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부 인구와 역사
1. 서문
2. 숫자의 중요성

2부 유럽에 밀려드는 인구 물결
3. 앵글로색슨인의 승리
4. 독일과 러시아의 도전
5. ‘위대한 인종’의 소멸
6. 1945년 이후의 서구: 베이비붐에서 이민자 대량 유입까지
7. 1945년 이후의 러시아와 동구권: 냉전 패배 이후의 인구

3부 유럽을 넘어 전 세계에 몰아친 인구 물결
8. 일본, 중국 그리고 동아시아 국가: 인구 대국들의 고령화
9. 중동과 북아프리카: 인구 불안정
10.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최종 한계선과 미래 전망

부록: 기대수명 산출 방법/합계 출산율 산출 방법

감사의 말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인구가 바꾼 역동의 세계사 : 강대국을 만드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95362 304.6 -24-2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0003095363 304.6 -24-20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가능
0003101565 304.6 -24-2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01566 304.6 -24-2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03031 304.6 -24-2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인구는 언제나 중요했다.”

출생과 사망, 결혼과 이주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남아 있는 한
인구는 역사의 경로를 결정할 것이다.


거대한 인구 물결의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면
과거도, 현재도 이해할 수 없다.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0.8명에서 또다시 감소하여 0.72명으로 집계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급격한 인구의 감소는 어쩔 수 없는 역사의 흐름일까, 아니면 또 다른 역사적 변곡점의 시작일까? 유엔은 세계 인구가 2100년까지 멈추지 않고 증가하여 110억 명을 달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구 성장이 전 세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나라는 폭발적인 인구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또 어떤 나라는 우리나라처럼 급격한 인구 감소로 인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 중이다. 세계적인 인구학자인 저자는 이 같은 변화들이 모두 정상적인 인구 물결의 흐름 중 하나라고 이야기한다.
지난 200년 동안 인류는 역동적인 인구 물결의 흐름 속에서 큰 변화를 겪어왔다. 인구 혁명은 국가의 흥망성쇠나 권력과 경제의 대대적인 전환에도 관여했을 뿐 아니라 개인의 삶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인구가 바꾼 역동의 세계사》는 역사를 관통하는 역동적인 세계사일 뿐 아니라 자녀 대부분이 성년기 이전에 죽을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된 영국 여성들의 이야기이자, 평생 한 번도 아이를 낳아본 적 없이 아파트에서 고독사하는 일본 노인들의 이야기이자, 기회를 찾아 지중해를 건너가는 아프리카 어린이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 같은 인류의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를 다양한 통계자료를 통해 서술하였으며, 역사를 관통하는 인구 물결의 변화와 흐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영국이 한때 세계를 제패할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인구 덕분이었다. 산업혁명 이후 상하수도가 개선되고 의료보건 기술이 발전하고 물산이 풍부해지면서 영아사망률이 떨어지고 기대수명이 늘어났다.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영국은 수백만 명을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등으로 내보냈고 이를 통해 영어를 쓰는 인구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 미국이 세계 제1의 경제대국이 된 까닭은 미국 국민이 유럽 각국이나 일본인보다 더 잘 살아서가 아니라 그 나라들보다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 독일과 프랑스가 뒤이어 산업혁명에 성공했으나 이들은 인구에서 영국에 밀렸다. 해외 주둔지에 보낼 만한 인구가 부족했고 현지인들을 누를 만한 머릿수가 되지 못했다. 독일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것도 인구수에서 밀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연합군의 참호는 호주와 뉴질랜드, 미국에서 건너온 병사들로 지속적으로 채워진 반면, 독일은 그러지 못했다.

- 한 사회의 중위 연령이 높을수록 그 사회는 안정적이고 사건 사고가 줄어든다. 중위 연령이 낮은 사회는 범죄율이 높고 혁명세력이 많다. 스위스의 분위기가 평화로운 것은 그 나라의 평균 연령이 40대라는 점이 분명 작용한다. 반면 사회 불안이 끊이지 않는 예멘은 평균 연령이 20세 미만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