 지역 소멸 위기 가운데 고등교육 지역 균형 발전과 경쟁력 강화 93
다. 25세 이상 성인(인구의 78%, '21)을 위한 교육 체제 개편 103
라. 교육에서의 디지털 전환 경험, 그 의미 해석을 통한 다음 단계 모색 113
마. 교육과 선발의 딜레마: 평가와 선발에서의 공정성 확보 123
바. 미래 지향적 유ㆍ초ㆍ중ㆍ고등교육 재정 투자 136
사. 국가교육위원회부터 지방교육자치와 학교자치까지, 교육 거버넌스 재구성 148
아. 교육 한류와 한국 교육의 세계 기여 157
Ⅴ. 나오며: '더 나은 삶으로서의 교육' 그리고... 168
[부록 1] 한국교육개발원 50년 주요 역할 개요 175
[부록 2] 향후 KEDI의 가능한 모델 탐색 179
참고문헌 191
Abstract 208
판권기 220
[그림 1] 전환기, 교육의 시대정신 6
[그림 2] 전환기, 교육 정책 방향과 주요 어젠다 7
[그림 Ⅱ-1] 2021년 성ㆍ연령별 사회적 고립도(만 19세 이상) 34
[그림 Ⅱ-2] 연령별 평생학습 참여율 35
[그림 Ⅱ-3] 자녀교육 성공의 의미(KEDI POLL 2010, 2021) 36
[그림 Ⅱ-4] 대응력과 회복력 강화를 위한 교육 정책 프레임워크 41
[그림 Ⅲ-1] 교육의 시대정신 50
[그림 Ⅲ-2] 21세기 인간에 대한 세 가지 도전 56
[그림 Ⅲ-3] 제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을 통한 변화 57
[그림 Ⅲ-4] 개별 맞춤형 경로를 가는 중에 만나는 공통 목적의 다양한 학습 공동체 57
[그림 Ⅲ-5] 기초 학력 미달 학생 추이 60
[그림 Ⅲ-6] 국제정세 및 국가 전략 분석 기반 글로벌 트렌드 68
[그림 Ⅳ-1] 전환기, 교육의 시대정신, 정책 방향과 어젠다 74
[그림 Ⅳ-2] 전환기, 교육 정책 방향 75
[그림 Ⅳ-3] 가정 경제 배경별 코로나19 이후 하루 평균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 85
[그림 Ⅳ-4] 단계별 고교학점제 적용 계획 86
[그림 Ⅳ-5] 개별화 교육을 위한 자동화의 여섯 단계 89
[그림 Ⅳ-6] 교육부의 위험대학에 대한 3단계 적기 시정조치(안) 95
[그림 Ⅳ-7]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목표 96
[그림 Ⅳ-8] 대구ㆍ경북 HuStar 추진 배경 98
[그림 Ⅳ-9] 대구ㆍ경북 HuStar 비전 및 목표 98
[그림 Ⅳ-10] 국가 전체 연구 개발비 대비 대학의 연구개발비 비율 100
[그림 Ⅳ-11] 학습-고용-삶의 질의 선순환을 위한 평생학습 모델 108
[그림 Ⅳ-12] 평생학습기본법의 제정과 평생교육법의 개정 방향 109
[그림 Ⅳ-13] 포용적 평생학습을 위한 지역 평생학습 생태계 모형 111
[그림 Ⅳ-14] 학생의 디지털 기기 접근성과 사용 시간 115
[그림 Ⅳ-15] 수업 시간 내 디지털 기기 사용 주체 115
[그림 Ⅳ-16] 학생의 디지털 기기에 대한 태도 116
[그림 Ⅳ-17] 초ㆍ중학생의 연도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비교 117
[그림 Ⅳ-18] 지역 규모에 따른 초ㆍ중학생의 연도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비교 117
[그림 Ⅳ-19] 2020~2021년 대학 원격강좌 수와 수강인원 120
[그림 Ⅳ-20] 연도별 수시 정시 비율 변화 추이(2015~2024) 127
[그림 Ⅳ-21] 교육단계별 학생(아동)1인당 공교육비 국제 비교(2018년 기준) 138
[그림 Ⅳ-22] 경제발전과 공교육비 지원 수준 국제비교 142
[그림 Ⅳ-23]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재정 규모에 대한 의견(2015-2021) 144
[그림 Ⅳ-24] 우리나라 교육 정책 추진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측면(2018~2021) 150
[그림 Ⅳ-25] 시기별 교육 제도 관련 주요 변화 158
[그림 Ⅳ-26] 교육부의 국제교육 협력 증진 사업 종합추진체계 159
[부록 그림 1] KEDI 정책 파트너의 확대와 기대의 다양화 18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