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9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2.1. 연구 내용 15

2.2. 연구 방법 16

제2장 주요 이슈 및 선행연구 21

제1절 청년-중장년 관련 주요 이슈 21

1.1. 일과 빈곤, 불안한 미래 21

1.2. 차이와 갈등, 소통의 장벽 22

1.3. 연륜과 혁신성, 기회의 확장 24

제2절 청년-중장년 세대 일자리 관련 선행연구 26

2.1. 청년-중장년 '고용'을 둘러싼 논의 26

2.2. 청년-중장년 '상생'을 둘러싼 논의 27

제3장 일본의 청년-중장년 정책과 세대 상생 사례 30

제1절 청년고용상황 30

제2절 청년고용 관련 정책 33

2.1. 청년고용 촉진법 실시 33

2.2. 기타 청년층 취업 지원 정책 41

2.3. 취업 빙하기 세대 지원에 관한 새로운 행동계획 2023 43

제3절 일본 정부의 고연령자 고용 연장 추진 49

3.1. 일본 정부의 고연령자 고용 연장 추진 배경 50

3.2. 고연령자의 노동시장 참가 현황 52

3.3. 고연령자 고용 촉진 정책과 청년 고용 54

3.4. 재직노령연금제도의 재검토 필요 55

3.5. 향후 과제와 시사점 56

제4절 중고령자와 청년의 협업사례 58

4.1. 기업사례 58

4.2. 지역 사례 61

제5절 중고령자와 청년을 둘러싼 고용 이슈 64

5.1. 「프리랜서 보호 신법」 참의원 본회의 통과 64

5.2. 일본 정부의 리스킬링 추진 69

제6절 소결 79

제4장 국내 청년-중장년 세대 상생 사례 92

제1절 조사 개요 92

제2절 세대 상생 일자리 관련 정책 사업 94

2.1. 중앙부처 지원사업 94

2.2. 지자체 지원사업 102

제3절 세대 상생 일자리 관련 사례 106

3.1. 기존 기업 사례 106

3.2/2.2. 창업 기업 사례 115

제4절 소결 142

제5장 세대 상생 방안 조사 결과 144

제1절 조사 개요 144

제2절 고용 및 기업지원 서비스 전문가 FGI 146

2.1. 일자리 시장에서 청년 및 중장년의 주요 특징 146

2.2. 일자리 시장에서 주된 세대 상생 형태 148

2.3. 일자리 세대 상생에서 주요 애로사항과 극복 방안 151

2.4. 일자리 세대 상생 확산을 위한 지원 요구 154

제3절 청년 및 중장년 FGI 158

3.1. 일자리 시장에서 청년 및 중장년의 주요 특징 158

3.2. 일자리 시장에서 주된 세대 상생 형태 160

3.3. 일자리 세대 상생에서 주요 애로사항과 극복 방안 161

3.4. 일자리 세대 상생 확산을 위한 지원 요구 164

제4절 소결 170

제6장 결론 및 제언 173

제1절 결론 173

제2절 제언 177

참고문헌 180

[부록 1] 사례조사 질문지 187

[부록 2] 인터뷰 질문지 194

판권기 200

표목차

〈표 3-1〉 사업주의 정보제공항목 36

〈표 3-2〉 유스 옐 인정기업의 인정기준 38

〈표 3-3〉 3년 이내 기졸자 등 채용정착장려금 지급액 42

〈표 3-4〉 공적연금 지급개시 연령의 단계적인 연장(남성) 52

〈표 3-5〉 지원금액(특정 구직자 고용개발지원금, 성장 분야 등 인재확보 및 인재육성코스) 75

〈표 4-1〉 국내 세대 상생 고용창출 지원 관련 정책 사업 및 사례 조사 개요 93

〈표 4-2〉 중앙부처의 국내 세대 상생 고용창출 지원 관련 사업 조사 결과 94

〈표 4-3〉 고용노동부의 세대 상생 고용창출 지원 관련 사업 조사 결과 96

〈표 4-4〉 중소벤처기업부의 세대 상생 고용창출 지원 관련 사업 조사 결과 99

〈표 4-5〉 그 외 정부부처의 세대 상생 고용창출 지원 관련 사업 조사 결과 102

〈표 4-6〉 지자체의 세대 상생 고용창출 지원 관련 사업 조사 결과 104

〈표 4-7〉 세대 상생 고용창출 관련 기존 기업 사례 조사 결과 106

〈표 4-8〉 기존 기업 사례 조사 결과: 청년이 선호하는 조직문화 개선 사례 107

〈표 4-9〉 기존 기업 사례 조사 결과: 대내외 청년 멘토링 지원 사례 109

〈표 4-10〉 기존 기업 사례 조사 결과: 주니어 직원의 '역' 멘토링 운영 사례 111

〈표 4-11〉 기존 기업 사례 조사 결과: 기업 내 다양한 소통 체계 마련 사례 113

〈표 4-12〉 세대 상생 고용창출 관련 창업 기업 사례 조사 결과 115

〈표 4-13〉 창업 기업 사례 조사 결과: 시니어 비즈니스에서 청년 기업 창업 사례 116

〈표 4-14〉 창업 기업 사례 조사 결과: 청년의 지역 사업에서 중장년 지역민 협업 사례 123

〈표 4-15〉 창업 기업 사례 조사 결과: 중장년과 협업하여 청년 기업 사업화 제고 사례 134

〈표 4-16〉 창업 기업 사례 조사 결과: 청년 기업으로서 중장년 일자리 지원 사례 138

〈표 5-1〉 세대 상생 활성화 의견 수렴을 위한 FGI 대상자 정보 145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절차 및 방법 16

[그림 2-1] 집단 간 소통인식 연도별 추이 23

[그림 2-2] 직장 내 세대 차이 체감도와 업무 부정적 영향도 24

[그림 2-3] 연령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25

[그림 2-4] 연령별 디지털정보화 역량 수준 25

[그림 3-1] 연령계급별 실업률 추이 31

[그림 3-2] 연령계급별 비정규직 비율 추이 31

[그림 3-3] 「노동기준법」과 「최저임금법」 규정 위반 시 불수리 기간 36

[그림 3-4] 「남녀고용기회균등법」과 「육아개호휴업법」 규정 위반 시 불수리 기간 37

[그림 3-5] 유스 옐 인정기업 마크 37

[그림 3-6] 지급개시 연령의 연장(실선: 남성, 점선: 여성) 51

[그림 3-7] 고연령자의 연령계급별 취업률의 추이 53

[그림 3-8] 프리랜서가 경험한 트러블의 주된 내용 67

[그림 3-9] 리스킬링을 통한 커리어 향상 지원사업의 개요 72

[그림 3-10] 리스킬링을 통한 커리어 향상 지원사업 시스템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