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콘텐츠 IP금융 고도화 방안 연구 [전자자료] : IP 유동화를 중심으로 = Advanced strategies for content IP finance : focusing on IP securitization / 연구책임: 홍무궁 ; 공동연구: 오하영, 이현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https://www.kcti.re.kr/web/board/boardContentsView.do?mode=W&contents_id=939d0317d42c474cbda28bfd8b13bfb7&board_id=2&searchkey=ALL
총서사항
수시연구 ; 2024-01
면수
177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71980093
제어번호
MONO12024000076033
주기사항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3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40

1. 연구 배경 40

2. 연구 목적 4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6

1. 연구 범위 46

2. 연구 방법 47

제2장 콘텐츠 IP금융 현황 분석 48

제1절 콘텐츠 IP금융의 개념과 유형 49

1. 콘텐츠 IP의 범위 49

2. 콘텐츠 IP금융의 유형 52

제2절 콘텐츠 IP금융 정책 분석 57

1. 모태펀드 문화계정 IP펀드 57

2. 콘텐츠 IP보증 63

제3절 시사점 69

1. 콘텐츠 IP금융 고도화의 필요성 69

2. 콘텐츠 IP금융 고도화의 방향성 71

제3장 콘텐츠 IP 유동화 사례 분석 76

제1절 IP 유동화의 개념과 특징 77

1. 자산유동화의 정의 및 유형 77

2. 자산유동화 대상으로서의 콘텐츠 IP 84

제2절 콘텐츠 IP 유동화의 유형별 사례 86

1. 콘텐츠 IP ABS 86

2. 콘텐츠 IP 조각투자 93

3. 콘텐츠 IP 토큰증권 99

제3절 시사점 104

1. 유동화 대상자산으로서 부상하고 있는 콘텐츠 IP 104

2. 다양한 유동화 구조의 활용 가능성 105

3. 전문투자자 중심의 시장 형성 움직임 105

4. 전문적 콘텐츠 가치평가의 필요성 107

제4장 콘텐츠기업 및 전문가 의견조사 108

제1절 콘텐츠기업 조사 109

1. 조사 개요 109

2. 조사 결과 112

제2절 전문가 의견조사 127

1. 조사 개요 127

2. 조사 결과 129

제3절 조사결과 종합 138

1. 콘텐츠 IP 유동화를 통한 자금조달의 기대효과 확인 138

2. IP 유동화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필요 139

3. 장르에 따라 상이한 IP 유동화 적용 가능성 140

4. IP 정책금융 확대의 필요성 확인 141

제5장 콘텐츠 IP금융 고도화 방안 142

1. 전문투자자 중심 단계적 시장 형성 143

2. 콘텐츠 IP 가치평가 인프라 고도화 145

3. 저작권 등록 체계 개선 148

4. 콘텐츠 IP 전문 신탁관리단체 역할 강화 150

참고문헌 152

ABSTRACT 156

[부록] 콘텐츠기업 및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157

판권기 176

〈표 2-1〉 지식재산권의 분류 50

〈표 2-2〉 기업금융, 기술금융, IP금융의 관계 52

〈표 2-3〉 모태펀드 문화계정 출자 분야(2020~2024) 58

〈표 2-4〉 문화계정 IP펀드의 주목적 투자 대상(2024년) 59

〈표 2-5〉 IP펀드 장르별 투자 규모 59

〈표 2-6〉 IP펀드 장르별 투자 유형 60

〈표 2-7〉 콘텐츠 IP보증 요건 64

〈표 2-8〉 콘텐츠 IP 활용(보유 또는 이용) 기업의 범위 64

〈표 2-9〉 콘텐츠 특화보증 평가 및 추천 현황 66

〈표 2-10〉 콘텐츠 특화보증 성공건수 및 규모 66

〈표 2-11〉 콘텐츠 특화보증 건 당 평균 보증 규모(보증규모/성공건수) 67

〈표 2-12〉 콘텐츠 IP 이용기업의 IP보증 사례 67

〈표 2-13〉 직접금융과 간접금융 72

〈표 3-1〉 자산유동화 대상 자산의 범위 확대 77

〈표 3-2〉 뮤직카우 사업재편 조건 이행결과 80

〈표 3-3〉 신종증권의 유형별 특성 81

〈표 3-4〉 유동화 자산으로서의 적격성 84

〈표 3-5〉 미국의 발행공시의무 면제 조항 93

〈표 3-6〉 신탁수익증권으로 발행된 음악저작권 유동화 현황 97

〈표 3-7〉 음악 수익증권의 수익 변화 98

〈표 3-8〉 증권사 및 콘텐츠 조각투자 기업 제휴 현황 102

〈표 4-1〉 콘텐츠기업 인식 조사 개요 109

〈표 4-2〉 콘텐츠기업 인식 조사 내용 111

〈표 4-3〉 응답 기업 정보 112

〈표 4-4〉 조사 참여 기업의 IP 보유 여부 112

〈표 4-5〉 대표 장르 및 연매출 규모별 IP 보유 건수 113

〈표 4-6〉 최근 3년간 투자 받은 경험 114

〈표 4-7〉 투자 유치 성공기업의 투자자 주체별 투자유형(복수응답) 115

〈표 4-8〉 투자 유치 실패 기업의 투자자 주체(복수응답) 115

〈표 4-9〉 투자 유치 시 애로사항 116

〈표 4-10〉 외부로부터 자금조달 경험 117

〈표 4-11〉 외부 자금조달 유형(복수응답) 117

〈표 4-12〉 IP 기반 자금조달 성공사례 경험(복수응답) 118

〈표 4-13〉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시 애로사항 119

〈표 4-14〉 콘텐츠기업 투자 유치 및 외부 자금조달 활성화 방안 119

〈표 4-15〉 콘텐츠 IP 활용 자금조달 방안 확대 시, 자금조달 용이성 예측 120

〈표 4-16〉 콘텐츠 IP 활용 자금조달 방안 확대 시, 자금조달 용이성 '긍정' 예측 이유 121

〈표 4-17〉 콘텐츠 IP 활용 자금조달 방안 확대 시, 자금조달 용이성 '부정' 예측 이유 121

〈표 4-18〉 콘텐츠 IP 활용 자금조달 적용 가능성 122

〈표 4-19〉 제작 중인 콘텐츠 활용 자금조달 방안 확대 시, 자금조달 용이성 예측 123

〈표 4-20〉 제작 중인 콘텐츠 활용 자금조달 방안 확대 시, 자금조달 용이성 '긍정' 예측 이유 124

〈표 4-21〉 제작 중인 콘텐츠 활용 자금조달 방안 확대 시, 자금조달 용이성 '부정' 예측 이유 124

〈표 4-22〉 제작 중인 콘텐츠 활용 자금조달 적용 가능성 125

〈표 4-23〉 콘텐츠 IP를 활용한 자금조달 활성화 위한 우선해결 과제 126

〈표 4-24〉 전문가 의견조사 개요 127

〈표 4-25〉 전문가 의견조사 내용 128

〈표 4-26〉 IP 유동화를 통한 자금조달 확대에 따른 기대효과 129

〈표 4-27〉 IP 유동화를 통한 자금조달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 130

〈표 4-28〉 장르별 IP 유동화 적용 가능성 131

〈표 4-29〉 콘텐츠 전문 가치평가 인프라 확대 133

〈표 4-30〉 콘텐츠 IP 유동화 관련 인프라 고도화 134

〈표 4-31〉 콘텐츠 IP 유동화 관련 법ㆍ제도 개선 136

〈표 4-32〉 콘텐츠 IP 기반 정책금융 확대 137

〈표 5-1〉 콘텐츠 IP 유동화를 위한 가치평가 사례 146

〈표 5-2〉 저작권법 제55조 중 일부 148

〈표 5-3〉 국내 저작권 신탁관리단체(신탁관리업) 150

[그림 1-1] S&P 500 기업가치의 무형자산 비중 40

[그림 1-2] 국내 IP금융 규모 41

[그림 1-3] 콘텐츠 IP의 확장 사례 42

[그림 2-1] IP금융의 유형 52

[그림 2-2] IP담보대출의 구조 53

[그림 2-3]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IP보증 구조 54

[그림 2-4] IP Sale and License Back(SLB) 구조 55

[그림 2-5] IP유동화증권 투자 구조 56

[그림 2-6] 콘텐츠 특화보증 제도의 구성 65

[그림 2-7] 콘텐츠 정책금융제도 인지도 68

[그림 2-8] 국내 주요 조각투자 플랫폼 이용자 연령대별 비중 70

[그림 2-9] 콘텐츠 IP금융 고도화의 방향성 73

[그림 3-1] 음원 저작권료 참여청구권 기반 뮤직카우의 사업구조 79

[그림 3-2]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분류와 조각투자의 영역 81

[그림 3-3] 글로벌 토큰증권 시장 규모 전망(2030년) 82

[그림 3-4] 글로벌 음반산업 부문별 매출 추이 88

[그림 3-5] Hipgnosis Music Assets 2022-1 L.P.의 구조 91

[그림 3-6] 음악조각투자플랫폼(뮤직카우)의 사업 구조 96

[그림 3-7] 뮤직카우의 신규 상장곡 발행가 추정 방식 97

[그림 3-8] INX에 상장된 Advent Entertainment 토큰증권 9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