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1
요약 4
Ⅰ. 북한정치에서 숙청이 사라진 이유는 15
Ⅱ. 체스트 버나드(C. Barnard)의 비공식조직이론 적용 20
1. 비공식조직과 공식조직의 상호의존성 20
2. 북한 엘리트 내 비공식조직 형성의 조건: 객관적 권위의 부여 22
Ⅲ.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와 진화 방식 27
1.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과정 27
가.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등장 27
나.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핵심 엘리트와 공식조직화 완성 29
2.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진화 방향: 갈등과 분열 32
가.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군부와의 갈등 32
나. 장성택 비공식조직 내의 분열 36
Ⅳ.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와 진화 방식 39
1.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39
가.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등장 39
나.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핵심 엘리트 현황 42
(1) 군부 엘리트 42
(2) 당과 검열기구 엘리트 44
다.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특성 51
2.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진화: 확장과 지속 53
가. 최룡해 비공식조직에 대한 견제 53
(1) 백두혈통 김여정의 견제 53
(2) 조직비서 조용원의 견제 55
나. 최룡해 중심의 '지배엘리트 단일후견체제' 확립 58
(1)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소속감과 결속력 강화 58
(2) 최룡해 중심의 '지배엘리트 단일후견체제'의 역설 60
Ⅴ. 결론 63
참고문헌 65
판권기 78
[표 1] 군부내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화 과정 44
[표 2] 당과 검열기구내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화 과정 50
[그림 1] 분석틀: 비공식조직과 공식조직의 상호의존성 21
[그림 2] 북한의 수령체제 작동원리 22
[그림 3] 김정일이 구상한 '지배엘리트 경쟁후견체제' 2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