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6
요약표 4
Ⅰ. 입법영향분석의 배경과 필요성 9
1. 분석대상 법률의 개관 9
가. 「공직선거법」 제191조 9
(1) 유효투표 다수 득표 기준(제191조제1항) 9
(2) 후보자 1인 시 무투표 당선(제191조제3항) 9
나. 입법배경 및 목적 10
(1) 입법배경 10
(2) 입법목적 12
다. 심의경과 12
라. 주요 내용 14
(1) 지방자치단체장선거의 당선 기준 변경 14
(2)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결선투표 관련 규정 신설 14
(3) 지방자치단체장 당선인의 최소 득표기준 신설 15
2. 입법영향분석의 필요성 21
가. 제도의 개요 21
(1) 지방자치단체의 장 선거 당선인 결정 21
(2) 후보자가 1인인 선거구 21
나. 입법목적의 유효성 분석 22
3. 자료와 분석방법 24
가. 자료 24
나. 분석방법 24
Ⅱ. 관계부처 및 이해관계자 의견 25
1. 의견수렴 대상 25
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단체장 입후보자 25
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6
다. 시민단체 26
2. 주요 내용 26
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단체장 입후보자 26
(1) 양대 정당 후보자 26
(2) 소수정당 후보자 27
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8
다. 시민단체 29
Ⅲ. 입법영향분석 31
1. 입법목적의 달성 여부 분석 31
가. 콩도르세 승자의 선출 31
나. 후보자 경쟁 구도의 변화 34
(1) 이탈리아 시장 선거 사례 34
(2) 우리나라 지방선거 현황 36
다. 진심투표의 활성화 38
라. 1차 투표와 2차 투표 간 최다 득표자의 변동 40
마. 1차 투표와 2차 투표 간 투표율 변동 41
바. 무투표 당선인 제도 폐지 42
2. 입법에 따른 소요비용 43
3. 대안적 입법 가능성 44
Ⅳ. 결론 46
참고문헌 47
판권기 53
[그림 1] 역대 구ㆍ시ㆍ군의 장 선거 경쟁률 및 양당 당선인 비율 23
[그림 2] 소선거구제 주요 선거방식의 효과 33
[그림 3] 2022년 이탈리아 시장선거 유효 후보자 수 및 1위 득표율 35
[그림 4] 시도지사 선거의 유효 후보자 수와 당선인 득표율(제6~8회) 37
[그림 5] 구ㆍ시ㆍ군의 장 선거 당선인 득표율에 따른 유효 후보자 수 37
[그림 6] 구ㆍ시ㆍ군의 장 선거 유효 후보자수(시ㆍ도별) 3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65894 | LM 342.07 -25-3 |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 이용가능 | |
0003165895 | LM 342.07 -25-3 |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 이용가능 | |
B000127048 | LM 342.07 -25-3 |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법률정보센터(206호) / 서가번호: 1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