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아세안 관계 35년의 회고와 전망 [전자자료] / 지은이: 이재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아산정책연구원, 202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https://www.asaninst.org/contents/%ed%95%9c-%ec%95%84%ec%84%b8%ec%95%88-%ea%b4%80%ea%b3%84-35%eb%85%84%ec%9d%98-%ed%9a%8c%ea%b3%a0%ec%99%80-%ec%a0%84%eb%a7%9d/
총서사항
Asan report
면수
117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702925(PDF)
제어번호
MONO1202400008395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층위와 각 장의 구성 12

Ⅱ. 한-아세안 관계의 발전 14

1. 2000년대 이전 한-아세안 관계 14

2. 2000년대 이후 한-아세안 관계 발전 16

3. 한-아세안 관계 35년의 성과: 경제, 사회, 제도와 인식 19

Ⅲ. 정치안보 분야의 한-아세안 관계 25

1. 한-아세안 정치안보 부문의 공식 관계 25

2. 국방안보 협력 27

3. 비전통안보 협력 35

Ⅳ. 경제와 사회문화 분야의 한-아세안 관계 38

1. 한-아세안 무역과 투자 39

2. 경제협정과 경제 협력 제도의 발달 43

3. 아세안 지역 공적 원조 46

4. 한-아세안 인적 교류의 확대 48

5. 보건과 교육 협력 52

6. 문화 협력: 한류의 확산과 쌍방향 문화 교류의 촉진 57

Ⅴ. 한국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 61

1. 김대중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 61

2.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동남아 정책 63

3.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 69

Ⅵ. 한-아세안 관계가 노정한 한계 78

1. 한국의 대아세안 정책의 일관성 78

2. 동남아 지역에서 한국의 존재감 80

3. 한-아세안 협력의 분야별 불균형 86

4. 아세안 개별 국가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균형 90

5. 한국 내 지식 기반의 한계 93

Ⅶ. 한국의 대아세안 정책의 향후 방향 99

1. 한-아세안 연대구상의 추진 99

2.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수립 103

3. 한-아세안 관계에서 드러나는 불균형의 해소 106

4. 한국 내 인식의 변화와 제고 109

5. 정책 및 지식 기반의 강화 112

Ⅷ. 결론 114

판권기 116

[표 1] 한국과 북한의 동남아 국가 수교 연도 14

[표 2] 한-아세안 관계 발전의 중요 이정표 18

[표 3] 한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가 한국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19

[표 4] 주요 사회문화 지표에서 한-아세안 관계의 발전 21

[표 5] 한-아세안 간 장관협의체 및 한국, 아세안을 포함한 지역 장관협의체 27

[표 6] 코브라 골드 훈련 참여 국가와 참여 형태 30

[표 7] 한국의 대동남아 국가 노후 함정 인도 실적 32

[표 8] 한국의 대동남아 방산 수출 주요 사례 34

[표 9] 2024년 한국의 동남아에 대한 비전통안보 분야 ODA 사업 37

[표 10] 아세안 지역에 투자한 한국 법인 수 42

[표 11] 2020년 주요 투자국/지역에 대한 한국의 투자액 대비 법인 수 42

[표 12] 중점 협력국 중 아세안 수원국의 수원 규모 순위 48

[표 13] 한-아세안 연간 인적 이동 49

[표 14] 2022년 체류 목적별 아세안 인구 수 50

[표 15] 한국 내 아세안 인구 및 아세안 내 한국인 인구 수 51

[표 16] 한국과 아세안 국가 사이 항공 운항 편수 51

[표 17] 2023년 대아세안 ODA 보건 협력 현황 54

[표 18] 한국의 대아세안 문화콘텐츠 수출 57

[표 19] 2020년 지역별 한국 문화콘텐츠 시장 규모 58

[표 20] 신남방정책의 3대 분야와 전략 과제 72

[표 21] 신남방정책플러스의 7대 이니셔티브 74

[표 22] 아세안 관련 세일즈 외교 보도 80

[표 23] 동남아 지역에서 경제적으로 영향력이 큰 국가 81

[표 24] 동남아 지역에서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큰 국가 81

[표 25] 자유무역 수호 리더십 82

[표 26] 규칙기반질서 및 국제법 수호 리더십 82

[표 27] 제3의 연대 대상 83

[표 28] 2019년 국내 대학의 지역학 전공 개설 현황 95

[표 29] 2006년과 2020년 동남아 교육 비교 96

[표 30] KASI의 8대 중점 추진 과제 101

[표 31] 주요 대화상대와 아세안 사이 AOIP 협력 문서 105

[그림 1] 1990~2022년 한-아세안 무역 40

[그림 2] 한국의 대아세안 투자와 누적 투자액 41

[그림 3] 한국의 전 세계 ODA와 대아세안 ODA 47

[그림 4]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개념도 69

[그림 5] 아세안에 대한 전략적 중요성 순위 84

[그림 6] 2022년 한국과 개별 아세안 국가의 무역액 9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