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0

Ⅰ. 머리말 17

1. 국제질서의 변화 18

2. 패러다임은 무엇인가? 20

3. 글의 구성 21

Ⅱ. 국제질서 패러다임에 대한 각국의 논의 22

1. 미국 23

가. 들어가며 23

나.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 형성과 변화 24

다. 바이든 행정부의 세계질서 인식 26

라. 전문가 및 학계의 인식 31

마. 미국의 대응 전략 34

바. 소결 38

2. 중국 39

가. 들어가며 39

나. '자유주의 국제질서', '신냉전',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에 대한 중국 정부 및 지도자 인식 40

다. 전문가 및 학계의 인식 44

라. 언론매체 보도 47

마. 소결 48

3. 유럽 49

가. 들어가며 49

나. EU와 회원국 정부의 국제질서에 대한 인식 49

다. 전문가 및 학계의 인식 55

라. 소결 57

4. 일본 59

가. 들어가며 59

나. 국제질서에 대한 정부의 인식 59

다. 전문가 및 학계의 인식 66

라. 소결 69

5. 북한 70

가. 들어가며 70

나. 세계질서 변화에 대한 김정은의 인식 72

다. 세계질서 변화에 대한 대응 인식 76

라. 소결 81

Ⅲ. 각국 인식의 특징 및 쟁점 83

1. 각국 인식의 특징 84

2. 쟁점 86

가. 현 국제질서는 신냉전질서인가 86

나. 각국의 국가이익의 추구는 가능한가? 87

다.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될 것인가? 88

Ⅳ. 맺음말 91

참고문헌 94

판권기 103

[표 1] 전략적 나침반(2022)의 핵심 내용 51

[표 2] 2013년, 2022년 「국가안전보장전략」에 나타난 국제정세 인식 62

[그림 1] 자유롭고 열린 인도ㆍ태평양 개념도(2017) 63

챗봇 챗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