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발간사 / 황종성
추천사 / 김재완
목차
「2024 양자정보기술 백서」 주요 요약 17
I. 양자기술 동향 39
제1장 국내외 시장동향 41
제1절 개요 42
제2절 양자통신 시장동향 46
제3절 양자센싱 시장동향 51
제4절 양자컴퓨팅 시장동향 58
제5절 시사점 63
제2장 국내외 정책동향 65
제1절 개요 66
제2절 해외 정책동향 69
제3절 국내 정책동향 105
제3장 국내외 투자동향 129
제1절 개요 130
제2절 해외 투자동향 133
제3절 국내 투자동향 154
제4절 시사점 157
제4장 국내외 표준화동향 159
제1절 개요 160
제2절 해외 표준화 기구 161
제3절 국내 표준화 기구 176
제4절 시사점 182
참고문헌 185
II. 양자기술 R&D 동향 191
제1장 국내외 양자통신 R&D 동향 193
제1절 개요 194
제2절 해외 양자통신 R&D 동향 195
제3절 국내 양자통신 R&D 동향 296
제4절 시사점 328
제2장 국내외 양자센싱 R&D 동향 329
제1절 개요 330
제2절 해외 양자센서 R&D 동향 334
제3절 국내 양자센서 R&D 동향 410
제4절 시사점 430
제3장 국내외 양자컴퓨팅 R&D 동향 433
제1절 개요 434
제2절 해외 양자컴퓨팅 R&D 동향 438
제3절 국내 양자컴퓨팅 R&D 동향 542
제4절 시사점 591
참고문헌 595
판권기 627
[뒷표지] 628
그림 I-1-1. 글로벌 양자기술 분야별 시장 전망 43
그림 I-1-2. 국내 양자기술 분야별 시장 전망 44
그림 I-1-3. 양자기술 기반 글로벌 매출의 산업별 구성비 45
그림 I-1-4. 양자기술 기반 글로벌 매출의 제품 종류별 구성비 45
그림 I-1-5. 글로벌 양자통신 부문별 시장 전망 46
그림 I-1-6. 국내 양자통신 시장 전망 47
그림 I-1-7. 수요산업별 글로벌 양자 키 분배(QKD) 시장 전망 49
그림 I-1-8. 수요산업별 글로벌 기타 양자통신 시장 전망 50
그림 I-1-9. 글로벌 양자센싱 부문별 시장 전망 52
그림 I-1-10. 국내 양자센싱 시장 전망 52
그림 I-1-11. 부문별 글로벌 양자센싱·이미징 시장 전망 54
그림 I-1-12. 부문별 글로벌 양자자력계 등 기타 시장 전망 55
그림 I-1-13. 수요산업별 글로벌 양자센싱·이미징 시장 전망 56
그림 I-1-14. 수요산업별 글로벌 양자자력계 등 기타 시장 전망 57
그림 I-1-15. 글로벌 양자컴퓨팅 부문별 시장 전망 58
그림 I-1-16. 국내 양자컴퓨팅 시장 전망 59
그림 I-1-17. 구축방식별 글로벌 양자컴퓨팅 시장 전망 60
그림 I-1-18. 애플리케이션별 글로벌 양자컴퓨팅 시장 전망 61
그림 I-1-19. 수요산업별 글로벌 양자컴퓨팅 시장 전망 62
그림 I-2-1. 주요국 양자분야 정책 및 입법 현황 66
그림 I-2-2. 미국 양자 이니셔티브 추진 타임라인(2017~2021) 69
그림 I-2-3. 미국 내 양자기술 생태계 70
그림 I-2-4. 미국 내 양자기술 생태계 71
그림 I-2-5. 미국 내 양자인터넷 설계 75
그림 I-2-6. 미국 양자 이니셔티브 추진 타임라인(2017~2023) 75
그림 I-2-7. 양자선언문의 기술개발 로드맵 77
그림 I-2-8. 5대 전략적 연구 어젠다 78
그림 I-2-9. EU 양자지원 계획 및 정책의 흐름 80
그림 I-2-10. QuantERA의 양자기술 발전 목표 81
그림 I-2-11. 유럽 연합의 양자 기술 지원 현황 82
그림 I-2-12. 영국 NQTP 거버넌스 체계 및 투자 83
그림 I-2-13. 6개 이니셔티브 추진내용 88
그림 I-2-14. 캐나다 BC주 CREATE 프로그램 93
그림 I-2-15. 캐나다 국가양자전략 세부 분야 94
그림 I-2-16. 중국 양자기술 연구 관련 주요기관 현황 96
그림 I-2-17. 일본, 양자 미래사회 비전 실현을 향한 개관 101
그림 I-2-18. 일본의 양자기술 분야 문제점 및 대응 방향 102
그림 I-2-19. 양자기술 연구개발 투자전략 115
그림 I-2-20. 미래양자융합포럼 조직도 118
그림 I-2-21.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주요내용 120
그림 I-2-22. 양자기술 전략로드맵 121
그림 I-2-23.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및 정책목표 122
그림 I-2-24. 우리나라 퀀텀 이니셔티브 전략 124
그림 I-2-25. 대한민국 퀀텀 이니셔티브 전략 향후 계획 125
그림 I-2-26. 우리나라 Quantum University Alliance 계획 126
그림 I-3-1. 세계 주요국 양자산업 투자 규모 131
그림 I-3-2. 세계 주요국 양자산업 공공 부문 투자 규모 132
그림 I-3-3. 미국 양자정보과학 R&D 예산 133
그림 I-3-4. 미국 양자정보과학 R&D 예산(NQI 프로그램별) 134
그림 I-3-5. 미국 양자정보과학(QIS) R&D 예산(NQI 기관별) 134
그림 I-3-6. 양자정보과학(QIS) 2025 회계연도 요청액(NQI 기관별) 135
그림 I-3-7. NSF QLCI 프로그램 참여 기관 분포도 137
그림 I-3-8. DOE 양자정보과학 연구센터 구성 기관 분포도 139
그림 I-3-9. EU 양자플래그십 프로젝트별 투자 구조 140
그림 I-3-10. EU 양자플래그십 1단계 과제 연구개발비 구성 비율 141
그림 I-3-11. 영국 국가양자기술프로그램 허브 네트워크 143
그림 I-3-12. 영국 지역별 양자산업 프로젝트 투자금(2022년 8월 기준) 144
그림 I-3-13. 프랑스 국가양자기술전략 투자 예산 구성 비율 146
그림 I-3-14. 국내 양자사업 투자 추이 155
그림 I-4-1. ITU 조직구조 161
그림 I-4-2. ITU-T 양자기술 표준화 연구그룹 관계 162
그림 I-4-3. ITU-T 연구그룹별 주요 표준화 내용 163
그림 I-4-4. 양자 키 분배 네트워크 개요 164
그림 I-4-5. ETSI 조직구조 169
그림 I-4-6. ISO/IEC JTC1 조직구조 171
그림 I-4-7. IEEE 조직구조 173
그림 I-4-8. TTA 표준화위원회 조직구조 176
그림 I-4-9. RRA 국가표준 제개정 절차 180
그림 II-1-1. 위상 인코딩 기반 one-way BB84 QKD 실험 개요도 200
그림 II-1-2. 간섭계 안정화를 적용한 위상 인코딩 기반 one-way BB84 QKD 실험 구성도 200
그림 II-1-3. Plug&Play BB84 QKD 시스템의 실험 구성도 201
그림 II-1-4. COW-QKD 시스템의 구조 203
그림 II-1-5. DPS-QKD 프로토콜 실험 개요도 204
그림 II-1-6. RRDPS-QKD의 실험 개요도 205
그림 II-1-7. RRDPS QKD 실험 구성도 205
그림 II-1-8. LuxQuanta의 상용 CV-QKD 모듈 206
그림 II-1-9. Transmitted Local Oscillator(TLO)-CV-QKD 208
그림 II-1-10. 에너지-시간 얽힘광자쌍을 이용한 고차원 QKD 실험 구성도 212
그림 II-1-11. 수동적 QKD 개념도 212
그림 II-1-12. MDI-QKD의 실험 개요도 217
그림 II-1-13. MDI-QKD 실험 구성도 217
그림 II-1-14. TF-QKD 실험 개요도 219
그림 II-1-15. Mode-Pairing QKD 개념도 219
그림 II-1-16. 양자 얽힘 220
그림 II-1-17. BBM92 프로토콜 221
그림 II-1-18. 기기무관 QKD 222
그림 II-1-19. 드론을 이용한 양자 키 분배 실험 228
그림 II-1-20. (a) PA 동작의 개략도, (b) PA 기반 UW-CVQKD의 개략도 229
그림 II-1-21. MDI-QKD의 연도별 통신 거리 발전 추이 230
그림 II-1-22. 주간 위성 QKD 개발을 위한 주간 자유 공간 QKD 실험 231
그림 II-1-23. 빔 스플리터 기반 양자난수생성기 개요 233
그림 II-1-24. 방사선 붕괴 기반 양자난수 생성기 및 측정 방법 234
그림 II-1-25. 진공기반 연속변수 기반 양자난수 생성기 235
그림 II-1-26. Hadamard 게이트를 이용한 양자 난수 생성 방법 236
그림 II-1-27. 양자 개체 인증 분류 238
그림 II-1-28. 고전 전자서명 구조 239
그림 II-1-29. Gottesman-Chuang 전자서명 구조 240
그림 II-1-30. 양자 키 분배를 이용한 양자 전자서명 기본 구조 241
그림 II-1-31. 양자 키 분배를 이용한 양자 전자서명의 서명과 검증 241
그림 II-1-32. 유니버설 해시함수와 OTP를 사용한 전자서명 243
그림 II-1-33. OUTH-QDS vs 개선된 OUTH-QDS 243
그림 II-1-34. 양자기술 기반 스트림 암호화 247
그림 II-1-35. SD-QKD 네트워크 모델 및 인터페이스 기능 정의 250
그림 II-1-36. 양자키 전달 방안 251
그림 II-1-37. DARPA QKD 네트워크 구성도 254
그림 II-1-38. SECOQC 양자 키 분배 네트워크 구성도 254
그림 II-1-39. Tokyo UQCC 양자 키 분배 네트워크 구성도 255
그림 II-1-40. Madrid 양자 키 분배 네트워크 구성도 256
그림 II-1-41. DWDM 기반 QKD 네트워크 연결도(좌) 및 확장 안(우) 257
그림 II-1-42. 단일모드 광섬유 기반 3노드(CAPE, TREL, ENGI) 링 네트워크 258
그림 II-1-43. Berlin OpenQKD 테스트베드 259
그림 II-1-44. 양자통신 네트워크 단계 263
그림 II-1-45. 양자 메모리 큐비트를 고려한 3개 노드 양자통신 네트워크 구현 264
그림 II-1-46. 큐비트의 상태의 기하학적 표현 266
그림 II-1-47. 얽힘 정제 프로토콜 중 BBPSSW 기법 예 279
그림 II-1-48. (왼쪽) OpenQKD 베를린, (오른쪽) 마드리드 테스트베드 282
그림 II-1-49. Beijing-Shanghai 구간 설치된 백본 네트워크 개요도 284
그림 II-1-50. 오스트리아-중국 간 QKD 링크 구현 285
그림 II-1-51. DC-QNet 구성도 285
그림 II-1-52. LiQuiDNET 테스트베드 구성도 286
그림 II-1-53. IEQNET 테스트베드 구성도 287
그림 II-1-54. UKON 테스트베드 구성도 288
그림 II-1-55. ISO/IEC 23837-2 구성 293
그림 II-1-56. 광섬유 기반 MDI-QKD 시스템 297
그림 II-1-57. 2xN Plug&Play TF-QKD 네트워크 실험 개요도 298
그림 II-1-58. 위성 QKD 301
그림 II-1-59. IDQ 양자 난수 생성기 난수 생성 원리 303
그림 II-1-60. IDQ QRNG 제품과 고전적 TRNG의 성능 비교 303
그림 II-1-61. EYL QRNG 난수생성 원리 304
그림 II-1-62. 베타선을 이용한 양자난수생성기 305
그림 II-1-63. 양자 암호기술과 암호서비스의 상관관계 307
그림 II-1-64. GHZ 양자상태 308
그림 II-1-65. 양자중계기 동작 방식 314
그림 II-1-66. 비밀공유 양자원격전송 개념도 317
그림 II-1-67. 양자직접통신 구성도 317
그림 II-1-68. 양자통신 테스트베드 구성도 320
그림 II-1-69.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 구성도 322
그림 II-1-70. 수도권 재구성형 스타 양자통신 네트워크 개념도 323
그림 II-1-71. 양자통신 테스트베드에서 QKD 광학계 양자특성 시험장치 323
그림 II-1-72. 양자얽힘 분배 테스트 베트 시험장치 324
그림 II-1-73. 양자통신 테스트베드 적용분야 예시 325
그림 II-2-1. 측정 회수에 대한 측정 정밀도 한계 332
그림 II-2-2. 세계 최고 수준의 양자중력계의 성능 수준 비교표 336
그림 II-2-3. Sandia National Lab에서 개발중인 양자 중력계 338
그림 II-2-4. 미국 양자센서 로드맵 338
그림 II-2-5. 차세대 소형화 기술 연구 및 백팩 크기의 양자 중력센서개발 비전 339
그림 II-2-6. (왼쪽) 버밍엄 대학에서 개발 중인 양자중력센서, (오른쪽) 양자센서 로드맵 340
그림 II-2-7. 양자중력구배계를 이용한 지하공동의 크기 및 위치 측정 341
그림 II-2-8. M Squared 사의 상용 양자중력계 341
그림 II-2-9. SYRTE의 양자중력계 342
그림 II-2-10. Muquans사의 상용 양자중력계 342
그림 II-2-11. 항공기에 탑재한 양자중력계 실험 343
그림 II-2-12. 선박에 설치된 저온 원자중력계 343
그림 II-2-13. 원자중력계로 측정하여 작성된 중력지도 344
그림 II-2-14. 항공 탑재용 원자중력계의 사진과 중력지도 344
그림 II-2-15. 화산 모니터링용으로 Etna 화산에 설치된 양자중력계와 중력 측정결과. 345
그림 II-2-16. 양자중력구배계 사진과 양자중력구배계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측정 결과 345
그림 II-2-17. 하노버 대학에서 연구한 원자칩 기반 중력계 상상도 346
그림 II-2-18. 훔볼트대에서 개발한 이동형 양자중력계 346
그림 II-2-19. NIM에서 개발한 양자중력계를 이용한 상대중력계 교정 347
그림 II-2-20. 휴대용 양자센서 개발 로드맵 348
그림 II-2-21. 기존 고전 중력계와 양자중력센서 감도 및 정밀도 비교 349
그림 II-2-22. 휴대용 원자간섭계의 활용 예시 350
그림 II-2-23. 도심의 지하구조물 탐지 351
그림 II-2-24. 버클리대에서 수행한 버클리힐즈의 고도에 따른 중력 변화 측정 연구 351
그림 II-2-25. Sandia 국립연구소의 Dual-axis, high data-rate atom interferometer 353
그림 II-2-26. Cold-Atom Accelerometer-Gyroscope 353
그림 II-2-27. 보잉사에서 공개한 시험 운영한 항공기 사진과 원자간섭계 기반의 양자 관성센서 IMU 사진 354
그림 II-2-28. Phase II 프로토타입 개략도 355
그림 II-2-29. (왼쪽) 가속도계의 개략도 및 광섬유가 결합된 캐비티 프로토타입 (오른쪽) 광기계 가속도계의 그림 355
그림 II-2-30. Demonstration of Diamond Nuclear Spin Gyroscope 356
그림 II-2-31. Northrop Grumann에서 개발한 항법급 원자스핀 자이로 356
그림 II-2-32. 영국 국가양자기술프로그램의 양자센서 로드맵 357
그림 II-2-33. Imperial College London과 M Squared가 개발한 항법용 양자가속도계 358
그림 II-2-34. 양자가속도계 사진(우)과 시험 운영 사진(좌) 358
그림 II-2-35. 양자 자이로 및 가속도계 사진과 챔버 설계도 359
그림 II-2-36. 프랑스에서 수행 중인 원자간섭계 연구 359
그림 II-2-37. 자이로스코프의 실험 원리 360
그림 II-2-38. 프랑스에 SYRTE에서 개발중인 원자간섭계 기반 양자 가속도계/회전속도계 360
그림 II-2-39. 일본에서 개발중인 원자간섭계 기반 양자 회전속도계 361
그림 II-2-40. 중국 우주 정거장에 설치된 원자간섭계 기반의 양자 자이로 362
그림 II-2-41. 중국 우주용 양자 자이로의 지상 테스트 결과와 위성 탑재후 발사하는 사진 362
그림 II-2-42. 원자시계 분류 363
그림 II-2-43. 초고정밀 원자시계의 정확도 비교 364
그림 II-2-44. NIST에서 개발한 원자분수시계 사진 365
그림 II-2-45. NIST Yb 광격자시계 구성도와 관측된 Ramsey 신호 365
그림 II-2-46. NIST에서 Yb 광격자시계와 이동형 광격자 시계 사진 366
그림 II-2-47. NIST의 ²⁷Al+ Quantum-logic 이온 광시계 구성도 366
그림 II-2-48. ²²⁹Th 핵전이 분광을 위한 VUV 광빗 분광 개념도 및 사진 367
그림 II-2-49. NIST에서 개발한 CSAC 기술 367
그림 II-2-50. NIST-on-a-Chip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 기술이 구현된 광주파수 합성칩 개념도 368
그림 II-2-51. NIST에서 개발된 광도파로와 결합된 Rb 증기셀 연구 368
그림 II-2-52. 유럽에서 발간된 Quantum Manifesto의 양자기술 개발을 위한 타임라인 369
그림 II-2-53. 독일에서 발표한 양자기술 로드맵 370
그림 II-2-54. 독일 PTB의 이동형 광시계 사진과 측정 개념도 371
그림 II-2-55. 독일 PTB의 Th-229 이온 트랩장치 372
그림 II-2-56. 스위스의 CSEM에서 개발한 판상형 웨이퍼 레벨 패키지 기반의 칩스케일 원자시계 372
그림 II-2-57. 일본 RIKEN의 이동형 광시계 사진과 동경 타워에서 수행된 주파수 차이 측정 개념도 373
그림 II-2-58. 중국 ISS에 탑재된 원자시계 시스템. (a) Sr 광격자 시계와 광빗 장치,... 373
그림 II-2-59. 양자 시간·주파수 센서 활용 분야 374
그림 II-2-60. 기본 단위와 기본물리상수 연관도 및 정확도 수준 374
그림 II-2-61. 에너지 다이어그램 및 실험 개략도 376
그림 II-2-62. GRIN 렌즈, 광섬유 페룰, Cs 원자증기셀 및 슬리브를 이용한 광섬유 결합형 원자증기셀 376
그림 II-2-63. 광섬유 연결형 원자증기셀을 이용한 전기장 측정 실험 사진 377
그림 II-2-64. (왼쪽) 양자전기장 센서와 믹서를 이용한 위상 측정 장치도(오른쪽) 광검출기 감지 신호 377
그림 II-2-65. (왼쪽) Cs 및 Rb 원자 양자전기장 센서에 기반한 녹음 장치도... 378
그림 II-2-66. (왼쪽) 양자전기장 센서 기반 방향탐지 기술 개념도 (오른쪽) 실제 방향탐지 실험 사진 378
그림 II-2-67. 전자파 방향탐지 측정 결과 379
그림 II-2-68. DARPA에서 연구 중인 고감도 광대역 무선 주파수 양자수신기의 QA 프로그램 개념도 379
그림 II-2-69. 적설량, 빙상 역학, 강수량 등 지구 수자원 관측을 위한 위성탑재 리드버그 레이더 개념도 380
그림 II-2-70. 양자 전기장 센서 신호와 실시간 영상 캡쳐 이미지 380
그림 II-2-71. 원자광학 형광을 사용한 실시간 근거리 테라헤르츠 이미징 381
그림 II-2-72. 초고속 THz 비디오 382
그림 II-2-73. 양자 전기장 센서 민감도 측정 결과 383
그림 II-2-74. 상온 양자 마이크로파-광파 변환기 개략도 383
그림 II-2-75. 기존 수신기와 비교한 양자전기장 센서의 장점 및 한계 384
그림 II-2-76. 주파수에 따른 양자전기장 센서 측정 감도와 수신부 크기 비교 384
그림 II-2-77. 'Army scientists create innovative quantum sensor' 제목의 보도자료 사진 385
그림 II-2-78. 미국 Rydberg Technologies사 홈페이지 공개 내용 386
그림 II-2-79. 미국 기업들이 판매 중인 소형 상용 원자자력계 388
그림 II-2-80. 다이아몬드 NV 센터 기반의 소형 양자자기장 센서 388
그림 II-2-81. 소형 양자자력계를 이용한 Wearable 뇌자도 이미징 시스템 개발 발전상 388
그림 II-2-82. 스위스 Qnami, Qzabre에서 제작 및 판매 중인 다이아몬드 스캐닝 프로브와... 389
그림 II-2-83. 원자자력계를 이용한 무인 드론 기반 지뢰 탐지 연구 390
그림 II-2-84. 중국 CIQTEK의 다이아몬드 NV 센터 기반 나노 자기장 이미징 스캐너 390
그림 II-2-85. 나노/마이크로미터 양자 MRI 개념도 391
그림 II-2-86. 양자자력계의 국방 분야 활용 예시 391
그림 II-2-87. 고분해능 양자자기장 이미징을 통해 반도체와 배터리의 결함 분석 및 첨단 산업 활용 예시 392
그림 II-2-88. 양자 고스트 이미징 기술 392
그림 II-2-89. (a) 양자비선형 간섭계 실험 장치도, (b) 근적외선광과 중적외선광의 간섭 이미지 393
그림 II-2-90. 양자 OCT 기술 개발 통한 깊이 정보 토모그래피 이미징 393
그림 II-2-91. 양자 분광 센서 기술 통한 메탄 가스(CH₄) 이산화질소(N₂O) 가스 고감도 검출 394
그림 II-2-92. (위)결정 초격자를 갖는 비선형 간섭계, (아래) 가스감지실험 간섭무늬 분석 결과 394
그림 II-2-93. (왼쪽) 실험적 이미지, (오른쪽) 실험 장치도 395
그림 II-2-94. 단일 방출체 기반 양자이미징 기술 395
그림 II-2-95. 얽힘 이광자 흡수 양자 이미징 기술 개발 통한 암세포 이미징 396
그림 II-2-96. China Says It's Building a 'Ghost Imaging' Satellite to Detect Stealth Jets 396
그림 II-2-97. 양자 상관관계 기반 이미징 기술 397
그림 II-2-98. 양자현미경을 통한 생체 시료 센싱 기술 397
그림 II-2-99. 양자 라이다 신호대잡음비 향상 기술 398
그림 II-2-100. 양자 활용 라이다(Quantum-inspired LiDAR) 기술 398
그림 II-2-101. 양자조명 대상 물체 이미지 399
그림 II-2-102. 상관관계 기반 광시야 양자 현미경의 감도 및 분해능 향상 기술 399
그림 II-2-103. 제브라피시 생체 시료의 양자 이미징 400
그림 II-2-104. 중적외선 양자 광원을 이용한 에탄올의 흡수 스펙트럼 400
그림 II-2-105. 양자 유도 간섭 기반 양자 라이다 이미징 401
그림 II-2-106. 4-모드 얽힌 압축 상태를 이용한 분산 양자 센싱 실험 402
그림 II-2-107. 6개의 얽힌 광자를 이용한 분산 위상 추정 실험 402
그림 II-2-108. 얽힌 스핀 압축 원자 상태를 이용한 센싱의 원자 센싱 절차 403
그림 II-2-109. 양자 암호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진파 센싱 403
그림 II-2-110. 적응 제어 방식을 이용한 다중 위상 정밀도 실험 404
그림 II-2-111. 광학 매개 증폭기를 이용한 양자 조명 실험 404
그림 II-2-112. 디지털 수신기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양자 조명 405
그림 II-2-113. 광자 수 측정을 이용한 양자 리딩(Quantum Reading) 실험 406
그림 II-2-114. 극저온에서 광학 매개 증폭기 방법을 이용한 양자 조명 실험 406
그림 II-2-115. 양자 계측을 위하여 높은 광자 수 상태를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 407
그림 II-2-116. 다중위상 센서를 위한 양자-고전 알고리듬의 혼합 개념도 407
그림 II-2-117. 얽힘을 이용한 은밀한 센싱(Covert Sensing) 408
그림 II-2-118. 공중 탐사를 위한 단일 광자 라이다 시스템과 3차원 이미지 결과 409
그림 II-2-119. KRISS에서 개발 중인 양자중력센서 411
그림 II-2-120. KRISS의 양자중력센서 성능 비교표 411
그림 II-2-121. KRISS의 개발중인 원자분수방식의 양자중력센서 412
그림 II-2-122. 양자중력센서 소형화 핵심기술 개념도 및 사진 412
그림 II-2-123. 양자중력센서 적용 분야 413
그림 II-2-124. 초정밀 無-위성 항법 시스템 개념도 414
그림 II-2-125. KRISS에서 개발한 원자시계 416
그림 II-2-126. 개발된 초소형 Chip-Scale 원자시계 418
그림 II-2-127. Chip-Scale 원자시계 기술의 파급 분야 418
그림 II-2-128. KRISS와 (주)넵코어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소형 고정밀 원자시계 419
그림 II-2-129. 칩 상에서 제작된 원반형 실리카 광공진기 421
그림 II-2-130. 양자자기장 센서의 대표적인 예 423
그림 II-2-131. 양자자기장 센서 활용 예시 425
그림 II-2-132. N00N상태를 이용한 다중 위상 센싱 428
그림 II-2-133. 분산 양자 위상 센싱 429
그림 II-2-134. 양자 보안 단일 픽셀 이미징 429
그림 II-2-135. 국내 양자센서 기술현황 및 국가 지원 방식(안) 430
그림 II-2-136. 2024년 7월 Fortune 지 기사 431
그림 II-2-137. 국내 양자센서 발전 전망도 431
그림 II-3-1. (왼쪽) Google의 Sycamore 프로세서 (오른쪽) IBM의 Eagle 프로세서 큐비트 레이아웃 440
그림 II-3-2. (위) 트랜스몬 큐비트 회로도 및 이미지 (아래) 플럭소니움 큐비트 회로도 및 이미지 443
그림 II-3-3. (A) Al-InAs-Al 조셉슨 접합 기반 게이트몬 큐비트 소자 이미지... 444
그림 II-3-4. ETH Zurich에서 개발된 17큐비트 거리-3 표면 코드 큐비트 개념도 및 실제 큐비트 칩 이미지 452
그림 II-3-5. 오류정정 코드 크기에 따른 논리 큐비트의 오류 발생률 감소 453
그림 II-3-6. 101-큐비트 거리-7 표면코드 개념도 및 표면코드 거리에 따른 오류율 성능 453
그림 II-3-7. 알루미늄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양자프로세서 모듈 458
그림 II-3-8. 극저온 마이크로파 도파관으로 연결된 극저온 냉각기 이미지 459
그림 II-3-9. 확장형 실리콘 큐비트를 위한 Intel – QuTech 투자 협약 460
그림 II-3-10. 양자게이트의 물리적 구현을 위한 제어신호 예시 464
그림 II-3-11. 학계연구소 커스텀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스핀 큐비트 소자 467
그림 II-3-12. 프랑스 CEA 중심의 유럽 연구소 컨소시엄의 확장형 반도체 양자프로세서 로드맵 468
그림 II-3-13. 마이크로 포획 장치 473
그림 II-3-14. (왼쪽) IonQ에서 달성한 35개 알고리듬 큐비트, (오른쪽) Quantinuum의 양자 부피 달성 경과 475
그림 II-3-15. 양자컴퓨터의 확장을 위한 다양한 큐비트 개별 제어 방법 477
그림 II-3-16. 이온 트랩 모듈 기반 양자컴퓨터의 확장 아이디어 479
그림 II-3-17. 양자컴퓨터의 활용이 예상되는 분야와 그 내용 479
그림 II-3-18. 양자광원의 분류에 따른 인코딩 방법과 주요 성능 지표 480
그림 II-3-19. (왼쪽) AlN 비선형 물질로 나노 공진기를 제작해 광자쌍을 생성한 결과... 482
그림 II-3-20. (왼쪽) 프랑스 CNRS 연구소에서 개발한 양자점 기반 단일광자 광원... 483
그림 II-3-21. (왼쪽) 일본 NTT에서 개발한 PPLN 도파로 기반 압축광원... 483
그림 II-3-22. 미국 NIST에서 개발한 검출 효율 98%의 초전도 나노와이어 단일광자 검출기 485
그림 II-3-23. (왼쪽) 미국 예일대학교, (오른쪽) 독일 Munster 대학교에서 개발한... 485
그림 II-3-24. 이탈리아 CNR 연구소와 네덜란드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에서... 486
그림 II-3-25. 최고 수준 초전도 단일광자 검출기의 광자 개수 검출 성능 비교 486
그림 II-3-26. 37개의 광자를 측정하는 TES 실험 장치와 실험 결과 487
그림 II-3-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6광자 양자정보 실험 장치 488
그림 II-3-28. (위) 중국 USTC의 12광자 양자얽힘 생성 실험 장치... 489
그림 II-3-29. (위) 중국 USTC의 양자점 단일광자를 이용한 20광자 인풋 14광자 보존 샘플링 실험 장치 489
그림 II-3-30. (위) 덴마크 공대에서 개발한 2차원 클러스터 상태 생성장치 모식도... 491
그림 II-3-31. 일본 동경대에서 개발한 다양한 연속변수 양자얽힘 생성장치 모식도 492
그림 II-3-32. Quandela에서 개발한 단일광자 기반 6 큐비트 양자컴퓨터 493
그림 II-3-33. (위) PsiQuantum에서 사용한 집적광학계 제작 설비,... 494
그림 II-3-34. (위) 양자오류정정 코드를 구현한 집적양자회로 모식도... 496
그림 II-3-35. 4광자를 이용해 분자의 진동스펙트럼을 시뮬레이션하는 실험 장치와 실험 결과 498
그림 II-3-36. (왼쪽) 중국 USTC의 가우시안 보존 샘플링 실험 장치... 498
그림 II-3-37. 단일 스핀들의 ¹²C 농도에 따른 결맞음 시간 비교 500
그림 II-3-38. 이온 주입 후 Praseodymium Color Center Array의 형광 이미지 501
그림 II-3-39. 나노 패터닝 기술 활용 여부에 따른 나노필라 형태 구조물 제작의 차이점에 대한 도식 501
그림 II-3-40. Dynamical Decoupling 펄스 개수에 따른 결맞음 특성 변화 그래프 503
그림 II-3-41. 다이아몬드 스핀을 이용한 분산형 양자정보 처리를 위한 아키텍쳐 모식도 504
그림 II-3-42. 시간에 따른 핵스핀 메모리 신뢰성 그래프 504
그림 II-3-43. 오류내성을 가진 논리 큐비트 기반 다이아몬드 양자 프로세서 모식도 505
그림 II-3-44. 상온 Single Shot Readout 측정 방법 및 실시간 핵스핀 상태 변화 그래프 506
그림 II-3-45. 레이저 주파수에 따른 형광 스펙트럼과 시간에 따른 변화 그래프 507
그림 II-3-46. NV-이온화와 회복 프로세스를 통한 Charge-Carrier 생성 과정 모식도 507
그림 II-3-47. NV 센터 Pair 모식도 508
그림 II-3-48. NV 센터와 주변 ¹³C 원자핵스핀 간 상호작용 모식도 509
그림 II-3-49. 두 개의 NV 센터 큐비트를 이용한 장거리 양자얽힘 생성 실험 모식도 510
그림 II-3-50. Sr 큐비트의 큐비트 양자공간 및 Error Detection 양자공간 515
그림 II-3-51. 벨상태 신뢰도를 저해하는 요인 분석: 레이저의 주파수, 세기 잡음 등... 516
그림 II-3-52. 171-Yb 큐비트와, Mid-Circuit Quantum Erasure Conversion를 구성하는 양자 상태 구성도 517
그림 II-3-53. 오류정정 큐비트 개요 518
그림 II-3-54. 프로그램이 가능한 원자 배열 기반 논리 양자 프로세싱 519
그림 II-3-55. Hypergraph Product(HGP) Code 및 Quasi-Cyclic Lifted Product(LP) Code를 구현할 때,... 520
그림 II-3-56. 양자 연산 기술을 이용한 양자 메트롤로지 521
그림 II-3-57. 리드버그 양자 연산시스템으로 구현한 Dipolar XY Model 522
그림 II-3-58. 리드버그 상호작용을 이용한 Spin Squeezed State 형성 523
그림 II-3-59. 리드버그 상호작용을 이용한 스핀 스쿼징 523
그림 II-3-60. 원자 큐비트 재배치 과정 도식. MOT로 원자를 포획한 후, 광격자에 옮겨 담음.... 524
그림 II-3-61. 12,000개의 광집게를 이용한 원자 큐비트 포획, 왼쪽: 원자를 포획한 후의 단일 이미지... 525
그림 II-3-62. (a) 주파수 조정 가능한 트랜스몬의 SEM 이미지... 542
그림 II-3-63. 4 K 극저온 양자제어 칩 543
그림 II-3-64. 스핀 큐비트용 주요 반도체 소재의 단면도 545
그림 II-3-65. 반도체 스핀 큐비트 소자의 모식도 547
그림 II-3-66. 반도체 스핀 큐비트 소장 공정 흐름도 548
그림 II-3-67. (왼쪽) 양자점 소자 배열의 광학현미경 사진... 548
그림 II-3-68. 대표적인 양자소자용 재료의 thermal budget 549
그림 II-3-69. 금속/반도체 계면의 팽창계수 차이에 따른 스트레인의 모식도 549
그림 II-3-70. 양자컴퓨터 계층별 인터페이스와 IBM의 양자컴퓨터 552
그림 II-3-71. 기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양자프로세서의 소자 수와 외부 I/O핀 수 비교 553
그림 II-3-72. (a),(b) Paul 포획 장치의 예시 (c),(d) 다중 전극들을 가지며 표면 위에서 포획하는 장치 555
그림 II-3-73. 국내에서 사용 중인 매크로 포획 장치들 556
그림 II-3-74. (a) 서울대에서 개발한 반도체 칩 기반의 이온 포획 장치 사진... 556
그림 II-3-75. (왼쪽)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오른쪽)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에서 개발한... 559
그림 II-3-76. (왼쪽) 고려대에서 개발한 양자점 기반 단광자 광원... 560
그림 II-3-77. (위) KAIST에서 개발한 압축광 기반 클러스터 상태 생성 장치... 561
그림 II-3-78. (주)우리로에서 상용화에 성공한 InGaAs APD 기반 단일광자 검출 소자 562
그림 II-3-79. KAIST에서 구현한 3차원 클러스터 상태 생성 실험장치와 실험 결과 563
그림 II-3-80. (위) KIST에서 구현한 집적광학계 기반 양자간섭 실험... 564
그림 II-3-81. (위) KIST에서 제안한 DV-CV 하이브리드 큐비트 모식도와 임계값,... 566
그림 II-3-82. KIST에서 구현한 양자광학 양자 시뮬레이터와 이원자 분자의 바닥에너지 계산 결과 567
그림 II-3-83. 한국공학대학교가 보유한 단결정 다이아몬드 성장용 CVD 장비 568
그림 II-3-84. 구축 중인 초고진공 단결정 다이아몬드 성장용 CVD 장비 569
그림 II-3-85. KIST에서 개발한 다이아몬드 나노구조물을 이용한 NV 센터 광자 포집효율 증대 구조물 570
그림 II-3-86. 2023년 퀀텀코리아에서 공개한 5큐비트 다이아몬드 NV 센터 기반 양자컴퓨터 571
그림 II-3-87. 공초점 현미경 시스템 모식도와 실물 사진 572
그림 II-3-88. 초점 현미경의 다이아몬드 샘플과 자기장 및 마이크로웨이브 인가 방법 573
그림 II-3-89. 다이아몬드 NV 센터 기반 양자컴퓨터 제어 프로그램 573
그림 II-3-90. 다이아몬드 NV 센터 부근 질소 및 탄소동위체를 포함한 격자 모형 574
그림 II-3-91. 다이나믹 디커플링 시퀀스와 반복 주기에 따른 중첩 시간 증가 확인 그래프 575
그림 II-3-92. 다이나믹 디커플링 결과 575
그림 II-3-93. 핵스핀 초기화 전후 NV 센터의 Ramsey 신호 변화 576
그림 II-3-94. 근접한 두 개의 NV 센터 간의 결합 모식도 577
그림 II-3-95. NV 센터 주변의 핵스핀 모식도 578
그림 II-3-96. 광자를 이용한 큐비트 시스템의 확장 579
그림 II-3-97. 리드버그 원자 배열로 구성한 Platonic Graph 585
그림 II-3-98. Yb원자로 구성한 원자 큐비트 배열 586
그림 II-3-99. Magnon Bound State의 운송 특성: 왼쪽) 인접한 스핀 배열, 오른쪽) 한칸 떨어진 스핀배열,... 58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77282 | 530.12 -25-4 | v.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중 |
0003177283 | 530.12 -25-4 | v.1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0003177284 | 530.12 -25-4 | v.2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중 |
0003177285 | 530.12 -25-4 | v.2 |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 서가번호: 3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