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내용과 범위 18
가.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교육주체의 인식과 경험 분석 18
나.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대한 실태조사 19
다.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둘러싼 교육주체 간의 쟁점 도출 20
라.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위한 개선방안 제시 21
3. 연구 방법 21
가. 문헌연구 21
나. 집단초점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 21
다. 설문조사 22
라. 전문가 자문 22
Ⅱ. 이론적 배경 23
1. 학부모 학교참여의 개념 및 범위에 관한 이론적 검토 24
가. 학부모 학교참여의 개념 24
나. 학부모 학교참여의 범위 26
2. 학부모 참여에 관한 정부 정책의 변화 30
가. 학부모 참여의 법제화 및 변화 30
나. 학부모 학교참여의 한계점 37
3.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학부모 학교참여에 관한 정책 분석 42
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학부모 참여 정책의 방향 42
나. 학부모의 학교참여 강화를 위한 주요 사업 및 추진 실적 45
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학부모 학교참여 정책 분석의 시사점 49
Ⅲ.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학부모ㆍ교원의 인식과 경험 53
1. 분석 개요 54
가. 연구참여자 54
나. 자료의 수집 57
다. 자료의 분석 58
2.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경험 59
가. 학부모 학교참여의 목적 59
나. 학부모 학교참여의 유형 61
다. 학부모 학교참여 촉진 및 저해 요인 63
라. 학부모 학교참여의 의미 67
3.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69
가. 학부모의 학교참여 목적 69
나. 교사가 기대하는 학부모의 학교참여 유형 71
다. 학부모 학교참여의 저해 및 촉진 요인 73
라. 학부모 학교참여의 의미 80
4.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학교관리자의 인식과 경험 82
가. 학부모의 학교참여의 목적 82
나. 학부모 학교참여의 유형 84
다. 학부모 학교참여의 촉진 및 저해 요인 85
5. 소결 91
Ⅳ.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학부모ㆍ교사 인식조사 분석 94
1. 조사 개요 95
가. 조사 목적 95
나. 조사 영역 95
2. 조사 대상자 및 방법 100
가. 조사 대상자 100
나. 조사 방법 100
3. 학부모 대상 설문 분석 결과 103
가. 학부모 배경 변인 103
나. 학교참여 여부 및 목적 105
다. 학교참여 조직 및 활동 유형 114
라. 학부모 학교참여의 학교 요인 119
마. 학교참여 장애 및 활성화 요인 125
4. 교사 대상 설문 분석 결과 130
가. 교사 배경 변인 130
나. 학부모의 학교참여 필요성 및 목적 132
다.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에 대한 인식 135
라. 학부모 학교참여의 장애 및 개선방안 141
5. 소결 151
가. 학부모 대상 설문 결과 151
나. 교사 대상 설문 결과 152
다. 학부모-교사의 인식 비교 153
Ⅴ. 학부모의 학교참여에 관한 주요 쟁점 158
1. 학부모 학교참여의 목적과 역할 : 자녀교육 향상 vs. 학교교육 지원 159
2. 학부모 교육권과 교사 교육권의 갈등 : 학부모의 정당한 교육권 실천 vs. 선을 넘는 교권 침해 161
3. 학부모 소통을 둘러싼 상이한 해석 : 적극적 의견 공유 vs. 악성 민원의 발단 162
4. 학부모회 구성 및 운영 문제 : 자율성, 대표성, 폐쇄적 운영 165
5. 학부모의 낮은 학교참여도 167
6. 학부모라는 정체성 : 교육수요자 vs. 교육주체 169
7. 학부모 학교참여의 이상(理想) vs. 현실 170
Ⅵ.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173
1.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정책 추진 방향 174
가.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차이 해소 174
나. 학부모의 자녀교육권과 교사의 교육권이 상호 존중되는 학교문화 조성 175
다.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위상 정립 175
2.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방안 176
가. 단위학교 차원 177
나. 서울특별시교육청 차원 182
다. 중앙정부 차원 187
Ⅶ. 결론 및 제언 188
1. 요약 및 결론 189
2. 정책적 제언 195
3. 후속 연구 제언 198
참고문헌 199
[부록 Ⅰ] 학부모 설문조사지 203
[부록 Ⅱ] 교사 설문조사지 210
[부록 Ⅲ] F.G.I 참여자 동의서(학부모, 학교관리자, 교사) 216
[부록 Ⅳ] 학부모의 학교참여 관련 FGI 질문지(학교관리자용) 217
[부록 Ⅴ] 학부모의 학교참여 관련 FGI 질문지(학부모 담당 교사용) 219
[부록 Ⅵ] 학부모의 학교참여 관련 FGI 질문지(학부모용) 221
판권기 223
[그림 Ⅱ-1] 학부모 참여 기반과 영역(류방란 외, 2015) 29
[그림 Ⅱ-2] 2013년 학부모 지원 정책 추진 체계(교육과학기술부, 2013) 35
[그림 Ⅱ-3] 2023년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학부모ㆍ시민협력 추진 방향(서울특별시교육청, 2023a) 45
[그림 Ⅳ-1] 학부모의 학교참여 경험 여부 107
[그림 Ⅳ-2]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동 형태 110
[그림 Ⅳ-3] 학부모가 학교교육에 기대하는 점 112
[그림 Ⅳ-4] 학부모가 선호하는 소통 방법 113
[그림 Ⅳ-5] 공식조직 가입 유형 115
[그림 Ⅳ-6] 비공식 조직 가입 유형 117
[그림 Ⅳ-7] 학교운영 및 활동 참여 목적 119
[그림 Ⅳ-8] 학교의 학부모 학교참여 지원 충분 정도 121
[그림 Ⅳ-9] 교사와의 관계 만족도 123
[그림 Ⅳ-10] 담임교사와의 건강한 관계를 위한 노력 125
[그림 Ⅳ-11] 학교참여의 어려운 점 127
[그림 Ⅳ-12] 학교참여의 개선방안 130
[그림 Ⅳ-13] 학부모 학교참여 필요 정도(교사) 133
[그림 Ⅳ-14] 학부모 학교참여 목적 이유(교사) 135
[그림 Ⅳ-15] 학부모 학교참여 중 중요한 활동(최대 5가지) 137
[그림 Ⅳ-16] 학부모 학교참여에 기대하는 점(교사) 139
[그림 Ⅳ-17] 학부모와 선호하는 소통 방식 141
[그림 Ⅳ-18] 학부모와 관계 만족도 143
[그림 Ⅳ-19] 학부모와 건강한 관계를 위한 노력 145
[그림 Ⅳ-20] 학부모와 학교참여가 어려운 이유(교사) 147
[그림 Ⅳ-21] 학부모의 학교참여 개선사항(교사) 150
[그림 Ⅳ-22] 학부모 학교참여 목적에 대한 인식 비교 154
[그림 Ⅳ-23]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 인식 비교 15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