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연구요약 3
01. 남북관계와 경기도 8
제1절 한반도 분단체제와 남북관계 9
1. 한반도 분단체제의 형성 9
2. 한반도 분단체제의 특징 10
3. 한반도 분단체제의 핵심 쟁점 14
4. 한반도 분단체제 극복을 위한 남북한의 노력 20
제2절 북한의 대남정책과 남북관계 26
1. 김정일, 김정은 시기의 대남정책과 남북관계 26
2. 김정일-김정은 시기 대남정책의 '지속'과 '변화' 29
3. 김정일-김정은 시기 대남정책 영향 요인 35
4. 향후 남북관계 전망 44
제3절 남북관계 발전과 경기도 48
1. 한반도 분단체제와 접경지역으로서 경기도의 위상 48
2. 남북관계 발전과 경기도의 역할 51
02. 경기도가 걸어온 길 59
제1절 지자체 남북교류와 경기도 60
1. 지자체 남북교류 60
2. 경기도 남북교류의 시작과 의의 77
제2절 경기도 남북교류의 전개와 실적 83
1. 경기도 남북교류협력사업 개관 83
2. 경기도 남북교류, 주요 사업 91
제3절 성과와 한계 108
1. 총평 108
2. 경기도 남북교류 평가 109
3. 향후 과제 113
03. 경기도가 가야 할 길 115
제1절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와 지방자치단체 남북 교류 116
1. 북한 대남정책의 최근 변화와 기조 116
2. 지방자치단체 남북 교류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124
제2절 경기도 남북 교류의 기본 방향, 추진 전략, 추진 기반 136
1. 경기도 남북 교류의 기본 방향 136
2. 경기도 남북 교류의 추진 전략 139
3. 경기도 남북 교류의 추진 기반 144
제3절 경기도 남북 교류의 구상과 주요 사업 153
1. 경기도 남북 교류의 단기 및 중장기 구상 153
2. 주요 사업 159
참고문헌 184
Abstract 186
판권기 2
[표 2-1]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사업 추진계기 65
[표 2-2] 2000년대 초반 지자체 교류협력 심사위원회 승인사업 및 결과 68
[표 2-3]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 주요 현황 74
[표 2-4] 주요 경기도 남북교류협력사업 연도별 실적 88
[표 2-5] 당곡리 지역 개요 95
[표 2-6] 당곡리 농촌현대화 사업 개요 96
[표 2-7] 당곡리 농촌현대화 사업 연도별 추진 내용 97
[표 2-8] 개풍양묘장 조성 사업 주요 내용 99
[표 2-9] 말라리아 환자 발생 현황 101
[그림 2-1] 광역지자체 남북교류협력 분야별 사업 실적 75
[그림 2-2] 광역지자체 남북교류협력의 대상지역별 사업 실적 77
[그림 2-3] 초기 경기도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 과정 78
[그림 2-4] 경기도 남북교류 추진체계 81
[그림 2-5] 경기도의 농업협력 및 농촌 현대화사업 추진 지역 85
[그림 2-6] 벼농사시범사업 추진체계 및 성과 94
[그림 2-7]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분야별 사업 실적 109
[그림 3-1] 평화경제특구와 개성공단 간 연계와 협력 179
[그림 3-2] 「한반도 국제협력지대」 구상도 180
[그림 3-3] '한반도 메가리전' 구축을 위한 단계별 추진 전략 182
[그림 3-4] '한반도 메가리전(The Korean Mega Region)' 구상(안) 18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