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국문요약 11
영문요약 22
제1장 서론 25
제1절 연구의 배경 26
1. 연구의 필요성 26
2. 연구의 목적 28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내용 29
1. 연구의 범위 29
2. 연구의 내용 29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흐름도 36
1. 연구의 방법 36
2. 연구의 흐름도 37
제2장 이론적 검토 38
제1절 인구에 대한 이론적 접근 39
1. 인구와 정책 39
2. 인구문제를 보는 이론적 시각 43
제2절 인구정책의 정의와 구분 48
1. 인구정책의 정의 48
2. 인구정책의 구분 49
제3절 정책의 컨트롤타워 53
1. 정책 컨트롤타워의 필요성 53
2. 정책 컨트롤타워의 요소와 기능 54
3. 인구정책 컨트롤타워의 개념 및 기능 56
제3장 우리나라의 인구정책과 컨트롤타워 61
제1절 우리나라 인구정책의 변화 62
1. 인구억제 정책기(1961~1995년) 64
2. 인구자질향상 정책기(1996~2003년) 68
3. 출산장려 정책기(2004년~현재) 68
제2절 인구정책의 컨트롤타워 71
1. 인구정책 컨트롤타워의 변천 71
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73
3. 인구전략기획부(안) 78
제3절 성과와 한계 80
제4장 해외의 인구정책과 컨트롤타워 사례 86
제1절 사례의 선정 87
제2절 해외 사례 89
1. 일본 89
2. 싱가폴 95
3. 캐나다 102
4. 호주 108
5. 독일 114
제3절 해외사례의 종합 및 시사점 121
1. 해외사례 종합 121
2. 시사점 122
제5장 인구정책의 내용 분석 및 평가 126
제1절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의 사업 분석 127
1.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정책목표 127
2.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예산변화 134
3.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주요 사업 137
제2절 인구정책의 평가 147
1. 불확실한 정책효과 147
2. 부실한 성과관리체계 152
제3절 정책 운영체계의 시사점 164
제6장 인구정책 컨트롤타워 설계 166
제1절 인구정책 컨트롤타워 대안 비교 167
1. 대안 구성 및 비교 기준 167
2. 대안 비교 결과 및 장ㆍ단점 분석 171
3. 인구전략기획부(안)의 기능 및 역할 검토 174
제2절 인구정책 컨트롤타워의 기능 177
1. 인구전략 수립 178
2. 인구정책 관리 180
3. 대외협력 및 홍보 185
제3절 컨트롤타워의 실행력 확보 방안 187
1. 예산사전심의 187
2. 정책평가 체계 점검ㆍ정비 189
3. 정부 내 거버넌스 정비 192
4. 정부-사회 간 거버넌스 구축: 공론화위원회 운영 지원 194
제4절 법ㆍ제도 개선 방안 196
1. 인구정책 컨트롤타워의 조직구성(안) 196
2. 관련 법제 개정(안) 198
3. 정책운영 체계 개선(안) 200
제7장 결론 202
제1절 연구의 주요 내용 203
제2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향후 과제 207
참고문헌 208
국내 문헌 209
영문 문헌 212
일본어 문헌 215
독일어 문헌 217
언론 기사 219
웹 사이트 219
[부록 1] 해외 사례 221
[부록 2] 전문가 조사지 309
판권기 315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37
〈그림 2-1〉 부처별 인구정책 관련 과제 수행 건 수(2022.12. 기준) 42
〈그림 2-2〉 인구정책의 분류 51
〈그림 2-3〉 컨트롤타워의 세 가지 기둥 54
〈그림 2-4〉 경영의 컨트롤타워 기능 55
〈그림 2-5〉 컨트롤타워 기술 접근방식 58
〈그림 2-6〉 인구정책 컨트롤타워의 기능 60
〈그림 3-1〉 1970년 이후 연도별 합계출산율 변화 63
〈그림 3-2〉 저출산ㆍ고령화 추이 및 관련 정책방향 변화 67
〈그림 3-3〉 저출산 고령사회 위원회 조직도 75
〈그림 3-4〉 제3차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계획의 저출산ㆍ고령사회대책 패러다임 전환 방향 77
〈그림 3-5〉 인구전략기획부의 기능개편 내용 79
〈그림 3-6〉 최근 30년(1993~2022) 합계출산율 추이 81
〈그림 3-7〉 2017년 지역별 출산율 84
〈그림 3-8〉 2022년 지역별 합계출산율 84
〈그림 4-1〉 일본 어린이가정청 조직도 90
〈그림 4-2〉 일본 어린이가정청과 관련 부처 관계도 92
〈그림 4-3〉 총리실과 국가인구인재부의 구조 97
〈그림 4-4〉 싱가폴의 Made for Families 98
〈그림 4-5〉 캐나다 이민에 관한 책임장관포럼 조직도 104
〈그림 4-6〉 독일 인구정책의 추진과정 117
〈그림 5-1〉 1차~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연도별 예산 추이 135
〈그림 5-2〉 중앙부처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에 대한 평가절차 153
〈그림 6-1〉 각 대안의 비교 172
〈그림 6-2〉 인구전략기획부(안)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동의 및 중요도 정도 175
〈그림 6-3〉 인구위기대응위원회 구조 및 역할 183
〈그림 6-4〉 정부 내 거버넌스 체계 정비 194
〈그림 6-5〉 인구전략기획부의 조직구성 예시 196
〈그림 6-6〉 인구정책의 운 영 체계 200
부록표목차 224
〈표 부록-1〉 일본 제4차 저출산대책대강 기본방침과 중점과제 224
〈표 부록-2〉 일본 제4차 저출산대책대강 라이프 스테이지 단계별 시책 방향성 226
〈표 부록-3〉 일본 어린이가정청 각 부문별 주요 사무 231
〈표 부록-4〉 일본어린이가정청 각 부문별 주요 사무 233
〈표 부록-5〉 싱가폴의 출산장려금제도(Baby Bonus Scheme) 241
〈표 부록-6〉 호주의 인구관련 정책과 주요 정부기구 283
〈표 부록-7〉 호주 인구정책 컨트롤타워 구조 285
〈표 부록-8〉 독일 인구정책의 개별 영역에 대한 연방정부의 모니터링 보고서 304
부록그림목차 230
〈그림 부록-1〉 일본 어린이가정청 조직도 230
〈그림 부록-2〉 일본 어린이가정청과 관련 부처 관계도 232
〈그림 부록-3〉 싱가폴 인구 변화 236
〈그림 부록-4〉 싱가폴의 연령별 인구구성 237
〈그림 부록-5〉 싱가폴의 고령자 비중 변화 238
〈그림 부록-6〉 싱가폴의 출생자 수 변화 238
〈그림 부록-7〉 총리실과 국가인구인재부의 구조 246
〈그림 부록-8〉 싱가폴의 Made for Families 247
〈그림 부록-9〉 캐나다의 합계출산율 추이(1991-2022) 253
〈그림 부록-10〉 캐나다의 지역별 합계출산율 254
〈그림 부록-11〉 캐나다의 출산 및 육아정책 개관 260
〈그림 부록-12〉 캐나다 이민에 관한 책임장관포럼 조직도 263
〈그림 부록-13〉 호주의 인구수 변화(자연증가 및 순이민유입) 270
〈그림 부록-14〉 호주 인구증가율의 국가 간 비교 271
〈그림 부록-15〉 호주의 지역별 인구증가율 272
〈그림 부록-16〉 FTB Part A 지급액와 지급방식 276
〈그림 부록-17〉 호주의 양육보조 대상자 기준 277
〈그림 부록-18〉 독일의 인구변동 추이(1950-2070) 292
〈그림 부록-19〉 독일의 출생자-사망자 변화 추이(1950-2022) 293
〈그림 부록-20〉 독일의 연령구조 변화 추이(1991-2021) 294
〈그림 부록-21〉 독일의 이민배경에 따른 연령구조 변화 추이(2005-2021) 294
〈그림 부록-22〉 독일 인구전략의 상위 목표와 활동영역 295
〈그림 부록-23〉 실천 분야에 대한 설문조사 297
〈그림 부록-24〉 독일 인구정책의 추진과정 300
〈그림 부록-25〉 인구구조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독일) 30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89638 | 363.9 -25-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89639 | 363.9 -25-2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0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