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
생몰정보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서지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 열기
원문 아이콘이 없는 경우 국회도서관 방문 시 책자로 이용 가능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한국 물류산업의 단계별 발전 특성과 향후 과제 / 김태승 17
제1절 한국 물류산업의 단계별 발전 특성 17
1. 제1단계: 제도화 시기(1991~2000) 19
2. 제2단계: 글로벌화 추진기(2001~2006) 24
3. 제3단계: 통합적 물류정책 추진기(2007~2015) 30
4. 제4단계: 물류 패러다임 전환기(2016~현재) 36
제2절 IT기술 트렌드와 스마트 물류 관련 국가정책 40
1. 시대별 IT기술 변화 추이 40
2. 한국판 뉴딜정책의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42
제3절 결론 및 시사점 44
참고문헌 46
제2장 한국 물류산업의 공공분야 디지털화 진행 현황과 향후 과제 / 김용진 4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7
1. 연구의 배경 47
2. 연구의 목적 48
제2절 국내 공공 물류 정보화 현황 48
1. 국내 물류정보화 관련 공공계획 48
2. 주요 공공 물류정보화 플랫폼 49
제3절 해외 주요 공공 물류 정보화 현황 59
1. 미국 교통부 Freight Logistics Optimization Works(FLOW) 59
2. 일본 피지컬 인터넷 64
3. 싱가포르 SGTraDex(Singapore Trade Data Exchange) 68
제4절 시사점 및 결론 69
참고문헌 71
제3장 항공운송업의 디지털화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전략과 정책방향 / 이수형 73
제1절 국내 항공운송업 현황과 구성 73
1. 국내 항공운송산업 현황 73
2. 국내 항공운송산업의 구성 75
제2절 항공운송산업의 국제 경쟁력 76
제3절 항공운송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77
1. 디지털화 단계의 정의 77
2. 항공운송산업에서의 디지털화 현황 78
3. 항공운송산업 디지털 대전환으로의 한계점 82
제4절 항공산업에서의 디지털 대전환의 미래상 제언 84
1. 데이터 플랫폼 84
2. 데이터 전문가군의 양성 89
제5절 결론 95
참고문헌 97
제4장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진행 현황과 향후 과제 / 이성우 99
제1절 배경 99
제2절 글로벌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동향 101
1. 해운산업의 디지털 환경 101
2. 글로벌 해운산업의 디지털 동향 104
3. 글로벌 해운기업의 디지털 동향 105
제3절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현황과 문제점 110
1.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현황 110
2.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문제점 112
제4절 우리나라 해운산업 디지털화 향후 과제 115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운산업 방향 115
2.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향후 과제 116
참고문헌 121
제5장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과 정책방향 / 송주미 123
제1절 배경 123
제2절 글로벌 해운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 동향 124
1. 글로벌 해운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 동향 124
2. 글로벌 해운시장의 국제 경쟁력 확보 전략 패턴 분석 130
제3절 우리나라 해운기업들 국제 경쟁력 분석 135
1. 우리나라 해운업 특성과 국제 경쟁력 상황 135
2. 우리나라 해운업 경쟁력 문제점 137
제4절 우리나라 해운산업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139
1.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대응방향 139
2.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방안 141
참고문헌 145
제6장 물류 데이터의 생성과 효과적 활용을 위한 과제 / 남대식 146
제1절 배경 및 목적 146
제2절 물류 데이터의 생성 및 제공 시스템 현황 147
1. 물류부문 공공 데이터/통계시스템 현황 147
제3절 물류부문 데이터 활용 연구 및 유통 현황 160
1. 물류부문 데이터 활용 정책 연구 160
2. 물류부문 플랫폼 내 데이터 유통 현황 163
3. 공공/민간부문 데이터 수집 활용 사례 171
제4절 물류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과제 도출 173
1. 물류 데이터 플랫폼의 도입 173
2. 물류 데이터 플랫폼의 형태 175
3. 물류 데이터 플랫폼 제공 정보의 신뢰성 확보 176
4. 상위계획과의 연계를 통한 물류 데이터 활성화 178
제5절 요약 및 결론 179
참고문헌 182
제7장 e-Commerce 산업의 디지털화 전개와 향후 과제 / 정호상 185
제1절 서론 185
제2절 e-Commerce 산업의 디지털화 키워드 189
1. 온디맨드 경제 189
2. 빅블러 현상 193
3. 혁신 기술 197
제3절 e-Commerce 산업의 향후 과제 200
1. 3R 강화 201
2. 다양한 협력 프레임워크 구축 203
3. 디지털 인재 양성 및 활용 204
제4절 결론 205
참고문헌 207
제8장 택시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방향 / 김동영 209
제1절 서론 209
제2절 택시산업의 현황 210
1. 택시의 운송 실적 210
2. 면허대수 및 등록대수 현황 211
3. 운수종사자 현황 215
4. 법인택시 운전직 확보율 및 가동률 추이 216
5. 택시 운수종사자 고령화 219
제3절 택시산업 디지털 전환의 방해요인 220
1. 경직적인 제도로 디지털 전환의 인센티브 부재 220
2. 플랫폼 여객운송 관련 제도의 불완전성 227
3. 첨예한 이해관계자 갈등 231
제4절 바람직한 택시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방향 236
1. 택시 중심의 디지털 전환 유도 236
2.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 전환 활용 238
3. 공급 데이터 내실화와 수요 데이터 확보 239
참고문헌 241
제9장 물류산업의 국제경쟁력 현황과 과제 / 김주훈 242
제1절 상품교역과 물류 수출의 관계 242
제2절 물류산업의 수출구조와 변화 추이 246
제3절 해운 및 항공의 국제경쟁력 실태 252
제4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60
참고문헌 262
판권기 263
〈표 1-1〉 종합물류기업 육성정책의 추이 32
〈표 1-2〉 물류정책기본법의 골격 34
〈표 1-3〉 기존 물류단지와 도시첨단 물류단지의 비교 40
〈표 2-1〉 부처별 물류ㆍ물류정보화 관련 공공계획 48
〈표 2-2〉 공공기관ㆍ부처별 공공물류데이터 플랫폼 현황 50
〈표 2-3〉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기초정보 52
〈표 2-4〉 운수회사/개인사업자 정보 55
〈표 2-5〉 FLOW 프로젝트 참여 기업(2022. 10. 14. 기준) 62
〈표 3-1〉 디지털 전환에 의한 국내외 항공사 서비스 사례 80
〈표 3-2〉 공항의 발전 단계 81
〈표 3-3〉 향후 데이터산업의 데이터직무 필요 인력 91
〈표 4-1〉 Maersk사의 디지털 분야 투자 현황 108
〈표 4-2〉 CMA CGM사의 디지털 분야 투자 현황 109
〈표 4-3〉 우리나라 주요 선사 디지털화 사업 내용 111
〈표 4-4〉 제5차 해운산업 장기발전계획 추진전략(일부) 113
〈표 5-1〉 2019~22년 주요 글로벌 컨테이너선사 투자 동향(2022년 9월 기준) 128
〈표 5-2〉 선대확장에 따른 선사별 선복량 및 대형화 동향 130
〈표 5-3〉 세계 20위 선사 선복 규모 133
〈표 5-4〉 우리나라 LPI 지수 순위 추이 138
〈표 6-1〉 교통ㆍ물류 분야 정보시스템 149
〈표 6-2〉 항공물류 분야 정보시스템 150
〈표 6-3〉 도로ㆍ철도 분야 정보시스템 151
〈표 6-4〉 국토교통부 연계 국토교통 정보시스템 152
〈표 6-5〉 물류부문 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156
〈표 6-6〉 연구별 물류부문 활용 데이터 161
〈표 6-7〉 물류부문 공공 데이터의 종류와 내용 164
〈표 6-8〉 View-T 구축데이터 수집방법 165
〈표 6-9〉 View-T 데이터 서비스 이용정책 166
〈표 6-10〉 Tracking 데이터 목록 168
〈표 6-11〉 Resource 데이터 목록 169
〈표 6-12〉 데이터 센터 및 플랫폼 현황 172
〈표 6-13〉 PeMS에서 정의하는 9가지 검지기 비정상 종류 177
〈표 6-14〉 데이터 누락 및 연계 지연 등 알림메시지 예시 178
〈표 7-1〉 새로운 e-Commerce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193
〈표 7-2〉 네이버와 카카오의 물류 플랫폼 사업 비교 196
〈표 7-3〉 e-Commerce 산업의 디지털화를 이끄는 핵심 기술 요소 197
〈표 7-4〉 e-Commerce 산업의 디지털화를 이끄는 세 가지 키워드 요약 199
〈표 8-1〉 교통수단별 여객운송 현황 추이 210
〈표 8-2〉 교통수단별 수단분담률 211
〈표 8-3〉 전국 택시 면허대수 추이 212
〈표 8-4〉 전국 택시 면허대수 증감 213
〈표 8-5〉 2010~21년 법인택시의 면허대수와 등록대수 증가 추이 214
〈표 8-6〉 법인택시 등록률 및 운휴율 214
〈표 8-7〉 전국 택시 등록대수 증감 215
〈표 8-8〉 전국 택시 운수종사자 추이 215
〈표 8-9〉 전국 택시 운수종사자 수 증감 216
〈표 8-10〉 전국 법인택시 운전직 확보율 추이 217
〈표 8-11〉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감소의 악순환 219
〈표 8-12〉 택시 운수종사자 연령별 현황 220
〈표 8-13〉 서울 택시요금 변천사 221
〈표 8-14〉 서울시 택시임금과 최저임금 추이 비교 222
〈표 8-15〉 주요 국가별 심야 택시요금 225
〈표 8-16〉 플랫폼운송사업(Type 1) 허가대수별 기여금 규모 226
〈표 8-17〉 여객자동차 운송플랫폼사업과 택시와의 비교 227
〈표 8-18〉 플랫폼 운송사업 허가 Proces 229
〈표 8-19〉 우버의 등장이 신규 택시 서비스 출현에 미친 영향 232
〈표 8-20〉 택시ㆍ카풀 사회적 대타협기구 합의문 233
〈표 8-21〉 일본의 택시배송 허용 사례 239
〈표 9-1〉 상품 수출 및 수입 증가율 244
〈표 9-2〉 세계 해운 수출의 국별 순위 253
〈표 9-3〉 세계 항공 수출의 국별 순위 257
[그림 1-1] 내륙물류기지 및 물류단지 분포도 23
[그림 1-2] 제1차 국가물류기본계획의 비전 25
[그림 1-3] 경제자유구역 지정 현황 28
[그림 1-4] 제1차 물류기본계획의 비전, 목표 및 추진 전략 31
[그림 1-5] 국가물류기본계획의 구성 35
[그림 1-6] 물류 패러다임의 변화 형태 37
[그림 1-7] 시대별 IT 기술의 변화 추이 41
[그림 1-8]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개념도 42
[그림 1-9] 스마트 유통물류 Platform 개념도 44
[그림 2-1] 창고114 개념도 53
[그림 2-2] 카카오 iLaas 53
[그림 2-3]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 개념도 56
[그림 2-4]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 주요 분야 57
[그림 2-5]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 주요 참여기관 57
[그림 2-6] 한국형 전자통관시스템 58
[그림 2-7] 미국 교통부 웹사이트 화면 60
[그림 2-8] FLOW 프로젝트 의결 정보 60
[그림 2-9] 피지컬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효율화 개념 65
[그림 2-10] 일본 식품업체 간 표준화 및 공동 배송 F-Line 66
[그림 2-11] F-LINE 사업 참여 전후 납품 전표 67
[그림 2-12] 피지컬 인터넷 실현회의 검토 및 실시 체제 68
[그림 3-1] 2019년 항공사별 공급좌석과 여객 수송 통계 74
[그림 3-2] 2019년 국내 공항별 공급좌석과 여객 수송 통계 75
[그림 3-3] 우리나라 항공운송산업의 생태계 76
[그림 3-4] Digitization, Digitalization, Digital Transformation 용어 정의 78
[그림 3-5] 아시아나 항공 AI 챗봇 Aaron 79
[그림 3-6] 국토부 스마트공항 전략 및 추진 과제 81
[그림 3-7] 독일의 산업별 디지털화 지수 85
[그림 3-8] 블룸버그 터미널 단말기 86
[그림 3-9] BQL 엑셀 Add-in 기능 87
[그림 3-10] 블룸버그 터미널 회귀분석 기능 87
[그림 3-11] 데이터 분석의 3단계와 필요한 전문가군 90
[그림 3-12] 향후 5년 내 데이터 산업의 데이터직무 인력 부족률 92
[그림 3-13] 향후 5년 내 데이터산업의 기술등급별 데이터직무 필요 인력 비중 94
[그림 4-1]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해운시황과 전망 100
[그림 4-2] 국제물류 서비스 흐름도와 서비스 니즈 102
[그림 4-3] 글로벌 기업들의 물류기업화 방향 104
[그림 4-4] 머스크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전략 108
[그림 4-5] 우리나라 물류기업들의 주요 디지털 서비스 112
[그림 4-6] 우리나라 내수와 수출입 물류흐름과 기능들 118
[그림 5-1] 글로벌 컨테이너선사 전략 포지셔닝 127
[그림 5-2] 글로벌 얼라이언스 구성 및 개편 추이 131
[그림 5-3] 저운임 경쟁 체제 속 선사들의 합병과 파산 현황 132
[그림 5-4] Maersk사의 2020년 경영성과 134
[그림 5-5] 선사별 TEU당 평균 수익력 136
[그림 5-6] 글로벌 주요 선사 선박 사이즈 평균 139
[그림 6-1] 국가교통정보센터 오픈데이터 서비스 흐름 152
[그림 6-2] 국토교통 통계누리 홈페이지 153
[그림 6-3] 국토교통 데이터 통합채널 홈페이지 154
[그림 6-4] 관세청 빅데이터 포털 홈페이지 156
[그림 6-5A] 통합무역정보서비스 홈페이지 157
[그림 6-5B] 통합무역정보서비스 홈페이지(무역통계 탭) 157
[그림 6-6A] 글로벌 무역통계 서비스 홈페이지 158
[그림 6-6B] 글로벌 무역통계 서비스 홈페이지(한국무역통계) 158
[그림 6-7] 공공데이터포털 공공데이터의 제공 처리절차 159
[그림 6-8]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홈페이지 160
[그림 6-9] View-T 홈페이지 164
[그림 6-10] View-T 구축데이터 165
[그림 6-11] View-T 데이터 서비스 유형별 이용방법 166
[그림 6-12] 데이터 활용사례 - 화물차 미세먼지 배출량 분석 166
[그림 6-13] LOGINK 홈페이지 167
[그림 6-14] LOGINK 국제 협력업체 168
[그림 6-15] NEAL-NET 서비스 구성도 170
[그림 6-16] NEAL-NET Logistics Information Nodes 171
[그림 7-1] 빠르게 성장 중인 글로벌 e-Commerce 시장 186
[그림 7-2] 글로벌 e-Commerce 시장 규모 예측 186
[그림 7-3] 국내 e-Commerce 시장 성장 추이 187
[그림 7-4] 한국 유통 시장 전망 187
[그림 7-5] e-Commerce 산업 디지털화의 세 가지 키워드 189
[그림 7-6] 제조기업의 전통판매방식과 D2C 비교 192
[그림 7-7] 국내 PB시장 성장 과정 194
[그림 7-8] 쿠팡, 마켓컬리, B마트 PB상품 예시(왼쪽부터) 194
[그림 7-9] Google Shopping 사례 196
[그림 7-10] 유통의 진화과정 198
[그림 7-11] 유통 4.0 시대의 주문, 결제, IT, 물류 통합 프레임워크 예시 198
[그림 7-12] 2022년 1, 2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변화 200
[그림 7-13] 환경변화에 따른 e-Commerce 기업의 대응전략과 실행과제 201
[그림 8-1] 교통수단별 수단분담률 211
[그림 8-2] 법인 및 개인택시 운수종사자 비중 216
[그림 8-3] 전국 법인택시 가동률 추이 217
[그림 8-4] 서울시 택시요금 결정 절차 223
[그림 8-5] 규제혁신형 플랫폼 택시 제도 마련 225
[그림 9-1] 물류산업의 국제수지 243
[그림 9-2] 세계 상품수출 245
[그림 9-3] 세계 해운 수출 246
[그림 9-4] 세계 항공 수출 247
[그림 9-5] 세계 물류 수출 247
[그림 9-6] 세계 서비스 수출 중 물류의 비중 248
[그림 9-7] 한국의 해운 수출 249
[그림 9-8] 한국의 항공 수출 249
[그림 9-9] 한국의 물류 수출 250
[그림 9-10] 한국의 서비스 수출 중 물류의 비중 251
[그림 9-11] 세계 물류 수출 중 한국의 점유율 251
[그림 9-12] 세계 해운 수출 중 한국의 점유율 254
[그림 9-13] 세계 해운 수출 중 싱가포르의 점유율 255
[그림 9-14] 세계 해운 수출 중 덴마크의 점유율 255
[그림 9-15] 세계 해운 수출 중 중국의 점유율 256
[그림 9-16] 세계 항공 수출 중 한국의 점유율 257
[그림 9-17] 세계 해운 수출의 상위 3개국 집중도 259
[그림 9-18] 세계 항공 수출의 상위 3개국 집중도 259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