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2
제1장 연구 개요 2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7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9
제2장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 구조 분석 31
제1절 정부 중장기계획 구조 분석의 필요성 32
1. 분석의 배경 및 필요성 32
2. 관련 선행연구 검토 33
제2절 사회정책 분야 정부 중장기계획 네트워크 분석 39
1. 분석대상 39
2. 분석방법 45
3. 분석 결과 51
제3절 사회정책 분야 주요 중장기계획 사례 분석 59
1. 고용정책기본계획 등 59
2. 사회보장기본계획 등 61
3. 양성평등정책기본계획 등 63
제4절 시사점 66
제3장 정부 중장기계획 메타평가의 필요성 및 방법 68
제1절 정부 중장기계획 메타평가 관련 이론적 논의 69
1. 정책평가와 정책분석의 개념 69
2. 정책평가와 정책분석 구분의 실익 71
3. 메타평가의 개념 73
4. 정책 수립 단계의 메타평가의 필요성 75
5. 형성적 메타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 76
제2절 정부 중장기계획 메타평가 방법 79
1. 중장기계획의 현황 79
2. 중장기계획 메타평가 방법론 80
3. 중장기계획 메타평가 방법론의 한계 84
4. 중장기계획 메타평가 방법론의 개선 방안 85
제3절 시사점 92
제4장 한국 사회정책의 특성 및 불평등 완화 효과 검토 필요성 94
제1절 사회정책 분야 정부 중장기계획 네트워크 분석 95
1. 공공사회지출 규모의 빠른 증가 95
2. 소득불평등 감소 효과 저조 96
3. 보편적 사회정책 프로그램 확대 97
제2절 한국 사회정책의 불평등 완화 효과 검토 필요성 99
1. 보편주의의 발달 99
2. 보편성의 다차원성 101
제3절 시사점 103
제5장 지역격차와 소멸위험지역 정책 104
제1절 소멸위험지역과 지역불평등 105
제2절 형성평가 107
1. 관련 중장기계획의 구성 및 현황 107
2. 관련 미래사회 대응지표의 추이 120
3. 소결 125
제3절 집행 및 성과 평가 126
1. 소멸위험 '지역'에 대한 지원 126
2. 주민 삶의 질 향상 및 생활서비스 지원 130
제4절 시사점 138
제6장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중장기계획과 발전 방향 140
제1절 건강불평등의 개념과 우리나라 현황 141
제2절 형성평가 144
제3절 집행 및 성과 평가 154
1. 지역 간 건강불평등 연구 결과 154
2. 지역 간 건강불평등 연구 결과의 요약과 함의 156
제4절 함의와 시사점 158
제7장 보편주의적 급여 및 서비스 제공의 불평등 완화 효과 검토: 노인 및 영유아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160
제1절 보편주의적 급여 및 서비스 제공과 불평등 161
제2절 형성평가 163
1. 관련 중장기계획의 구성 및 현황 163
2. 관련 미래사회 대응지표의 추이 171
제3절 집행 및 성과 평가 178
1. 노인 178
2. 영유아 182
제4절 시사점 187
제8장 일ㆍ가정 양립을 위한 노동시장 근로자 지원제도의 정책효과와 집단별 격차 검토 189
제1절 일ㆍ가정 양립을 위한 노동시장 근로자 지원제도 190
제2절 형성평가 193
1. 관련 중장기계획의 구성 및 현황 193
2. 관련 미래사회 대응지표의 추이 203
제3절 집행 및 성과 평가 211
1. 육아휴직제도의 활용성 211
2. 육아휴직제도의 고용유지 효과 216
3. 육아휴직제도의 출산율 개선 효과 223
제4절 시사점 227
Abstract 231
[부록] 234
참고문헌 239
1. 문헌자료 240
2. 웹사이트 252
판권기 253
[그림 2-1] PageRank 도출 방법 예시 49
[그림 2-2]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의 네트워크 구조 52
[그림 2-3]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의 위계적 구조 53
[그림 2-4] 사회정책 분야 중심성 상위 5개 중장기계획 도출 결과 54
[그림 2-5] 사회정책 분야 중장기계획 커뮤니티 탐지 분석 결과 1 57
[그림 3-1] 중장기계획 메타평가의 기준 81
[그림 3-2] 분야별 분석을 위한 목표와 지표의 계층구조 90
[그림 4-1] 주요 OECD 회원국 공공사회지출 규모 추이(GDP 대비 비중) 95
[그림 4-2] 주요 OECD 회원국의 세금 및 소득 이전 전후 지니계수 변화 비율 96
[그림 5-1]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비전, 목표, 전략 108
[그림 5-2]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 113
[그림 5-3] 제4차 농어촌 삶의 질 기본계획의 비전, 목표, 전략, 과제 116
[그림 5-4] 제4차 농어촌 삶의 질 기본계획의 패러다임 전환 117
[그림 5-5] 2024년 삶의 질 향상 시행계획 부문별 과제 119
[그림 5-6]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비율(1999~2022) 121
[그림 5-7]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GRDP) 비율(2011~2022) 122
[그림 5-8] 재정자립도 123
[그림 5-9] 재정자주도 124
[그림 5-10] 농어촌서비스기준 항목별 목표치 및 이행 현황(2021년) 136
[그림 6-1] 제2차 공공보건의료 기본계획(2021~2025) 추진체계도 152
[그림 7-1] 0~1세 영아 지원제도의 개편 방안 167
[그림 7-2] 국민연금 수급률 추이 172
[그림 7-3] OECD 회원국의 노령연금 소득대체율(2022년 기준) 172
[그림 7-4] 노인빈곤율 추이(2011~2022) 173
[그림 7-5] OECD 회원국의 평균 노인빈곤율 추이(2010~2020) 174
[그림 7-6] 3~5세 어린이집 및 유치원 이용률 추이(2012~2021) 175
[그림 7-7] 0~2세 어린이집 이용률 추이(2010~2022) 176
[그림 7-8] 국공립어린이집 수용률 추이(2012~2022) 177
[그림 8-1] 출생아 100명당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자 수(2013~2022) 206
[그림 8-2] 경력단절여성 비율 추이(2014~2023) 207
[그림 8-3] 경력단절 사유(2014~2023) 208
[그림 8-4] OECD 회원국 및 한국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연령대별 격차(2023년) 20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