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7

제1장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4

3. 연구 범위 및 방법 15

제2장 지방투자와 지역별 인력수급 현황 18

1. 분석자료 18

2. 지방투자와 지역별 인력수급 현황 23

(1) 지방투자 현황 분석 23

(2) 지역별 인력수급 현황 26

(3) 지방투자와 인력수급 간 상관관계 분석 30

제3장 지방투자와 인력수급 간의 관계 실증분석 33

1. 분석방법 34

2. 실증분석 결과 37

제4장 국내외 정책 동향 분석 47

1. 한국형 퀵스타트 47

2. 조지아주 퀵스타트(Quick Start) 54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61

1. 주요 분석결과 요약 61

2. 정책 시사점 63

3.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7

참고문헌 69

[부록 1] 투자를 연말 유형자산으로 추정한 결과 71

판권기 76

표목차

〈표 2-1〉 인력수급 관련 주요 용어 정의 20

〈표 2-2〉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와 표준산업분류 산업매칭 22

〈표 2-3〉 지역산업별 투자 현황 25

〈표 2-4〉 지역산업별 부족인원 현황 28

〈표 2-5〉 지역산업별 채용예상인력 현황 29

〈표 3-1〉 주요 변수 기초통계 36

〈표 3-2〉 투자가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37

〈표 3-3〉 투자가 고졸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40

〈표 3-4〉 투자가 대졸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42

〈표 3-5〉 투자가 대학원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44

〈표 4-1〉 한국형 퀵스타트 지원유형 49

〈표 4-2〉 한국형 퀵스타트 참여기관 정의 49

〈표 4-3〉 한국형 퀵스타트 사업 평가요소 및 세부 항목 53

〈표 4-4〉 국내외 퀵스타트 정책 비교 59

〈표 5-1〉 투자가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요약) 62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 체계 14

〈그림 1-2〉 투자자 맞춤형 인력수급 체계 15

〈그림 2-1〉 투자 현황 23

〈그림 2-2〉 수도권과 비수도권 투자 현황 24

〈그림 2-3〉 인력수급 현황 26

〈그림 2-4〉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력수급 현황 27

〈그림 2-5〉 투자와 인력수급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31

〈그림 4-1〉 한국형 퀵스타트 추진체계 51

〈그림 4-2〉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 전개 과정 52

〈그림 4-3〉 퀵스타트 주요 프로그램 56

〈그림 4-4〉 훈련센터별 교육내용 56

〈그림 4-5〉 퀵스타트 추진절차 57

글상자목차

〈글상자 1〉 지방투자기업의 현장 목소리 48

〈글상자 2〉 직무교육 과정(안) 50

〈글상자 3〉 조지아주 주지사(Brian, P. Kemp) 55

〈글상자 4〉 기아자동차 조지아주 1억 2,000만 달러 투자에 따른 퀵스타트 전개 과정 58

〈글상자 5〉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24조(기업 및 대학의 지방이전 등) 65

부표목차

〈부표 1〉 투자가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72

〈부표 2〉 투자가 고졸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73

〈부표 3〉 투자가 대졸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74

〈부표 4〉 투자가 대학원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결과 75

이용현황보기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인력수급 체계화 방안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4834 331.12 -25-1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84835 331.12 -25-1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25850 331.12 -25-1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