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5
제2장 중남미 역내 미ㆍ중 경쟁 22
1. 중남미의 대미ㆍ대중 무역 24
가. 통신장비 31
나. 광물 34
2. 투자 및 공적자금 38
가. 대중남미 해외직접투자 40
나. 대중남미 공적자금 53
3. 미ㆍ중 경쟁 격화와 대중남미 협력 이니셔티브 63
제3장 중남미 국가 주요 산업에서의 미ㆍ중 경쟁 현황 76
1. 제조업 77
2. 광물자원 90
가. 광업 현황 90
나. 미ㆍ중 경쟁과 광업 95
다. 중남미 주요국의 광업 정책 99
제4장 중남미 주요국의 가치사슬 구조 분석 105
1. 분석 방법론 106
2. 중남미 주요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도 110
3. 구성요소별 수출부가가치 분해 117
가. 간접 수출부가가치 117
나. 해외부가가치 126
다. 미국, 중국, 중남미 간 가치사슬 구조 137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42
1. 연구 결과 요약 143
2. 시사점 150
참고문헌 157
Executive Summary 165
판권기 3
표 2-1. 중국의 파트너십 종류와 우선순위 25
표 2-2. 중남미 국가와 미국 및 중국 간의 FTA 현황 28
표 2-3. 클린 네트워크 동참 및 화웨이 장비 사용 현황 33
표 2-4. 중남미의 대중국 수출: 철 35
표 2-5. 중남미의 대중국 수출: 구리 35
표 2-6. 중남미의 대중국 수출: 원유 35
표 2-7. 중남미의 대중국 수출: 석유 35
표 2-8. 중남미의 대미국 수출: 원유 35
표 2-9. 중남미의 대미국 수출: 석유 35
표 2-10.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핵심광물과 중남미 매장량 37
표 2-11. 2003~21년 중남미 18개국 국가별 그린필드 투자 유입 43
표 2-12. 2003~21년 중남미 18개국 부문별 그린필드 투자 유입 45
표 2-13. 2003~21년 대중남미 그린필드 투자 상위 10개국 46
표 2-14. 2003~21년 미국의 대중남미 국가별 그린필드 투자 47
표 2-15. 2003~21년 미국의 대중남미 부문별 그린필드 투자 48
표 2-16. 2003~21년 중국의 대중남미 국가별 그린필드 투자 49
표 2-17. 2003~21년 중국의 대중남미 부문별 그린필드 투자 50
표 2-18. 2003~21년 중국의 대중남미 국가별 브라운필드 투자 52
표 2-19. 2003~21년 중국의 대중남미 부문별 브라운필드 투자 53
표 2-20. 2002~20년 중남미 18개국 공적개발원조 및 기타 공적자금 유입 56
표 2-21. 2002~20년 미국의 대중남미 무역을 위한 원조 관련 공적개발원조 58
표 2-22. 2007~21년 중국 국책은행의 대중남미 국가별 정책금융 60
표 2-23. 2007~21년 중국 국책은행의 대중남미 부문별 정책금융 61
표 2-24. 바이든 정부의 대중미 협력 이니셔티브 65
표 2-25. 바이든 정부의 대중남미 협력 이니셔티브 68
표 3-1. 중국의 대중남미 주요 업종별 M&A 사례 85
표 3-2. 리튬 매장량(Reserve), 자원량(Resource), 생산량 92
표 3-3. 리튬 종류와 개발 현황 92
표 3-4. 배터리 핵심광물의 중남미 매장 현황 94
표 3-5. 중남미 리튬 보유국의 투자 환경과 정책 방향 104
표 4-1. 해당 교역 내 수출국의 간접 수출부가가치 비중(1990년 기준) 120
표 4-2. 해당 교역 내 수출국의 간접 수출부가가치 비중(2007년 기준) 121
표 4-3. 해당 교역 내 수출국의 간접 수출부가가치 비중(2017년 기준) 123
표 4-4. 해당 교역 내 수출국의 간접 수출부가가치 비중(2019년 기준) 124
표 4-5. 해당 교역 내 수출국의 간접 수출부가가치 비중(2021년 기준) 125
표 4-6. 국가별 총수출 중 해외부가가치 비중(1990년 기준) 128
표 4-7. 국가별 총수출 중 해외부가가치 비중(2007년 기준) 129
표 4-8. 국가별 총수출 중 해외부가가치 비중(2017년 기준) 131
표 4-9. 국가별 총수출 중 해외부가가치 비중(2019년 기준) 132
표 4-10. 국가별 수출 내 직접수입국의 부가가치 비중(1990년 기준) 133
표 4-11. 국가별 수출 내 직접수입국의 부가가치 비중(2007년 기준) 134
표 4-12. 국가별 수출 내 직접수입국의 부가가치 비중(2017년 기준) 135
표 4-13. 국가별 수출 내 직접수입국의 부가가치 비중(2019년 기준) 136
그림 1-1. 전 세계 GDP에서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 17
그림 2-1. 중남미의 통신 및 녹음기기 수입 33
그림 2-2. 중남미의 전기기계장치와 기기 수입 33
그림 2-3. 중남미의 대중국 광물 수출 36
그림 2-4. 중남미의 대미국 광물 수출 36
그림 2-5. 기간별 중국 상업은행의 대중남미 대출 실행 건수 62
그림 3-1. 미국의 제조업 수입 비중(MIR) 추이 80
그림 3-2. 미국 MIR의 연간 변화(리쇼어링 지수) 80
그림 3-3. 중국의 대중남미 국별 및 업종별 프로젝트 투자(2005~20년) 비중 88
그림 4-1. 총 수출부가가치 분해 107
그림 4-2. 국가별/시기별 수출부가가치 분해: 전방 연계(간접 수출부가가치 비중) 111
그림 4-3. 국가별/시기별 수출부가가치 분해: 후방 연계(해외부가가치 비중) 113
그림 4-4. 국가별 수직 특화도 비중 변화 115
그림 4-5. 미국과 중남미 간 가치사슬(2017년) 137
그림 4-6. 미국과 중남미 간 가치사슬(2019년) 138
그림 4-7. 중국과 중남미 간 가치사슬(2017년) 139
그림 4-8. 중국과 중남미 간 가치사슬(2019년) 140
그림 5-1. 니어쇼어링에 따른 추가 수출 증가액 전망 152
글상자목차
글상자 3-1. 고위급 경제대화 Pillar 1을 위한 미국-멕시코 협력 사례 82
글상자 3-2.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의 중남미 투자 추진 사례 8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00559 | 330.98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3000560 | 330.98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B000104465 | 330.98 -23-1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