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4
제2장 동남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광물 공급망 분석과 한국의 협력 방안 / 이지혁 24
1. 동남아시아 석유ㆍ가스 산업 현황 25
1) 동남아시아 주요국의 석유ㆍ가스 산업 개요 25
2) 동남아시아 주요국별 석유ㆍ가스 산업 및 투자 현황 31
2. 동남아시아 광물 산업 현황 68
1) 동남아시아 광물자원 부존 및 생산 현황 68
2) 동남아시아 주요국별 광물 현황 및 정책 71
3) 한국과 동남아시아 국가의 주요 광물 교역 현황 87
4) 공급망 구축 관련 해결 과제 91
3. 시사점 및 협력 확대 방안 94
제3장 중앙아시아 지역의 에너지ㆍ광물 공급망 분석과 한국의 협력 방안 / 조영관 103
1. 중앙아시아 석유ㆍ가스 산업 현황 107
1) 중앙아시아 석유ㆍ가스 산업 및 투자 현황 107
2)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석유ㆍ가스 교역 현황 125
3)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협력 136
2. 중앙아시아 광물 산업 현황 138
1) 중앙아시아 광물 산업 및 투자 현황 138
2)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광물 교역 현황 149
3)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광물 협력 153
3. 시사점 및 협력 확대 방안 157
제4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에너지ㆍ광물 공급망 분석과 한국의 협력 방안 / 김경하 163
1.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석유 산업 현황 164
1)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석유 산업 개요 164
2)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주요 국가별 석유 산업 현황 178
2.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가스 산업 현황 187
1)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프리카 가스 산업 개요 187
2)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주요국별 가스 산업 현황 200
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광물 산업 현황 215
1)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광물 산업 개요 215
2) 4대 핵심광물별 부존 현황 227
4. 시사점 및 협력 확대 방안 249
제5장 결론 263
판권기 271
그림 1-1. 주요 광물자원의 생산 및 가공 부문 세계 상위 3개국 비중 18
그림 1-2. 전 세계 희토류 공급망의 중국 비중 20
그림 2-1. 동남아 원유 생산 및 수입(2015~50년) 26
그림 2-2. 동남아 8개국의 원유 생산량 추이 및 전망 27
그림 2-3. 2021년 동남아 국가의 석유 수출입 현황 28
그림 2-4. 2022년 원유 생산량 기준 동남아 10대 광구 29
그림 2-5. 동남아 천연가스 생산량 및 가채연수 30
그림 2-6. 2021년 동남아 국가의 천연가스 수출입 현황 31
그림 2-7. 2020년 인도네시아의 LNG 주요 수출국 34
그림 2-8. 인도네시아의 석유ㆍ가스 산업의 주요 시설 35
그림 2-9. 인도네시아 Bunga 광구 위치 37
그림 2-10. TPPI 올레핀 석유화학단지 39
그림 2-11. 한-인도네시아 원유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1) 40
그림 2-12. 한-인도네시아 석유제품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3) 41
그림 2-13. 한-인도네시아 천연가스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4) 41
그림 2-14. 2019년 말레이시아의 원유 및 콘덴세이트 주요 수출국 43
그림 2-15. 말레이시아의 원유ㆍ가스 매장량 분포 44
그림 2-16. 말레이시아의 원유ㆍ가스 광구 분포도 45
그림 2-17. PM524 광구 48
그림 2-18. CCS와 천연가스 탐사 프로세스의 유사성 49
그림 2-19. 말레이시아 SK427 광구 50
그림 2-20. 한-말레이시아 탄소 포집ㆍ저장 이동 경로 51
그림 2-21. 한-말레이시아 원유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1) 52
그림 2-22. 한-말레이시아 석유제품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3) 52
그림 2-23. 한-말레이시아 천연가스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4) 53
그림 2-24. Cuu Long 분지 55
그림 2-25. 베트남 원유 수출 및 수입 동향 56
그림 2-26. 11-2 광구와 15-1 광구 59
그림 2-27. 한-베트남 원유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1) 61
그림 2-28. 한-베트남 석유제품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3) 61
그림 2-29. 미얀마-중국 간 가스관 및 송유관 64
그림 2-30. 미얀마 원유ㆍ가스 광구 지도 64
그림 2-31. 한-미얀마 원유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1) 66
그림 2-32. 한-미얀마 석유제품 교역액 추이(MTI 3단위, 133) 67
그림 2-33. 동남아 지역 주요 광물 부존 현황 68
그림 2-34. 동남아 국가의 세계 생산량 대비 주요 광물 생산 비중(2020년) 70
그림 2-35. 니켈의 생산 단계 71
그림 2-36. 인도네시아 모로왈리 산업단지 76
그림 2-37. 필리핀 니켈 생산량 및 가치 추이(1998~2021년) 78
그림 2-38. 수리가오 델 수르 지역 80
그림 2-39. 세계 희토류 매장량 및 생산량 현황 82
그림 3-1. 중앙아시아 각국의 원유 생산 비교(2012~22년) 108
그림 3-2. 중앙아시아 각국의 가스 생산 비교(2012~22년) 109
그림 3-3. 카자흐스탄 원유 생산량 현황 및 전망 110
그림 3-4. 카자흐스탄 원유 생산(1991~2022년) 111
그림 3-5. 카자흐스탄 최대 규모의 카샤간 유전 111
그림 3-6. 카자흐스탄 주요 유전 및 송유관 112
그림 3-7. 카자흐스탄 천연가스 생산(1991~2022년) 113
그림 3-8. 카자흐스탄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113
그림 3-9. 우즈베키스탄 원유 및 가스 생산(2021~22년) 114
그림 3-10. 우즈베키스탄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115
그림 3-11. 우즈베키스탄의 에너지 생산 계획(GW) 116
그림 3-12. 우즈베키스탄 유가스전과 가스관 117
그림 3-13. 투르크메니스탄의 가스전과 가스관 118
그림 3-14. 카스피해 해상에 인접한 투르크메니스탄과 아제르바이잔 가스전 119
그림 3-15.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 생산 규모 추이 119
그림 3-16. 투르크메니스탄의 유가스전과 수송망 121
그림 3-17. 투르크메니스탄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121
그림 3-18. 키르기즈 원유 생산 122
그림 3-19. 카자흐스탄의 원유 수출(2000~22년) 126
그림 3-20. 카자흐스탄의 원유 및 가스 수출 (2018~20년, 수출량 기준 %) 127
그림 3-21. 카자흐스탄의 대 EU 국가별 가스 수출(2015~2020년) 128
그림 3-22. 투르크메니스탄의 원유 수출 규모(2000~22년) 129
그림 3-23.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 수출 현황(2009~22년) 130
그림 3-24. 카자흐스탄 CPC(Caspian Pipeline Consortium) 송유관 지분 구성 131
그림 3-25. 카자흐스탄의 원유 수출망 132
그림 3-26. 카자흐스탄의 CPC 송유관 132
그림 3-27. 중앙아시아-러시아 및 중앙아시아-중국 가스관 133
그림 3-28. 카자흐스탄-러시아 및 카자흐스탄-중국 가스관 134
그림 3-29. 카스피해를 통한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 수출 루트 135
그림 3-30. 중앙아시아, 러시아의 주요 가스전과 새로운 가스관 건설 추진 135
그림 3-31. 한국의 카자흐스탄산 원유 수입 추이(2014~22년) 136
그림 3-32. 중앙아시아의 광물 매장 분포 138
그림 3-33. 카자흐스탄 Eurasian Resources Group의 사업 현황 142
그림 3-34. 키르기즈의 주요 광산 145
그림 3-35. 키르기즈 쿰토르 광산 145
그림 3-36. 키르기즈의 금 원광석 생산 146
그림 3-37. 키르기즈의 정련 금 생산 146
그림 3-38. 카자흐스탄 광종별 수출 비중 151
그림 3-39. 카자흐스탄 금속 및 금속제품 수출 상대국 비중(2019년) 151
그림 3-40. 미국의 국가별 베릴륨 수입 비중(2018~21년) 151
그림 3-41. 미국의 국가별 크롬 수입 비중(2018~21년) 151
그림 3-42. 우즈베키스탄 국가별 광물 수출 비중(2021년) 152
그림 3-43. 키르기즈 국가별 광물 수출 비중(2021년) 152
그림 3-44. 타지키스탄 국가별 광물 수출 비중(2021년) 152
그림 3-45. 한국의 카자흐스탄으로부터의 수입품과 수입 비중(2022년) 154
그림 3-46. 카자흐스탄의 티타늄 수출상대국과 수출 비중(2021년) 154
그림 3-47. 한국의 크롬 수입국과 수입 비중(2022년) 155
그림 3-48. 한국의 티타늄 수입국과 수입 비중(2022년) 155
그림 3-49. 한국의 카자흐스탄산 티타늄 수입 규모 155
그림 4-1. 아프리카 국별 원유 생산량(2021년) 165
그림 4-2. 아프리카 국별 원유 확인매장량(2020년) 165
그림 4-3. 국제유가 변동에 따른 나이지리아, 앙골라의 1인당 GDP 변동 추이(1995~2020년) 166
그림 4-4. 케냐, 우간다, 세네갈의 연간 원유 생산량 전망 168
그림 4-5. 우간다 Lake Albert 인근 유전 169
그림 4-6. 세네갈 Sangomar 유전 169
그림 4-7. MSGBC 지도 173
그림 4-8.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송유관 176
그림 4-9. 한국의 대 아프리카 원유 수입 변화, 2008~22년 177
그림 4-10. 나이지리아 일평균 산유량 변화 179
그림 4-11. 나이지리아의 일평균 원유 정제량 추이(2016~22년) 180
그림 4-12. 단고테(Dangote) 정유소 가동 후 정제량 변화 전망(2021~32년) 181
그림 4-13. 2022년 앙골라의 주요 석유 수출상대국 186
그림 4-14. 2021년 매장량 기준 아프리카 10대 천연가스 보유국 188
그림 4-15. 아프리카에서 운영 중인 LNG 수입 및 수출 터미널 용량 192
그림 4-16. 계획된 LNG 수출 터미널 건설을 위한 예상 투자액 192
그림 4-17. 제안 단계에 있는 아프리카 지역 가스관 193
그림 4-18. CAPS 프로젝트 일정 194
그림 4-19. 남아공 단계별 가스관(PGPN) 위치 198
그림 4-20.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가스관 198
그림 4-21. 한국의 대 아프리카 천연가스 수입액 추이, 2005~22년 199
그림 4-22. 2021년 나이지리아의 주요 천연가스 수출상대국 202
그림 4-23. 2021년 앙골라의 주요 천연가스 수출대상국 207
그림 4-24. 모잠비크 로부마 가스전과 제1광구(Area 1), 제4광구(Area 4) 위치 209
그림 4-25. 모잠비크의 LNG 수출량 추이(2020~31년) 210
그림 4-26. 천연가스 개발을 통한 모잠비크 정부의 재정수입 추이 전망 210
그림 4-27. 탄자니아 가스전 위치 214
그림 4-28. 광물별 전 세계 총생산 대비 아프리카 지역의 비중 216
그림 4-29. 아프리카 지역 주요 광물 분포 217
그림 4-30. DR콩고의 자원 분포도 219
그림 4-31. 아프리카 구리 벨트 220
그림 4-32. 중앙아프리카 구리 벨트 220
그림 4-33. 중국의 지역별 차관 제공 규모 변화 224
그림 4-34. 2021년 기준 중국의 투자를 받는 아프리카 국가 및 광물 224
그림 4-35. 2022년 희금속 원재료 주요 수입국 비중 225
그림 4-36. 2022년 국별 코발트 공급 비중 228
그림 4-37. 국별 코발트 성장 잠재력(2022~30년) 228
그림 4-38. 코발트 국제가격의 변동 추이(2021.1월~현재) 231
그림 4-39. 탄자니아 SGR 프로젝트 236
그림 4-40. 아프리카 주요 리튬 공급국 성장 전망(2021~31년) 240
그림 4-41. 아프리카 주요국의 리튬 공급망 243
그림 4-42. 아프리카 주요국의 흑연 공급망 246
그림 4-43. 탄자니아 흑연 매장지 및 Mahenge 프로젝트 위치 248
그림 4-44. 아프리카 석유제품 수요 변화 전망 250
그림 4-45. 4대 핵심광물의 2020년 대비 2040년 수요 변화 253
그림 4-46. 2022년 주요국의 전기차 배터리 생태계 단계별 공급망 점유율 수준 25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67944 | 333.8 -25-1 |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 이용가능 | |
0003167945 | 333.8 -25-1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6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