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정치인들 싸우는 이야기’에 지쳐 버린 당신에게
정치뉴스가 왜 필요할까? 우리 삶과 밀접하기 때문이다. 정치뉴스는 밥상, 대중교통, 영화 관람료, 일자리, 집값, 교육 기회, 대기 질에 대해 알려 준다. 대통령과 국회 이야기만 정치뉴스가 아니다. 정치뉴스가 이렇게 다채롭고 중요하지만, 즐겨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내용이 복잡해 이해하기 어렵고, 특정 정치인들과 정당의 다툼에만 집중하고, 사실 확인 없이 전달만 하는 뉴스에 지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세상 돌아가는 일’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다시 정치뉴스에 시선을 고정해야 한다. 이 책은 정치뉴스가 무엇인지, 무엇이어야 하는지부터 다시 묻는다.

정치, 사회, 세상을 읽는 법
종이 신문을 구독해 정치뉴스를 읽는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전통적인 방식의 정치뉴스 생산과 소비는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제 정치뉴스는 신문과 방송뿐만 아니라 포털, 소셜미디어, 숏폼에서 만들어지고 확산된다. SNS의 ‘좋아요’와 ‘공유’도 뉴스 소비의 한 방식이 됐다. 오늘 나의 소비 행동은 알고리즘을 매개로 내일 나의 뉴스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치뉴스를 잘 읽기 위해 달라지는 뉴스 플랫폼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정치뉴스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디에서 어떻게 유통되는지 아는 데서 읽기가 시작된다.

정치, 사회, 세상에 참여하는 시민이 되는 법
정치뉴스를 통해 정치, 사회,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읽었다면, 다음은 쓰고 말하는 것이다. 이를 ‘참여’라 할 수 있다. 뉴스 소비자의 참여는 ‘좋은 정치뉴스’, 더 나아가 ‘좋은 정치’를 만든다. 뉴스와 정치 환경의 변화로 참여의 기회가 크게 늘었다. 더 이상 뉴스 소비자와 생산자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별히 이 책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해 쓰였다. 투표권을 행사하기 시작한 젊은 시민들에게 정치뉴스의 이모저모를 일목요연하게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 정치뉴스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책을 넘어서기 위해, 각 장의 시작에는 구체적인 사례를 다루는 대화를, 끝에는 활용과 참여를 돕는 질문과 과제를 배치했다. 각종 교과, 활동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