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과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GHG emissions associated with daily life and public awareness survey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 연구책임자: 명수정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환경연구원(KEI), 2022
청구기호
363.73874 -23-11
자료실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ix, 175 p. : 삽화, 도표, 서식 ; 25 cm
총서사항
KEI 정책보고서 ; 2022-07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806094
제어번호
MONO12022000067209
주기사항
부록: 1. 설문 조사지 ; 2. 생활 주요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방법 ; 3. 장소별 녹색생활 실천방법 예시
참고문헌: p. 123-130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과 수행체계 23

가. 연구의 범위 및 체계 23

나. 연구의 수행체계 및 기대효과 24

제2장 기후변화와 생활계 온실가스 관련 국내외 동향 26

1.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배출 26

가.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배출 동향 26

나.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동향 31

다.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 35

2. 생활계 온실가스의 배출 특성 38

가. 생활계 에너지 소비 38

나. 문헌을 통해 살펴본 생활계 온실가스 50

다. 생활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홍보ㆍ캠페인 61

제3장 녹색생활 실천 현황 조사와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 추정 71

1. 녹색생활 관련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설계 71

2. 녹색생활 관련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75

가. 탄소중립 관련 인식 현황 75

나. 녹색생활 실천방안 관련 인식 79

3. 녹색생활 실천에 대한 조사 결과 83

가. 녹색생활의 실천도 83

나. 집단별 녹색생활 실천 특성 93

4.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결과 100

가. 생활 주요 부문의 배출량 추정 결과 100

나.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집단별 차이 105

제4장 생활계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방향 112

1. 설문조사 및 배출량 추정 결과의 시사점 112

가. 녹색생활 관련 인식의 시사점 112

나. 녹색생활 실천도와 배출량 분석 결과의 시사점 117

2.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 124

가.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환경교육 강화 124

나. 시민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129

다. 녹색생활 유도를 위한 제도 및 인프라 도입 133

제5장 결론 및 제언 139

1. 결론 139

2. 제언 140

참고문헌 143

[부록 Ⅰ] 설문 조사지 152

[부록 Ⅱ] 생활 주요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방법 162

[부록 Ⅲ] 장소별 녹색생활 실천방법 예시 177

Executive Summary 183

판권기 2

〈표 2-1〉 국내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증감률 32

〈표 2-2〉 세계의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35

〈표 2-3〉 가정 부문의 에너지원 소비 및 에너지원 단위 추이 39

〈표 2-4〉 가정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 40

〈표 2-5〉 상업ㆍ공공 부문의 에너지 소비 추이 43

〈표 2-6〉 건물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2019년) 45

〈표 2-7〉 건물 부문의 용도별 업체당 에너지 소비 45

〈표 2-8〉 수송 부문의 업종별 에너지 소비 48

〈표 2-9〉 관공서ㆍ자가용 차량의 대당 에너지 소비 49

〈표 2-10〉 탄소발자국 계산기 사례 51

〈표 2-11〉 미국 가정의 부문별 주요 전력 소비 53

〈표 2-12〉 에너지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7

〈표 2-13〉 소비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8

〈표 2-14〉 수송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9

〈표 2-15〉 자원순환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9

〈표 2-16〉 주요 가전기기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60

〈표 2-17〉 기후행동 1.5℃가 제안하는 기후 행동 64

〈표 2-18〉 탄소포인트제의 추진경과 65

〈표 2-19〉 국내 탄소포인트제 기관별 역할 분담 65

〈표 2-20〉 연도별 탄소포인트제 참여 현황 66

〈표 2-21〉 국내 탄소포인트제 68

〈표 3-1〉 설문조사 설계 개요 72

〈표 3-2〉 설문지 구성 개요 74

〈표 3-3〉 의생활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86

〈표 3-4〉 식생활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87

〈표 3-5〉 에너지 부문 녹색생활 실천도 88

〈표 3-6〉 구매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90

〈표 3-7〉 자원순환 부문의 실천도 91

〈표 3-8〉 에코드라이빙 실천도 93

〈표 3-9〉 주요 집단별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부문 105

〈표 4-1〉 녹색생활의 실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집단 요인 121

〈표 4-2〉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집단 요인 122

〈표 4-3〉 부문별 녹색생활 실천도가 낮은 주요 집단 요인 127

〈그림 1-1〉 연구 수행 체계도 24

〈그림 2-1〉 인류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1990~2019년) 27

〈그림 2-2〉 대기 중의 CO₂ 농도 변화(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 28

〈그림 2-3〉 전 세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비율 29

〈그림 2-4〉 교통 부문 세부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30

〈그림 2-5〉 우리나라의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1990~2019년) 31

〈그림 2-6〉 우리나라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비율(2019년) 33

〈그림 2-7〉 1인당 온실가스 총배출량(1990~2019년) 34

〈그림 2-8〉 2030년 부문별 감축 옵션 및 예상 비용과 잠재력 범위 37

〈그림 2-9〉 가정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41

〈그림 2-10〉 가정 부문의 주택 형태별 에너지 소비 비중(2019년) 42

〈그림 2-11〉 상업ㆍ공공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44

〈그림 2-12〉 건물 용도별 업체당 에너지 소비(건물 부문) 47

〈그림 2-13〉 관공서ㆍ자가용 차량의 대당 주행거리 49

〈그림 2-14〉 정주지 등 공간 범위에 따른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 52

〈그림 2-15〉 식품 유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 54

〈그림 2-16〉 주요 소비 부문의 회피, 이동 및 개선에 따른 감축 잠재성 56

〈그림 2-17〉 그린카드의 주요 혜택 63

〈그림 2-18〉 탄소포인트제를 통한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실적 66

〈그림 2-19〉 자동차 탄소포인트제 운영의 주체 69

〈그림 3-1〉 설문조사 및 조사 결과의 활용 흐름도 72

〈그림 3-2〉 탄소중립에 대한 인지 정도 76

〈그림 3-3〉 녹색생활의 확산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주체에 대한 인식 76

〈그림 3-4〉 녹색생활 관련 정보의 입수 경로(매체) 77

〈그림 3-5〉 녹색생활 관련 정보 입수 경로(사람) 78

〈그림 3-6〉 인지하고 있는 녹색생활 관련 캠페인 78

〈그림 3-7〉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 80

〈그림 3-8〉 녹색생활의 확산을 위한 방안의 응답 결과 81

〈그림 3-9〉 녹색생활을 가장 잘 실천하는 장소 82

〈그림 3-10〉 녹색생활의 실천 장소 84

〈그림 3-11〉 의생활 부문 녹색생활 실천도 85

〈그림 3-12〉 식생활 부문 녹색생활 실천도 86

〈그림 3-13〉 에너지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88

〈그림 3-14〉 구매 부문의 실천도 89

〈그림 3-15〉 자원순환 부문의 실천도 90

〈그림 3-16〉 에코드라이빙의 실천도 93

〈그림 3-17〉 성별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4

〈그림 3-18〉 연령대별 녹색생활 실천 95

〈그림 3-19〉 가구원 수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5

〈그림 3-20〉 환경교육 및 캠페인 참가 경험 유무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6

〈그림 3-21〉 탄소중립 인식 유무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7

〈그림 3-22〉 주변 사람들의 실천도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7

〈그림 3-23〉 환경 이슈별 인식 정도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도 99

〈그림 3-24〉 주요 부문별 1인당 월 온실가스 배출 추정치 102

〈그림 3-25〉 성별에 따른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6

〈그림 3-26〉 연령대에 따른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7

〈그림 3-27〉 거주지역에 따른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7

〈그림 3-28〉 가구원 수별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8

〈그림 3-29〉 주거유형별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9

〈그림 3-30〉 탄소중립 인지 여부에 따른 배출량 110

〈그림 3-31〉 쓰레기 감량의 탄소중립 효과 인지 여부에 따른 배출량 111

〈그림 4-1〉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2010년) 113

〈그림 4-2〉 환경주의 VBN 이론의 가치부터 행동에 이르는 흐름도 126

〈그림 4-3〉 생활양식의 옵션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의 차이 128

〈그림 4-4〉 IPCC가 제안하는 시민이 참여하는 기후변화 완화 과정 129

〈그림 4-5〉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상황적, 구조적 요인 131

〈그림 4-6〉 개인의 영향력 범위 132

〈그림 4-7〉 넛지를 적용한 식판 사례 135

〈그림 4-8〉 2050년까지 수요 측면의 감축 옵션의 잠재성 137

〈부록 표 2-1〉 주요 연료 유형별 온실가스의 기본 배출계수 163

〈부록 표 2-2〉 전력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64

〈부록 표 2-3〉 소비 연료별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68

〈부록 표 2-4〉 수도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69

〈부록 표 2-5〉 폐기물의 처리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및 배출계수 170

〈부록 표 2-6〉 쓰레기 배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71

〈부록 표 2-7〉 주요 수송수단의 인ㆍkm당 온실가스 배출량 도출 과정 173

〈부록 표 2-8〉 대중교통 유형별 인ㆍkm당 온실가스 배출계수 174

〈부록 표 2-9〉 주요 차량 유형별 km당 온실가스 배출량 176

〈부록 표 3-1〉 가정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77

〈부록 표 3-2〉 직장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78

〈부록 표 3-3〉 유통매장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79

〈부록 표 3-4〉 식당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80

〈부록 표 3-5〉 학교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81

〈부록 표 3-6〉 친환경 운전 실천하는 방법 18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59065 363.73874 -23-1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2959066 363.73874 -23-1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