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인공지능(AI) 법제 개선 방안 연구 [전자자료] : AI 법과 조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legal framework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AI laws and ordinances / 연구책임: 김성하 ; 공동연구: 성영조, 김나리, 김윤명, 유재흥, 이승환, 전정은, 허현아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경기연구원(GRI), 202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https://www.gri.re.kr/web/contents/resreport.do?schM=view&page=1&viewCount=10&schPrjType=ALL&schStartYear=&schEndYear=&schSubj1=&schSubj2=&schProjectNo=20240265&schBookResultNo=15555
총서사항
정책연구 ; 2024-86
면수
147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8533561
제어번호
MONO12025000001489
주기사항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정책건의 3

01.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11

2. 연구의 목적 12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02. 국외 인공지능 관련 법제화 현황 및 동향 14

1. EU, OECD 현황 및 동향 분석 15

1) EU 15

2) OECD 21

2. 미국, 영국 현황 및 동향 분석 26

1) 미국 26

2) 영국 31

3. 중국, 일본 현황 및 동향 분석 34

1) 중국 34

2) 일본 38

4. 시사점 40

03. 국내 인공지능 관련 법제화 현황 및 동향 42

1. 국회 입법 현황 및 동향 분석 43

1) 입법 동향 개요 43

2) 인공지능 기본법(AI 기본법) 추진 현황 45

3) 주요 5개 법안 및 대안 법안의 내용 및 분석 49

2. 자치 법규 현황 및 동향 분석 58

1) 일반 현황 및 경기도 인공지능 조례 58

2) 지역별 인공지능 관련 조례 수립 동향 분석 60

3. 시사점 63

04. AI 신뢰성 원칙 및 확보 방안 65

1. AI 신뢰성 원칙 국내외 사례 66

1) AI 신뢰성 원칙 해외 사례 66

2) AI 신뢰성 원칙 국내 사례 71

2. AI 신뢰성 검증 프레임워크 72

1) AI 신뢰성 검증 프레임워크 해외 사례 72

2) AI 신뢰성 검증 프레임워크 국내 사례 75

3. AI 신뢰성 확보 방안 77

1) AI 신뢰성 7대 원칙 77

2) AI 신뢰성 확보 방안 80

05. AI 법제(법ㆍ조례) 개선 방안 84

1. AI 법제화를 위한 기본 방향 및 목적 85

1) 정책 방향 85

2) AI 기본법의 입법 목적 87

3) AI 기본조례의 입법 목적 89

2. AI 기본법안의 구성 91

1) 법안 구성의 취지 91

2) 법안의 구성 92

3. AI 기본조례의 구성 및 조례안 99

1) 조례 구성의 취지 99

2) 조례의 구성 100

4. 시사점 104

06. 결론 및 정책 제안 106

1. 결론 107

2. 정책 제안 110

참고문헌 128

Abstract 131

[부록 1] EU AI 법 도입경과 134

[부록 2]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심의ㆍ조정 세부 사항 135

[부록 3] 인공지능 정점식의원안 中 일부 발췌 136

[부록 4] 제22대 국회인공지능 제정법안 체계 비교 137

[부록 5] 경기도 인공지능 기본조례 141

[부록 6] OECD AI 권고안 143

[부록 7] 인공지능(AI) 윤리기준 143

[부록 8] 인공지능 윤리기준 실천을 위한 자율점검표(안) 144

[부록 9] AI 관련 저작권 침해 사례 147

판권기 2

[표 2-1] 수용 불가 AI 시스템 사용 예시 16

[표 2-2] 고위험 AI 시스템 사례 17

[표 2-3] EU AI 법의 AI 구분 18

[표 2-4] 범용 AI 모델 공급자의 의무 19

[표 2-5] OECD AI 권고안 핵심 용어 21

[표 2-6] 신뢰할 수 있는 AI 구현을 위한 5가지 원칙 22

[표 2-7] OECD AI 시스템 정의 채택 및 수정 경과 23

[표 2-8] 2019년 및 2023년 AI 시스템 정의 비교 23

[표 2-9] OECD AI 시스템 재정의 주요 고려요소 24

[표 2-10] 미국 AI 안전연구소 컨소시엄의 워킹그룹 구성 28

[표 2-11] 개발자와 배포자의 의무 29

[표 2-12] 영국의 친혁신적 접근 방식의 네 가지 특성 31

[표 2-13] 영국의 친혁신적 프레임워크의 다섯 가지 원칙 32

[표 2-14] 영국 AI 안전연구소의 목표와 기능 33

[표 2-15] 영국 AI 안전연구소의 거대 언어 모델 평가 내용 33

[표 2-16] 생성형 AI 서비스 관리 잠정방법 주요 조항 34

[표 2-17] 생성형 AI 서비스 제공자의 의무와 책임 35

[표 2-18] 딥페이크 주요 규정 사항 36

[표 2-19] 딥페이크 표시 대상 서비스 36

[표 2-20] AI 제작 콘텐츠의 2가지 표시 방법 37

[표 2-21] 연도별 주요 이슈와 일본 AI 정책 38

[표 2-22] 제1회 일본 AI 전략회의 주요 이슈 38

[표 2-23] 일본 AI 사업자 가이드라인 39

[표 2-24] EU와 중국의 AI 규제 방식 비교 40

[표 3-1] 21대 국회에서 발의된 인공지능 관련 9건 법률안 주요내용 46

[표 3-2]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신뢰확보에 관한 법률안 47

[표 3-3] 제22대 국회 인공지능 관련 법률안 발의 현황('24.11.18 기준, 19건) 48

[표 3-4] 정점식의원안 50

[표 3-5] 인공지능 관련 제정안(5건) 비교(국회검토보고서, '24.8) 54

[표 3-6]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안(대안) 구성 57

[표 3-7] 지자체 및 교육청 인공지능 관련 법규 현황 62

[표 4-1] UNESCO AI 윤리 권고 10대 원칙 69

[표 4-2] AI 신뢰성 7대 원칙 제안 79

[부록-그림 1] OECD AI 권고안 143

[부록-그림 2] 국내 「인공지능(AI) 윤리기준」(2020) 143

[부록-그림 3] 생성형 AI로 생성한 울트라맨 캐릭터 14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