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사회 변화와 미래 도시 02 새로운 미래 도시주의 03 도시 사회와 인공지능 04 도시 거버넌스와 인공지능 05 지속 가능성과 인공지능 06 모빌리티와 인공지능 07 도시 인프라와 인공지능 08 도시 공간과 인공지능 09 도시 부동산과 인공지능 10 미래 도시 계획과 인공지능
이용현황보기
도시의 미래와 AI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59047
307.76 -25-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중
0003159048
307.76 -25-1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제한
B000123196
307.76 -25-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미래 도시를 위한 스마트한 접근, AI 4차 산업 혁명과 도시의 발전에 대한 논의를 다룬다. 현대 도시는 환경, 교통, 경제 문제 등 다양한 복잡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 문제들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요소들이 얽혀 있어 해결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AI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AI는 도시의 복잡계를 이해하고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과거 사람이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특히, AI는 스마트 시티를 넘어 AI 시티라는 새로운 도시 모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 책은 도시 과학, 스마트 시티,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미래 도시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탐구한다. 10가지 아이템을 통해 도시 문제와 인공지능의 해결책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실제 사례를 들어 AI가 도시 계획과 관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보여 준다. 또한, 기후 변화, 기술 혁신, 지속 가능성, 도시 인프라와 모빌리티 혁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AI와 함께하는 미래 도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책속에서
최근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에서는 도시라는 복잡계 속에서의 빅 데이터의 수집과 해석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알지 못했던 미세 먼지나 환경 오염 문제의 발생 양상과 원인, 이유 등을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파악해 냄으로써 사전에 이를 예측하거나 미리 방지하기 위해 노력해서 문제를 저감하는 성과를 나타내기도 했다.
-01_“사회 변화와 미래 도시”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논의하고 있는 N분 생활권에 대해서도 찬반 의견이 나뉘고 있다.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생활권으로 재구조화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과 반대로 이동의 자유와 현실적인 도시 개조 비용 등의 적절성 등을 놓고, 또 다른 갈등이 제기되기도 한다. 예컨대 최근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전국적으로 철도와 도로의 지하화를 논의하고 있는데, 산업 사회의 도시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이것이 그동안 불가피하게 지역의 단절과 사회적 통합을 저해해 왔기 때문에 지하화를 통해 선형 녹지의 확보와 새로운 모빌리티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03_“도시 사회와 인공지능” 중에서
싱가포르 등에서는 디지털 트윈 등을 통해 이와 같은 모빌리티 데이터의 인공지능 관리 운영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교통 체증 없는 도시를 실현한 사례도 이미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선진 사례에서는 이런 모빌리티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관리 운영이 실용화 단계에 들어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상당 수준의 인공지능 기반 모빌리티 분석, 관리,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