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Ⅰ.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1) 연구의 필요성 18
2) 연구의 목적 20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1) 연구내용 21
2) 연구방법 22
3. 연구 절차 23
Ⅱ. 다문화 후기 청소년 현황 및 지원정책 24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의 및 현황 25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의 25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현황 26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선행연구 36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선행연구 36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발달 관련 정책의 주요 이슈 44
3. 다문화 후기 청소년 국내ㆍ외 지원정책 50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국내 지원정책 50
2) 다문화/비다문화 후기 청소년 국외 지원정책 53
4. 소결 58
1) 다문화 후기 청소년의 정의 및 범위, 현황 58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특징 및 실태, 정책 지원 방향 59
3)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국내ㆍ외 지원정책 62
Ⅲ.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심층조사 분석 결과 64
1. 조사개요 65
1) 조사대상 및 방법 65
2) 조사내용 66
3) 조사참여자 현황 69
2. 다문화 후기청소년 심층조사 결과 72
1) 다문화 가족 청년(중도입국 청년)의 어려움 72
2) 청소년기 진로/진학 지원 76
3) 대학 진학/학업 81
4) 취업/일자리 88
5)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 혹은 청년지원정책 수혜 경험 96
6) 주거/거주 여건 107
7) 언어 문화 경험 및 여가생활 118
8) 건강상태 125
9) 정서/사회적 관계 127
10) 차별/배제 경험, 정체성 132
11) 사회활동 참여 142
12) 기타 의견 143
3. 전문가 심층조사 결과 146
1) 청소년 후기(19세~24세)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족 현황, 실태 전반 146
2) 다문화 후기(19세~24세) 청소년의 진로/진학 지원 153
3) 대학 진학/학업 158
4) 취업/일자리 162
5) 지역(시군) 일자리, 교육, 교통, 문화여가시설 등 정주 여건 166
6) 정책 수요 168
7) 기타 의견 178
4. 소결 181
1) 지역(시군) 다문화 후기 청소년 관련 전반적 현황 181
2) 다문화가족 청년의 어려움 181
3) 청소년기 진로/진학 지원 182
4) 대학 진학/학업 183
5) 취업/일자리 184
6)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 혹은 청년지원정책 수혜 경험 185
7) 주거/거주 여건 186
8) 언어 문화 경험 및 여가생활 186
9) 건강상태 187
10) 정서/사회적 관계 188
11) 차별/배제 경험, 정체성 188
12) 사회활동 참여 189
13) 기타 의견 189
Ⅳ.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방향 및 정책 과제 190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심층조사 주요 결과 및 시사점 191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방향 193
1) 다문화 후기 청소년의 다양성과 더불어 이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반영 193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연계 강화와 전문센터 및 지원팀 구축, 가족 센터 역할 확장 194
3) 대입 및 대학생활의 어려움, 취업 지원 정책 및 정주 의향 등을 고려 196
3. 다문화 후기 청소년 세부 정책 과제 198
1)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비전 및 목표 198
2)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영역 및 세부과제 199
참고문헌 221
판권기 2
[그림 Ⅰ-1] 연구 절차 23
[그림 Ⅱ-1] 전국 다문화 중ㆍ고등학생 현황(2014~2022) 28
[그림 Ⅱ-2] 경상북도 다문화 중ㆍ고등학생 현황(2014~2022) 28
[그림 Ⅱ-3] 2018년, 2022년 전국 13세~18세 국내출생 자녀 추이 비교 33
[그림 Ⅱ-4] 2018년 경상북도 13세~18세 국내출생 자녀 35
[그림 Ⅱ-5] 다문화배경 청년의 평생교육 분석 틀 37
[그림 Ⅲ-1] 다문화가족 및 청년 지원사업 인지도 96
[그림 Ⅲ-2] 청년정책 인지 여부 97
[그림 Ⅲ-3] 청년정책 활용 경험 98
[그림 Ⅲ-4] 청년정책 필요성 98
[그림 Ⅳ-1] 경상북도 다문화 후기 청소년 정책 비전 및 목표 19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68847 | 362.7 -25-20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68848 | 362.7 -25-20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17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