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2
제1장 서론 2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0
제3절 용어의 정의 35
제4절 연구의 한계 36
제2장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40
제1절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역할 41
1.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체험지원센터 41
2. 진로체험지원센터 관련 정책 추진 현황 43
3.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현황 47
제2절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교육 운영 현황 53
1.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변천 53
2. 진로교육과 학교 교육과정 연계의 노력 56
3. 학교 교육과정 내 진로교육 편성ㆍ운영 현황 63
제3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의 의의 69
1.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교육의 통합적 접근 69
2.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진로체험지원센터 역할 논의 71
제3장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 사례 연구 73
제1절 사례 연구 개요 74
1. 사례 연구 대상 선정 75
2. 사례 조사 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76
3. FGI 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78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운영 지원 사례 80
1. A 진로체험지원센터 사례 분석 80
2. B 진로체험지원센터 사례 분석 88
3. C 진로체험지원센터 사례 분석 95
4. D 지역진로교육센터 103
5. 사례 조사 종합 및 시사점 108
제3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의 주요 논점 112
1. 학교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 편성ㆍ운영 113
2.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서 진로체험지원센터에 기대되는 역할 119
3.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ㆍ협력 강화를 위한 진로체험지원센터의 과제 122
4.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ㆍ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 차원의 진로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향 128
5. FGI 분석 종합 및 시사점 131
제4장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 설문조사 133
제1절 설문 조사 개요 134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 실태 136
1.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학교 진로교육 지원 현황 136
2.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 현황 143
제3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 요구 153
1.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을 위한 필요 153
2.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역할 변화 기대 156
제4절 진로체험지원센터 특성과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 차이 분석 158
1. 진로체험지원센터의 운영 유형 및 예산 차이 158
2. 정기 협의체 운영의 차이 159
3. 진로체험지원센터 업무 실행 인식 수준 차이 164
4. 개인 신청 프로그램 운영에서의 차이 167
5.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에서의 차이 168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70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73
제1절 결론 174
1. 미래 지향적 진로체험지원센터의 모습 175
2.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의 발전 과정 177
제2절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의 연계ㆍ협력 정책 방안 181
1.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의 기본 방향 181
2. 추진 과제 Ⅰ: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운영 혁신 방안 184
3. 추진 과제 Ⅱ: 진로체험지원센터 주도의 지역 진로교육 역량 고도화 190
4. 추진 과제 Ⅲ: 지역 기반 학생 맞춤형 진로개발 시스템 구축 199
SUMMARY 204
참고문헌 206
[부록 1] 진로체험지원센터 대상 설문 조사지 212
[부록 2] 학교 교사 대상 FGI 질문지 218
[부록 3] 시도교육청 장학사(주무관) 대상 FGI 질문지 223
판권기 224
[그림 1-1] 연구 내용 및 방법 30
[그림 2-1]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 추진 체계 42
[그림 2-2] 학교 진로교육 연간 운영 계획 수립 비율(중학교) 63
[그림 2-3] 학교 교육과정과 진로교육의 연계 71
[그림 4-1] 학교급별 학교 지원율이 100%인 센터의 비율 137
[그림 4-2] 관할 학교 외 학교 지원 여부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지원 방식 141
[그림 4-3] 센터 유형별 진로체험지원센터 업무 내 교사 참여도 인식 144
[그림 4-4] 시도교육청 협의체 운영 주기별 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50
[그림 4-5] 지역 규모별 센터 유형 비율 158
[그림 4-6] 지역 규모별 센터 주요 예산 출처 비율 159
[그림 4-7] 지역 규모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교사) 160
[그림 4-8] 지역 규모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외) 161
[그림 4-9] 주요 예산 출처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교사) 162
[그림 4-10] 주요 예산 출처별 정기 협의체 운영 정도(학교 외) 163
[그림 4-11] 지역 규모별 학교 진로체험 지원 실행 수준 165
[그림 4-12] 주요 예산 출처별 학교 진로체험 지원 실행 수준 166
[그림 4-13] 지역 규모별 개인 신청 프로그램 운영 여부 167
[그림 4-14] 주요 예산 출처별 개인 신청 프로그램 운영 여부 168
[그림 4-15] 센터 유형별 센터의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69
[그림 4-16] 주요 예산 출처별 센터 학교 교육과정 변화 대응 현황 169
[그림 5-1]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진로체험지원센터의 모습 176
[그림 5-2] 학교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의 구현 양상 177
[그림 5-3] 진로체험지원센터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ㆍ협력을 위한 정책 방안 183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 0003215436 | 371.425 -25-1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 0003215437 | 371.425 -25-1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