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디지털전환에 따른 노인일자리 활성화 방안 연구 [전자자료] / 책임연구자: 김문정 ; 공동연구자: 조준모, 이태, 정한나, 박지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2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https://kordi.or.kr/content.do?bid=248&mode=view&page=&cid=560617&sf_category=N107_1&cmsId=173
총서사항
연구-기본 ; 24-5
면수
212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3694077
제어번호
MONO12025000001124
주기사항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1

연구요약 22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5

제2절 연구 구성 및 방법 36

1. 연구 구성 및 내용 36

2. 연구방법 37

제2장 선행연구 39

제1절 디지털 전환 개념 40

제2절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자리 변화 예측 41

1. 디지털 전환에 따른 미래 직업 변화 41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근로형태 변화 48

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재상 변화 50

제3절 노인세대와 디지털 역량 53

1. 디지털 역량 53

2. 노인세대의 디지털 역량 55

제3장 디지털 전환기 고령자 일자리 수요적 특성 변화 59

제1절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디지털 전환 현황 60

1. 기업 디지털화 수준의 측정 60

2. 산업별 디지털 수준 비교 67

제2절 디지털 전환에 따른 고령자 근로환경 변화 74

1. 자료 및 기초 통계 74

2. 디지털 전환과 고령자 고용의 양적 변화 80

3. 디지털 전환과 고령자 고용의 질적 변화 95

제3절 소결 107

제4장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노인일자리 정책 현황 132

제1절 우리나라 디지털 전환 정책 주요 내용 133

제2절 디지털 대응 노인일자리 정책과 추진 현황 139

제3절 소결 147

제5장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역량 실태분석 149

제1절 분석방법 150

제2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접근성 155

1. 은퇴 전 주된 일자리 특징 155

2.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58

3. 디지털 접근성 160

제3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활용 능력 163

제4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교육 경험 및 인식 175

제5절 소결 187

제6장 결론 및 제언 189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요약 190

제2절 정책 제언 193

1. 현장중심, 실무중심의 디지털 직무교육 확충 193

2. 디지털화 수준 기반 맞춤형 일자리 개발 및 지원 194

3. 고용형태 다변화에 따른 고령근로자 고용안정성 확보 196

참고문헌 198

[부록] 2024 노인일자리 참여자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202

판권기 211

표 1-1. 연구 구성 및 주요 내용 37

표 2-1. 고성장 분야별 가치 상승 직무역량 상위 10 45

표 2-2. 재택근무의 구분 48

표 2-3. 근무유형의 장단점 49

표 2-4. 미래 인재상의 직업기초능력 51

표 2-5. 고성장 분야 요구되는 직무역량 52

표 2-6. 정보취약계층 디지털정보화 수준 구성 55

표 3-1. 기업의 디지털화 측정 지표 1(Digital Index 1)에 활용된 설문 문항 61

표 3-2. 기업의 디지털화 측정 지표 2(Digital Index 2)에 활용된 설문 문항 62

표 3-3. 기업의 디지털화 수준 측정 지표 기초 통계 63

표 3-4. 기업의 디지털화 수준 측정 지표 간의 상관관계 63

표 3-5. 기업의 디지털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66

표 3-6. 산업 대분류 기준 디지털화 수준 68

표 3-7. 산업 중분류 기준 디지털화 수준 70

표 3-8. 디지털화 수준과 고령층 고용 변화 요약: 산업 대분류 기준 111

표 3-9. 디지털화 수준과 고령층 고용 변화 요약: 산업 중분류 기준 113

표 4-1. 한국판 디지털 뉴딜정책 세부 추진과제 134

표 4-2.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세부과제 136

표 4-3.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경제 확장' 세부과제 137

표 4-4.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사회 구현' 세부과제 137

표 4-5.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 문화 확산' 세부과제 138

표 4-6.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노인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 141

표 4-7. 산업별 노인일자리 참여기업 비중 변화 144

표 4-8. 디지털화 수준이 높은 산업 중심 직종별 노인일자리 취업비중 변화 145

표 5-1. 응답자 특성 152

표 5-2. 디지털 활용 능력 분류 154

표 5-3. 은퇴 전 주된 일자리 근무기간 분포 156

표 5-4. 디지털 접근성 조사 항목 160

표 5-5. 디지털 접근성: 인터넷 이용 정도 161

표 5-6. 디지털 접근성 Ⅱ 161

표 5-7.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 pc기기 활용 165

표 5-8.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Ⅱ) 167

표 5-9.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모바일기기 활용) 168

표 5-10.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기타 디지털 기기 활용) 170

표 5-11.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정보생산 공유 활용) 172

표 5-12.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AI 기기 및 기술 활용) 173

표 5-13. 은퇴 전 주된 일자리와 현재 일자리의 디지털 활용 역량 차이 174

표 5-14. 디지털 활용 역량과 디지털 접근성, 은퇴 전 일자리 디지털 활용 수준 간의 상관관계 174

표 5-15.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경험 175

표 5-16.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어려움 정도 177

표 5-17.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어려움 해결 방법 177

표 5-18.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추가 필요 정도 Ⅰ 178

표 5-19.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추가 필요 정도 Ⅱ(대분류, 100점 기준) 179

표 5-20.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추가 필요 정도 Ⅲ(대분류, 100점 기준) 180

표 5-21.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이수 여부 Ⅰ 181

표 5-22.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이수 여부 Ⅱ 181

표 5-23.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이수 여부 Ⅲ 183

표 5-24.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도움 정도 183

표 5-25. 향후 디지털 직무 능력 향상 위한 교육 필요 정도 184

표 5-26. 향후 디지털 직무 능력 향상 위한 교육 필요 정도 186

표 5-27. 디지털 역량이 고령자 소득에 미치는 영향 분석 186

그림 2-1. 디지털 시대 노동의 탈경계화 경향 42

그림 2-2. 디지털 전환 촉진 주요 요인에 대한 산업별 비교 44

그림 2-3. 디지털 역량 범위 및 구성요소 54

그림 2-4. 부문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57

그림 3-1. 산업별 디지털화 수준 비교(산업 대분류 기준) 69

그림 3-2. 산업별 디지털화 수준 비교(산업 중분류 기준) 73

그림 3-3. 연령대별 임금근로자 비중 변화(산업 대분류 기준) 79

그림 3-4. 60-64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3

그림 3-5. 65-69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3

그림 3-6. 70-74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4

그림 3-7. 75-79세 임금근로자 규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4

그림 3-8. 60-64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7

그림 3-9. 65-69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7

그림 3-10. 70-74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8

그림 3-11. 75-79세 임금근로자 고용증가율(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88

그림 3-12. 60-64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3

그림 3-13. 65-69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3

그림 3-14. 70-74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4

그림 3-15. 75-79세 임금근로자의 전체 대비 비중 변화(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94

그림 3-16. 60-64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7

그림 3-17. 65-69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7

그림 3-18. 70-74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8

그림 3-19. 75-79세 상용직 근로자 비중(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98

그림 3-20. 60-64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1

그림 3-21. 65-69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1

그림 3-22. 70-74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2

그림 3-23. 75-79세 근로자 주당 근로시간(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2

그림 3-24. 60-64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5

그림 3-25. 65-69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5

그림 3-26. 70-74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6

그림 3-27. 75-79세 근로자 월평균 임금(2021-2023년 평균): 산업 대분류 기준 106

그림 4-1. 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 교육(기초/심화) 영역 개요 142

그림 5-1. 디지털 역량 조사 항목 150

그림 5-2.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은퇴 전 일자리 직종 분포 157

그림 5-3. 디지털 직무 역량 교육 경험 여부별 은퇴 전 일자리 직종 분포 158

그림 5-4.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59

그림 5-5. 연령별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59

그림 5-6. 학력ㆍ월소득별 일 관련 정보 획득 경로 160

그림 5-7.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1, 전체) 164

그림 5-8.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전체) 165

그림 5-9.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2, 전체) 166

그림 5-10.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pc기기 활용 Ⅱ, 전체) 167

그림 5-11.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모바일 기기 활용) 168

그림 5-12.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기타 디지털 기기 활용) 169

그림 5-13.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기타 디지털 기기 활용) 169

그림 5-14.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정보생산 공유 활용) 171

그림 5-15. 노인 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정보생산 공유 활용) 171

그림 5-16. 현재 업무 수행 시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AI 기기 및 기술 활용) 172

그림 5-17. 노인일자리 사업별 디지털 기기 활용 정도(AI 기기 및 기술 활용) 173

그림 5-18. 향후 디지털 직무 관련 교육 필요 정도 176

표 A-1. 산업분류표(대분류 및 중분류): 산업분류 10차 기준 119

그림 A-1. 고령층 임금근로자 고용 규모(산업 중분류) 123

그림 A-2. 고령층 임금근로자 증가율(산업 중분류) 125

그림 A-3. 고령층 임금근로자 비중 변화분(산업 중분류) 127

그림 A-4. 고령층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 수준(산업 중분류) 129

그림 A-5. 고령층 임금근로자 시간당 임금 수준(산업 중분류 기준) 13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