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발간사 _이정희
들어가며: 일본의 공생교육에 대하여 _홍현길

제Ⅰ부 공생교육 이념과 원리

제1장 일본의 ‘다문화 공생’ 교육 _천호성
1. ‘다문화 공생’의 의의
2. 일본 ‘다문화 공생’의 전개
3. 일본 ‘다문화 공생’의 비판적 고찰
4. ‘다문화 공생’은 말이 아닌 실천이 중요하다

제2장 일본의 공생을 위한 평화교육 연구 동향 _이정희
1. 공생을 위한 평화교육의 출발
2. 공기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의 특징
3. 대응 분석을 통해 본 일본 평화교육 연구의 특징
4. 일본의 공생을 위한 평화교육 연구의 특징과 과제

제3장 공생의 관점에서 교육환경변화 분석: 일본의 교육정책변화를 중심으로 _장지은
1. 들어가며
2. 학교환경변화와 교육경험 확장
3. 나가며

제4장 일본의 인도태평양 협력체제와 공생주의 국제교육 _윤종혁
1. ‘새로운 자본주의’와 국제교육개발협력의 변화
2. 공생공영을 위한 ‘인도·태평양협력’ 추진전략
3. 지속가능개발목표 2030 체제에 따른 ESD·시민교육
4. 지속가능개발교육 공유사업과 글로벌 교육협력체제

제Ⅱ부 공생교육 실천 정책

제5장 일본의 공생을 위한 교원정책의 변화 _송민영
1. ‘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원정책
2. ‘학교에서 일하는 방식 개혁’ 의 추진
3. 교원의 근태관리와 처우 개선
4. 일본의 교원면허갱신제 폐지

제6장 비경제활동청년 증가 원인과 대안: ‘공생(共生)’을 위한 한일사회 진로교육 비교분석 _이은주
1. 비경제활동 인구증가 개요 및 원인
2. 비경제청년 증가 이론적 배경
3. 한일사회의 비경제 인구증가 요인 분석
4. 진로교육 ‘커리어교육’과 ‘자유학년제’ 비교
5. 공생을 위한 교육제도 및 인식개선 제언

제7장 기초교육을 보장하는 일본형 공교육: 2016년 교육기회확보법 제정과 야간중학교의 재검토 _요코제키 리에
1. 들어가며
2. 일본의 의무교육 미수료자 현황
3. 교육기회 확보법 성립 이후의 야간 중학정책의 동향
4. 일본 야간중학교 정책의 향후 과제
5. 결 론 : 일본형 공교육으로 본 미래 전망

제8장 장애인의 자립 공생과 커뮤니티 임파워먼트의 가능성 _오민석
1. 장애는 지역 공동의 문제
2. 자기결정에 의한 자립공생생활
3. 업생활 참여와 사회적 연대의 형성
4. 장애인의 자립공생과정과 커뮤니티 임파워먼트
5. 장애인의 공동노동과 사회교육복지의 실천

제Ⅲ부 공생교육 학교교육 실천 사례

제9장 일본의 다문화 공생 사회에 관한 학습교재 “효탄섬 문제” _미즈노 지즈루
1. “효탄섬 문제” 란
2. “효탄섬 문제”에서 다룬 사회문제와 개념
3. “효탄섬 문제”를 논제로 한 디베이트의 수업
4. “효탄섬 문제”를 통해 배운 것
5. 다문화 공생교육의 필요성과 교재 개발

제10장 동아시아 공생을 위한 초등학교 과거사 교육 사례 _차보은
1. 왜 과거사를 교육해야 하는가?
2. 과거사를 교육하는 것
3. 과거사 교육 사례: 일본 S 초등학교
4. 트랜스내셔널 기억의 공유와 동아시아 평화
5. 맺음말

제11장 협동과 공생을 기반으로 한 『또 하나의 학교』: 일본 홋카이도 프리스쿨 지유가오카가쿠엔 교육과 실천을 중심으로 _송미란
1. 협동과 공생이 부재한 학교교육 현장
2. 공교육의 미래-학교를 거부하는 부등교아이들과 프리스쿨
3. 지유가오카가쿠엔의 새로운 학교만들기 운동
4. 삶과 사회를 주체적으로 살아내는 내발적(内発的) 배움의 가능성

제Ⅳ부 공생교육 평생학습 실천 사례

제12장 일본의 공생기반 진로교육 _신현정
1. 일본 커리어교육의 전개 양상
2. 체계적인 일본 커리어교육의 평가 시스템
3. 진로 성찰을 위한 ‘커리어 패스포트’ 사례
4. 공생기반 커리어교육의 함의와 전망

제13장 공생교육 기반 지역주민 배움의 공간 세토우치시립도서관 _임형연
1. 들어가며
2. 도서관의 학습공간화
3. 지역주민 공생교육 공간의 구현: 세토우치시립도서관 사례
4. 결론

제14장 ‘본명’을 둘러싼 딜레마와 다문화 공생교육 _오혜경
1. 일본의 다문화 공생교육과 민족학급
2. 민족학급이 걸어온 길
3. 민족학급의 현황
4. 민족학급과 ‘본명’ 실천
5. ‘본명’을 둘러싼 새로운 갈등
6. ‘민족명’ 사용 논란으로 불거진 다문화 공생교육의 허와 실

이용현황보기

일본의 공생교육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9183 370.953 -24-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49184 370.953 -24-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일본의 공생교육》은 일본 교육에서 다문화 공생과 평화교육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학술적 연구서로, 공생이라는 이념이 어떻게 교육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탐구한다. 이 책은 단순한 학문적 이론을 넘어서, 다문화 사회에서의 상호 이해와 협력, 공존을 실제로 구현한 다양한 교육 사례들을 상세히 소개한다. 특히 공생교육이 단지 정책적 방향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실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육 활동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1부에서는 공생교육의 이념적 배경과 원리를 다룬다. 다문화 공생이라는 개념이 일본 사회에서 등장한 배경과 그 의의를 설명하며, 일본의 평화교육이 공생 교육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2부에서는 공생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변화를 다룬다. 일본의 교원정책 변화, 장애인 자립 지원, 비경제 청년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정책적 시도들이 공생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하며, 이를 통해 교육 기회의 평등과 질적 향상이 추구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3부에서는 학교 교육에서의 공생교육 실천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효탄섬 문제'와 같은 다문화 공생 교재는 협동과 공존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도구로 평가받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의 과거사 교육과 홋카이도 프리스쿨 사례는 교육적 다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 4부에서는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다룬다. 공생교육이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와의 연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민들이 평생학습을 통해 공생의 가치를 배우고 실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의 공생교육》은 일본의 공생교육 시스템을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다루며, 다문화 사회의 공존과 평화를 교육을 통해 실현하는 방법을 탐색한다. 이 책은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교육자와 연구자뿐만 아니라, 공생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독자들에게도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교육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인간과 사회의 공생을 실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설득력 있게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