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8
1. 연구 배경과 목적 19
가. 연구 배경 19
나. 연구 목적 20
2. 연구 수행방법 20
가. 선행연구 고찰 20
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2
다. 연구 내용과 수행방법 24
제2장 인도 경제의 성장과 수출입 구조 분석 29
1. 인도 경제성장 모델과 해운ㆍ항만 30
가. 인도 경제와 해운ㆍ항만 발전 전략 30
나. 인도 해운ㆍ항만 현황 및 발전 전망 34
다. 인도 주요 컨테이너 항만/배후권 물류체계 현황 46
2. 인도의 교역 구조와 해운ㆍ항만 51
가. 인도의 수출입 현황과 특징 51
나. 인도 항만의 국제교역 현황 58
3. 한국-인도 교역 구조와 주요 품목별 이용항만 61
가. 한국-인도 교역 구조 61
나. 인도의 메이저 항만별 대한국 교역 66
4. 소결 72
제3장 인도 해운ㆍ항만 제도와 기업 협력 여건 75
1. 개요 76
2. 행정 조직 및 주요 정책 77
가. 행정 조직 77
나. 주요 정책 및 지원 제도 83
3. 분야별 법규 현황과 특징 101
가. 항만 운영 관련 법규 103
나. 선박 운항 관련 법규 104
다. 기타 법규 106
4. 기업 현황 및 협력 여건 108
가. 해운시장 기업 현황 및 협력 여건 109
나. 항만건설/운영기업 현황 및 협력 여건 115
다. 종합물류기업 환경 120
5. 소결 123
가. 요약 123
나. 정책 평가 및 시사점 125
제4장 인도 항만물류 인프라 현황 - 3대 권역을 중심으로 127
1. 개요 128
2. 메이저 항만 현황 129
가. 주요 동향 및 경쟁력 분석 129
나. 대(對)한국 물동량 동향 및 물류 체계 138
다. 한-인도 컨테이너 항로 및 내륙 물류 체계 146
3. 뭄바이 권역 155
가. 뭄바이항 155
나. 나바쉐바항 161
4. 첸나이 권역 167
가. 첸나이항 167
나. 카마라자르항(Ennore항) 174
5. 콜카타 권역 178
가. 운영현황 179
나. 물류 인프라 현황 183
다. 주요 개발계획 183
6. 소결 184
제5장 한국-인도 간 해운ㆍ항만 부문별 국제협력 제안 187
1. 개요 및 조사 방법 188
가. 협력수요 도출 개요 188
나. 협력수요 조사 방법 189
2. 한국의 수요 191
가. 기존 문헌 검토 191
나. 한국 정부의 수요 191
다. 인도ㆍ태평양 전략적 수요 검토 192
라. 전문가 인터뷰 193
마. AHP 결과 194
3. 인도의 수요 197
가. 기존 문헌 검토 197
나. 인도 정부의 수요 199
다. 전문가 인터뷰 203
라. AHP 결과 204
마. 인도 항만의 한국과의 관련성 조사 205
4. 대인도 ODA와 중립적 전문가의 견해 210
5. 해운ㆍ항만 협력 분야 검토 214
가. 수요 조사의 시사점과 제언 214
나. 협력 분야 검토 222
제6장 한국-인도 해운ㆍ항만 국제협력 시범사업 제안 230
1. 해운시장 231
가. 해운시장의 협력방안 231
나. 해운시장의 시범사업 제안 233
2. 항만 건설 및 운영 234
가. 항만 건설 및 운영의 협력방안 234
나. 항만건설 및 운영의 시범사업 제안 238
3. 항만ㆍ배후권 복합운송 239
가. 항만ㆍ배후권 간 복합운송의 협력방안 239
나. 항만ㆍ배후권 간 복합운송의 시범사업 제안 241
4. 종합의견 241
가. 인도ㆍ태평양 전략과 해운ㆍ항만산업 협력의 의의 241
나. 한국-인도 협력에 대한 SWOT 분석 245
다. 해운ㆍ항만 협력의 집중지역 검토 247
라. 의견종합 248
5. 정책제안 및 부처별 정책과제 제시 249
가. 정책 제안 249
나. 부처별 및 기관별 추진과제와 일정 제안 251
6. 해운ㆍ항만 연관산업 진출에 대한 시사점 257
가. 항만인프라 건설 257
나. 교통인프라 건설 257
참고문헌 259
[부록 1] 對 한국 항만별 품목별 처리현황 263
Executive Summary 269
판권기 3
그림 2-1. 신 인도경제 성장 전략 34
그림 2-2. 인도 항만 물동량 변화 추이 36
그림 2-3. 메이저 항만의 처리 물동량 37
그림 2-4. 인도 메이저 항만의 화물처리능력, 화물처리량 및 활용률 38
그림 2-5. 인도 메이저 항만의 화물처리 활용률 39
그림 2-6. 인도 메이저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현황 39
그림 2-7. 인도 메이저 항만의 화물 종류 40
그림 2-8. 인도 메이저 항만의 체선시간 및 평균회전시간 변화 추이 40
그림 2-9. 인도양과 벵골만 - 안다만 제도의 주요 항만 45
그림 2-10. 인도의 수출입 변화 추이 52
그림 2-11. 인도의 지역별 수출 현황 52
그림 2-12. 인도의 지역별 수입 현황 53
그림 2-13. 인도와 중국의 수출입 증가율 전망 58
그림 2-14. 인도 무역량 중 항만 활용 비중 59
그림 2-15. 상위 10대 인도 수출 항(port) 60
그림 2-16. 상위 10대 인도 수입 항(port) 61
그림 2-17. 한국의 대인도 수출입 및 무역수지 추이 63
그림 3-1. 인도 컨테이너터미널 및 운영 주체 119
그림 4-1. 인도 메이저 항만과 터미널의 위치 129
그림 4-2. 장금상선의 對 인도 해운 항로 148
그림 4-3. 인도의 석유 및 가스 파이프라인 설치현황 154
그림 4-4. 뭄바이항 시설 위치 157
그림 4-5. 뭄바이항 주요 시설 위치 157
그림 4-6. 뭄바이 권역의 도로 연결도 158
그림 4-7. 뭄바이항의 도로-철도 연결도 159
그림 4-8. 나바쉐바항의 전면도 163
그림 4-9. 나바쉐바항의 도로ㆍ철도 연결도 165
그림 4-10. 첸나이항의 전면도 169
그림 4-11. 첸나이항 근교의 도로 연결도 171
그림 4-12. 첸나이 권역의 도로 연결도 171
그림 4-13. 카마라자르항의 전면도 175
그림 4-14. 카마라자르항의 시설 위치 176
그림 4-15. 콜카타항의 위치도 178
그림 4-16. KDS항의 전면도 181
그림 4-17. KPD항의 전면도 181
그림 4-18. 버지버지항의 전면도 182
그림 4-19. HDC의 전면도 182
그림 5-1. 2020-21년도 메이저 항만의 물류 처리현황 208
그림 5-2. 2022년도 對 한국 주요 터미널 수출입 동향 209
그림 5-3. 아디니 그룹의 해운항만 사업 사례 217
그림 5-4. 뭄바이항의 개발계획 225
그림 5-5. 나바쉐바항의 개발계획 226
그림 5-6. 콜카타항의 개발계획 227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 0003080465 | 387.5 -24-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 0003080466 | 387.5 -24-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 B000104550 | 387.5 -24-2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6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