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인공지능 시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AI 규제 연구 = Research on AI regulation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4
청구기호
006.3 -24-158
자료실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346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24-07-01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677278
제어번호
MONO1202400005652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
총괄책임자: 김정욱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Abstract 9

01. 서론 26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7

1. 연구 배경 27

2. 연구 목적 28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29

1. 연구 내용 29

2. 연구 방법 32

02. AI 기술과 미디어 감정 분석 33

제1절 인공지능 기술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34

1.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 개괄 34

2. 생성형 인공지능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49

제2절 미디어 텍스트에 기반한 AI에 대한 감정분석 58

1. 미디어 기반 AI 감정분석 58

2. 소결 및 시사점 61

03. AI 쟁점과 규제 논의 동향 63

제1절 AI 쟁점과 규제 대상 64

1. AI 위험과 위험 기반 접근 64

2. AI 규제의 핵심 대상 - 데이터, 안전, 윤리 69

제2절 AI 데이터 문제 76

1. AI 데이터 이슈 76

2. AI 데이터의 질적 문제와 쟁점 79

제3절 AI 안전 문제 83

1. AI 안전성 83

제4절 AI 편향성 문제 95

1. AI 편향성 이슈 95

2. AI 편향성 도전과제 및 쟁점 98

3. AI 편향성 문제에 대한 대응 99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02

04. 국내 AI 국가정책 동향 106

제1절 AI 전략 및 정책 현황 107

1. 범정부 전략 107

2. 윤리ㆍ신뢰성 확보 및 디지털 질서 규범 112

3. 표준화 정책 114

4. 부처별 주요 정책 117

제2절 예산 현황 124

1. 부처별 예산 현황 124

제3절 R&D 사업 현황 134

제4절 AI 특허 동향 139

1. 분석 자료와 방법 139

2. 주요국과 비교한 한국의 인공지능 특허 출원 동향 140

3. 산업 부문별 인공지능 특허 출원 동향 142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43

1. 국내 정책 동향 및 방향성 143

2. 부처별 예산 및 R&D 사업 144

05. 주요국 AI 규제와 표준 동향 146

제1절 인공지능 규제 담론 개관 147

제2절 AI 규제 최신 동향 151

1.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151

2. 영국 155

3. 미국 160

4. 싱가포르 171

제3절 미국의 보건의료산업 AI 규제 동향 178

1. 서론 178

2. 미국 보건복지부 및 산하기관의 AI 규제 동향 180

3. 행정명령 및 주요 연방 행정부처의 AI 사용에 관한 지침서 193

4. 소결 및 시사점 202

제4절 EU와 미국의 금융산업 AI 규제 동향 204

1. 서론 204

2. 금융 부문에서의 AI: 활용의 지평과 규제의 필요성 205

3. EU와 미국의 금융 AI 규제 동향 212

4. 소결 및 시사점 226

제5절 글로벌 AI 표준 동향 227

1. AI 분야 국제표준 현황 227

2. 미국 AI 정책과 표준화 정책 231

3. EU 인공지능법과 표준화 정책 236

4. 소결 및 시사점 241

06. 산업별 AI 활용 동향과 쟁점 249

제1절 인공지능 기술의 산업별 활용 250

1. 서론 250

제2절 금융산업의 디지털화와 AI 활용 253

1. 서론 253

2. 금융 산업의 AI 활용 사례 255

3. 금융 산업 AI 관련 국내 주요 정책 258

4. 금융 산업 AI 관련 국외 주요 정책 264

5. 소결 270

제3절 제조분야 디지털화와 AI 활용 272

1. 서론 272

2. 제조분야의 AI 활용 사례 273

3. 제조분야 AI 관련 국내 주요 정책 280

4. 제조분야 AI 관련 해외 정책 285

5. 소결 293

제4절 보건의료 산업 디지털화와 AI 활용 295

1. 서론 295

2. 보건의료 산업의 AI 활용 사례 301

3. 보건의료 산업 AI 관련 국내 주요 정책 307

4. 보건의료 산업 AI 관련 국외 주요 정책 312

5. 소결 316

07. 결론: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개선 과제 321

1. 우리나라 AI 정책 현황의 시사점 322

2. AI 위험 쟁점의 축: 데이터, 안전, 윤리 323

3. 산업별 AI 규제에 대한 제언 324

4. 산업별 규제와 수평적 규제의 필요성 329

5. 규제실험 수단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 331

참고문헌 339

판권기 364

〈표 1-1〉 협동연구기관과 기관별 역할 32

〈표 2-1〉 주요 딥러닝 알고리즘 46

〈표 3-1〉 AI에 의한 피해와 AI 관련 주요 위험 66

〈표 3-2〉 AI의 주요 이슈: 직접적 및 간접적 요소 69

〈표 3-3〉 AI 규제 프레임워크와 주요 논의 75

〈표 3-4〉 미국 회계감사원 AI 프레임워크에 포함된 데이터 관련 평가관리 항목 78

〈표 3-5〉 대규모 언어모델 등 생성형 AI 기술의 대표적인 보안 위협 92

〈표 3-6〉 AI 주요 쟁점별 특징 요약 102

〈표 4-1〉 AI 국가전략('19) 주요 내용 108

〈표 4-2〉 디지털 뉴딜 정책과제별 추진과제(12개) 및 계획 109

〈표 4-3〉 2018~2020 AI 정부 정책 비교 109

〈표 4-4〉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의 주요 내용 111

〈표 4-5〉 범정부 AI 전략의 중점과제 비교 112

〈표 4-6〉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전략'의 3대 전략과 추진과제 113

〈표 4-7〉 '인공지능 윤리ㆍ신뢰성 확보 추진계획'의 주요 내용 114

〈표 4-8〉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 추진계획 115

〈표 4-9〉 부처별 주요정책 현황 117

〈표 4-10〉 부처별 주요정책과 중점과제 비교 121

〈표 4-11〉 과기부 2023년 AI분야 및 AI반도체분야 R&D 사업현황 125

〈표 4-12〉 과기부 2024년 AI분야 및 AI반도체분야 R&D 사업현황 127

〈표 4-13〉 산업부 AI 관련 사업 및 예산 현황 129

〈표 4-14〉 중기부 AI 관련 사업 및 예산 현황 131

〈표 4-15〉 행안부 AI 관련 사업 및 예산 현황 132

〈표 4-16〉 교육부 AI 관련 사업 및 예산 현황 133

〈표 4-17〉 2002~2023년간 정부 부처별 AI 관련 지원금액 누적합계 136

〈표 4-18〉 인공지능 특허 검색에 사용한 키워드 139

〈표 4-19〉 최근 5개년 주요국별 인공지능 특허의 수 140

〈표 4-20〉 최근 5개년 주요 국가 산업 부문별 특허 비중 142

〈표 5-1〉 유럽연합 AI 법의 구체적 목표(specific objectives) 151

〈표 5-2〉 유럽연합 AI 법의 4단계 위험 분류법 154

〈표 5-3〉 영국의 AI 규제 정책에 관한 주요 동향 155

〈표 5-4〉 영국의 친혁신적 접근 방식의 네 가지 특성 156

〈표 5-5〉 영국의 친혁신적 프레임워크의 다섯 가지 원칙 157

〈표 5-6〉 미국의 AI 전략 및 정책에 관한 주요 동향 160

〈표 5-7〉 미국 의회가 최근 통과시킨 AI 관련 법안 163

〈표 5-8〉 바이든 대통령의 2023년 10월 행정명령의 주요 내용 및 구성 요약 165

〈표 5-9〉 싱가포르의 AI 규제 정책에 관한 주요 동향 171

〈표 5-10〉 NAIS 2.0 중 규제와 관련한 행동 조치 174

〈표 5-11〉 중국의 AI 사용 관련 주요 규제안 및 문서 NAIS 2.0 중 규제와 관련한 행동 조치 177

〈표 5-12〉 보건의료 분야의 AI 기술 현재 및 잠재적 사용 종류 예시 및 관련 위험 요소 179

〈표 5-13〉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에 AI 사용 관련 규제 권한을 부여하는 기존 법령 183

〈표 5-14〉 FDA의 규제 관할에 속하는 주요 제품군 중 보건의료 관련 목록 및 주요 예시 185

〈표 5-15〉 특정 임상결정지원 소프트웨어 기능이 기기의 정의에서 제외되는 4가지 기준 188

〈표 5-16〉 제520(o)(1)(E)(iii)조항을 충족하기 위해 FDA가 제안한 주요 조치 188

〈표 5-17〉 FDA의 AI/ML 의료기기 주요 규제/지침 동향 191

〈표 5-18〉 AI 권리 장전의 청사진의 5가지 권리 195

〈표 5-19〉 AI 권리 장전의 청사진에 언급된 보건의료 영역의 AI 오용 사례 및 예시 197

〈표 5-20〉 AI 청사진의 5가지 권리 및 2023년 AI 행정명령의 8가지 지도 원칙 비교 199

〈표 5-21〉 2023년 AI 행정명령에 언급된 AI 관련 보건복지부의 주요 역할 201

〈표 5-22〉 EU와 미국의 금융 AI 관련 규제 및 정책 논의 동향 정리 213

〈표 5-23〉 ISO/IEC JTC1/SC42 표준위원회 구성(2024년 6월 현재) 228

〈표 5-24〉 IEEE SA의 AI 표준 개발 현황 229

〈표 5-25〉 AI 표준의 수평적 분야 232

〈표 5-26〉 CEN-CENELEC/JTC 21 AI 표준화 기술위원회 구성 237

〈표 5-27〉 한국의 주요 AI 표준 개발 현황 241

〈표 5-28〉 ISO/IEC AI 표준 개발 현황 244

〈표 5-29〉 CEN/CLC AI 표준 개발 현황 247

〈표 6-1〉 금융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역할과 기술 예시 254

〈표 6-2〉 대안신용평가모형에서의 비금융 정보 종류 255

〈표 6-3〉 안내서 내 체크리스트 문항 예시(신용평가 및 여신심사 분야) 261

〈표 6-4〉 「AI 챗봇서비스 보안성 체크리스트」 문항 예시 262

〈표 6-5〉 2020년까지의 국내 주요 스마트제조 관련 정책 281

〈표 6-6〉 「보건의료 분야 인공지능 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지침」의 주요 윤리 원칙 310

〈표 6-7〉 첨단 보건의료 분야 주요 관련 법률 제ㆍ개정 현황 311

〈표 6-8〉 EU 「인공지능법」('24.03)의 규제 등급 구분: 보건의료 관련 사례 중심 314

〈표 6-9〉 국내외 의료 인공지능 규제 관련 글로벌ㆍ국가 지침 318

〈표 6-10〉 보건의료 분야 영역별 AI 윤리 요소 318

〈표 7-1〉 AI 관련 규제 샌드박스 지정 사례('24년 5월 검색 기준) 332

[그림 2-1] 튜링 테스트의 개념 35

[그림 2-2] 러셀과 노빅에 기반한 AI의 분류 36

[그림 2-3] 헵(Donald Olding Hebb)의 가설 38

[그림 2-4] 신경세포와 퍼셉트론 39

[그림 2-5] 퍼셉트론과 다층 퍼셉트론 41

[그림 2-6] 다층 퍼셉트론과 기울기 소실 42

[그림 2-7] 볼츠만 머신과 제한된 볼츠만 머신 43

[그림 2-8] 심층신뢰신경망 44

[그림 2-9] CNN 네트워크 구조 45

[그림 2-10] RNN의 기본 구조 45

[그림 2-11] GAN 알고리즘의 원리 47

[그림 2-12] 트랜스포머의 구조 48

[그림 2-13]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딥러닝 49

[그림 2-14] 생성형 AI의 진화 추이 52

[그림 2-15] 12가지 유망 신기술의 파급효과에 대한 인식 53

[그림 2-16] AI가 만드는 제4차 산업혁명의 파동 54

[그림 2-17] 감정별 기사 비중 분포 59

[그림 2-18] 감정별 기사 수의 변화 추이 60

[그림 2-19] 감정별 기사 비중의 변화 추이 60

[그림 4-1] '인공지능(AI) R&D 전략'의 범위 107

[그림 4-2] AI 관련 과제 수행기간 현황(NTIS '24.1.7.검색기준) 134

[그림 4-3] 연도별 AI 관련 정부지원 과제 수(NTIS '24.1.7. 검색기준) 135

[그림 4-4] 연도별 AI 관련 정부지원금액(NTIS '24.1.7.검색기준) 136

[그림 4-5] 연도별(2017~2023) 정부 부처 지원금액 138

[그림 4-6] 주요국 전체와 한국의 인공지능 특허 출원 추이 141

[그림 4-7] 주요 국가별 인공지능 특허 출원 추이 141

[그림 5-1] 127국에서 통과된 AI 관련 법안의 수(2016~2022) 147

[그림 5-2] 유럽연합의 AI 시스템 사용에 따른 4단계 위험 분류 153

[그림 5-3] 최종 의사 결정에 반영된 인간의 참여 정도에 따른 3가지 분류 체계 173

[그림 5-4] 미국 FDA 조직도(2024년 3월 현재) 179

[그림 5-5] 의료기기 및 의료용 소프트웨어(SaMD)와 의료 AL/ML 기술 사용과의 관계도 190

[그림 5-6] FDA 승인을 받은 AI/ML 의료기기 수(2015~2023) 192

[그림 5-7] FDA 승인을 받은 AI/ML 의료기기의 주요 제품 코드 분포도 192

[그림 5-8] 유럽 데이터 전략 224

[그림 6-1] 2020년 이전 인공지능 활용 산업 순위 250

[그림 6-2] 금융 분야 인공지능 활용 활성화 및 신뢰 확보 방안 주요내용 259

[그림 6-3] 산업AI 내재화 전략의 주요 내용 282

[그림 6-4] 新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의 주요 내용 283

[그림 6-5] 최초의 인공지능 의사 'MYCIN'(좌) 및 IBM 'Watson for Oncology'(우)의 개념도 295

[그림 6-6]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296

[그림 6-7] 분야별 AI 민간 투자규모(2021/2022) 297

[그림 6-8] 보건의료 분야 AI Ecosystem 298

[그림 6-9] 인공지능 Hype Cycle(2023년 기준) 299

[그림 6-10] 보건의료 분야 인공지능 연구개발 현황(2015.01~2024.04) 301

[그림 6-11] 질병의 조기 발견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솔루션 302

[그림 6-12] 질병의 진단과 치료법 제시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솔루션 ① 303

[그림 6-13] 질병의 진단과 치료법 제시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솔루션 ② 304

[그림 6-14] 환자 상태 모니터링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솔루션 305

[그림 6-15] 의료 데이터 분석과 수집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솔루션 306

[그림 6-16] 질병 치료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솔루션 307

[그림 6-17] 「보건의료 데이터ㆍ인공지능 혁신전략」('21.06)의 핵심과제(9+2) 308

[그림 6-18] 미국 FDA의 'Artificial Intelligence & Medical Products'의 목표 312

[그림 6-19] 'AI Regulation White Paper' 추진 경과 31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6643 006.3 -24-15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