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인공지능시대와 규제패러다임의 전환 21 Ⅰ. 지능정보기술과 기존 규제의 한계 21 1. 지능정보기술의 특수성 21 2. 기존 규제체계의 적용에 따른 부작용 24 3. 새로운 규제방식의 모색 27 Ⅱ. 규제패러다임의 전환 시도와 이론적 근거 29 1. 사전규제 보완을 위한 자율규제의 활용과 책임문제 29 2. 규제주체에 따른 구분과 규제주체의 다원화 33 3. 규제 접근방식에 따른 구분과 규제방식의 다원화 40 Ⅲ. 거버넌스(Governance)의 등장 53 1. 거버넌스란 53 2. 규제다원주의적 접근으로서의 거버넌스 55 3. 조종, 제어개념으로서의 거버넌스 56 4. 규제된 자율규제로서의 거버넌스 59
제3장 주요국의 인공지능 거버넌스 61 Ⅰ. 리스크 기반 규제 유형 61 1. 유럽연합 ‘인공지능법(EU AI Act)’ 61 2. 미국 ‘2022 알고리즘 책임법안’ 69 3. ‘유럽연합 인공지능법’과 ‘미국 알고리즘 책임법안’의 리스크 기반 규제 체계 비교 74 Ⅱ. 원칙 기반 규제 유형 78 1. 영국의 ‘인공지능 백서’ 78 2. 유럽의 규칙기반 규제체계와 영국의 원칙 기반 규제체계 비교 81 Ⅲ. 자율규제와 규칙기반 규제 유형 84 1. 미국의 ‘2023 바이든 행정명령’ 84 2.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관리 방법’ 88 3. 미국의 자율규제와 중국의 규칙기반 규제의 비교 93 Ⅳ. 범국가적 거버넌스 97 1. 범국가적 거버넌스의 기능과 역할 97 2. G7의 인공지능 국제규범 98 3. 인공지능 안전 정상회의(AI Safety Summit) 100
제4장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102 Ⅰ. ‘인공지능 기본법’ 개관 102 1. ‘인공지능 기본법’ 제정 의의 102 2. ‘인공지능 기본법’ 제정 과정 104 3. ‘인공지능 기본법’의 구성 105 Ⅱ. ‘인공지능 기본법’의 주요내용 107 1. 총칙(제1장) 107 2. 인공지능의 건전한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을 위한 추진체계(제2장) 115 3. 인공지능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제3장) 120 4. 인공지능윤리 및 신뢰성 확보(제4장) 122 Ⅲ. 인공지능 규제 거버넌스의 기반인 ‘인공지능 기본법’ 발전 방향 137 1. ‘인공지능 기본법’과 다른 법률과의 관계 137 2. 인공지능의 정의 및 규제 대상 139 3. 리스크 기반 접근방식과 규제 범위의 구체화 140 4. 인공지능 거버넌스 추진체계 방향 143
제5장 인공지능 규제 거버넌스 146 Ⅰ. 서론 146 Ⅱ. 규제체계 수립을 위한 선결문제와 규제 방향 148 1. 우리의 인공지능 규제현실에 따른 고려사항 148 2. 자율규제 · 부문별 규제 모델 156 3. 법적 규제 중심의 수평적 규제 모델 163 4. 규제모델의 차이점 및 시사점 168 Ⅲ. 인공지능의 합리적 수용을 위한 리스크 기반 규제 거버넌스 170 1. 인공지능 규제 거버넌스 구상 170 2. 규제 거버넌스의 핵심요소 171 3. 자율규제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 구체화 175 4. 리스크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조직 181
‘인공지능 기본법’을 중심으로 한 규제 거버넌스를 구상하였습니다. 인공지능 역기능에 따른 규제의 필요성과 주요국의 인공지능 규제동향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는 여러 차례 진행되어 와서 선행연구의 규제 접근방식을 유형화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규제 접근방식을 적용한 규제 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첫째, 기존 법·규제체계의 한계를 지적하며 법적 규제 방안에서 나아가 민관협력 책임 분산을 실현하는 의사결정구조인 거버넌스 형태의 규범적 접근 방향을 논의합니다. 여기서 인공지능 규제에 관한 다원주의적 방법론의 형태로서 거버넌스를 제시함으로써 규제모델로서의 거버넌스를 법학적 차원에서 수용하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둘째, 유럽연합과 미국의 논의에서 벗어나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의 정합성을 고려한 국제적 거버넌스모델을 구상하며 글로벌 표준과의 조화를 제시합니다. 이 과정에서 리스크 관리 기반 중심의 기존 논의에서 나아가 ‘원칙 기반’, ‘규칙 기반’, ‘부문별 규제 기반’ 등 다양한 규제 접근방식을 유형화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접근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습니다. 셋째, 공공주체 중심의 법적 규제와 민간 중심의 자율규제를 결합한 다면적 구조체인 거버넌스를 구상함으로써 리스크 관리에 따른 규제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특히 규제 거버넌스의 기반이 되는 ‘인공지능 기본법’을 중심으로 규제 수단을 유형화하여 원칙 기반 규제, 자율규제를 활용한 리스크 관리방안 및 글로벌 상호운용이 가능한 거버넌스 조직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인공지능 #거버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