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7
2024년 중국 정치의 현황과 전망: 중국공산당 20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를 중심으로 / 조영남 9
Ⅰ. 역대 3중전회와 공산당 20기 3중전회의 비교 15
1. 역대 3중전회의 특징 15
2. 공산당 18기 3중전회의 특징 21
3. 공산당 20기 3중전회의 특징 23
Ⅱ. 공산당 20기 3중전회와 18기 3중전회의 비교: '전면 심화 개혁'의 연속성과 단절성 26
1. 공산당 20기 3중전회의 연속성 27
2. 공산당 20기 3중전회의 단절성 30
Ⅲ. 공산당 20기 3중전회와 19기 3중전회의 비교: '공산당 전면 영도'의 연속성 35
1. '공산당 전면 영도' 원칙의 재도입: 공산당 19차 당대회(2017년) 36
2. '공산당 전면 영도' 원칙의 제도화: 공산당 19기 3중전회(2018년)와 20기 2중전회(2023년) 38
Ⅳ. 공산당 20기 3중전회의 특징을 초래한 요인 43
1. 시진핑의 총서기 3연임 43
2. 미국의 전면적인 중국 견제 46
Ⅴ. 기타 몇 가지 결정 49
Ⅵ. 공산당 20기 3중전회 결정의 수정과 경기부양책의 추진? 52
1. 정치국 회의의 결정 내용 53
2. 경기부양책의 실제 내용과 평가 55
Ⅶ. 결론: 평가와 전망 58
참고문헌 61
2024년 중국 산업경제 및 한ㆍ중 경제관계 / 김동수 69
Ⅰ. 서언 70
Ⅱ. 2024년 중국의 산업경제 현황 74
1. 2024년 중국 거시경제 현황 74
2. 2024년 중국 제조업 현황 79
3. 2024년 하반기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정책 83
4. 미국과의 전략경쟁 심화 86
Ⅲ. 한ㆍ중 교역과 투자현황 90
1. 한ㆍ중 교역의 구조적 변화와 고착화 90
2. 한국의 대중 직접투자의 구조적 변화와 직면한 문제점 96
3.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의 전략적 변화 100
Ⅳ. 한ㆍ중 경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103
1. 미ㆍ중 전략경쟁과 중국의 산업경제 그리고 한ㆍ중 경제협력 103
2. 한ㆍ중 경제협력의 위상 변화를 고려한 전략적 협력방안 104
3. 아세안을 비롯한 제3시장에서의 한ㆍ중ㆍ일 경쟁 106
4. 디지털전환 및 그린전환 시대를 대비한 한ㆍ중 경제협력 107
참고문헌 109
2024년 중국의 대외관계: 우호적 대외환경 조성을 위한 외교 우선순위의 전략적 조정 / 신종호 111
Ⅰ. 서론 112
Ⅱ. 2024년 중국지도부의 정세 인식 115
1. 시진핑 3기 지도부의 정세 인식 변화 115
2. 중앙외사공작회의 주요 내용 118
Ⅲ. 2024년 중국의 대외정책 목표와 방향 120
Ⅳ. 2024년 중국의 대외정책 전개와 특징 123
1. 대국외교: 강대국관계의 안정적 관리 124
2. 주변외교: 주변국과의 지속적 관계 개선 및 공동 발전 모색 129
3. 개발도상국외교: 글로벌 사우스와 단결 강화 132
4. 다자외교: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 파트너십 강화를 통한 다극질서 추구 138
Ⅴ. 결론: 전망과 시사점 141
1. 요약 및 결론 141
2. 2025년 중국외교 전망 144
3. 정책적 시사점 147
참고문헌 150
미중관계 현황과 트럼프 2기 전망 / 이상현 156
Ⅰ. 서론 157
Ⅱ. 미국 국가안보전략 속의 중국 159
Ⅲ. 미중관계의 평가: 트럼프 1기~바이든 행정부 164
1. 포괄적 위협으로서의 중국 165
2. 디커플링에서 디리스킹으로 173
3. 글로벌 사우스, 새로운 경쟁의 장 178
Ⅳ. 2025년 미중관계 전망 183
1.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평가 184
2. 2025년 미중관계 전망 189
Ⅴ. 한국에 대한 시사점 198
참고문헌 204
2024년 한중 정치외교 관계: 새로운 한중관계 위상정립을 위한 모색 / 이희옥 207
Ⅰ. 서론 208
Ⅱ. 한중 외교안보의 새로운 모멘텀 212
1. 한중 고위급 및 정상회담 214
2. 전략적 소통의 확대 217
3. 지방정부와 의회교류 활성화 221
Ⅲ. 한중관계의 쟁점과 과제 227
1. 한중간 상호정책의 차이 227
2. 주요쟁점에 대한 인식차이 229
3. 부정적 상호인식의 극복과제 232
Ⅳ. 한중 외교안보의 위상정립 239
1. 한중관계의 동태적 안정 모색 239
2. 미래지향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설정 240
3. 대만문제에 대한 메시지 관리 242
Ⅴ. 결론 245
참고문헌 249
2024년 북중관계 정세보고 / 이중구 255
Ⅰ. 서론 256
Ⅱ. 북중관계의 분석틀 259
1. 중국 측 요인: 미중관계 우선 여부 259
2. 북한 측 요인: 북러관계 우선 여부 262
3. 분석틀 265
Ⅲ. 2024년 북중관계 정치ㆍ외교 교류 동향 268
1. 최고위급 축전 교환 268
2. 고위급 방문 외교 273
Ⅳ. 2024년 북중경제ㆍ문화 교류 동향 278
1. 경제교류 278
2. 친선행사와 지방교류 283
Ⅴ. 2024년 북중관계의 평가 및 시기별 특성 286
1. 2024년 북중관계 평가 286
2. 시기별 특성 291
Ⅵ. 2025년 북중관계 전망 및 한국 외교정책 함의 300
1. 2025년 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 하 미중관계, 북러관계 변화와 그 결과 301
2. 한국 외교정책에 대한 함의 304
참고문헌 308
2024년 중국의 국방 / 이영학 315
Ⅰ. 서론 316
Ⅱ. 2024년 중국의 국방 및 군사 주요 동향 317
1. 중국군 조직 개편 단행: 전략지원부대 해체 317
2. 중국군 고위급 지도부의 부패 혐의 낙마와 정치공작 재강조 320
3. 신흥영역(新興領域)의 전략능력 및 '새로운 질적 전투력(新質戰鬪力)' 제고 강조 323
4. 국방예산 전년과 동일한 7.2% 증액 326
Ⅲ. 중국군 현대화 동향 328
1. '신 3단계' 현대화 추진 328
2. 군종별 현대화 동향 332
Ⅳ. 대만정책 동향 337
1. 중국의 대대만 정책 기조와 대만 라이칭더 총통의 집권 337
2. 중국의 대대만 회색지대 분쟁 전략과 군사훈련 342
Ⅴ. 중국군 연합훈련 동향 352
1. 중국과 러시아 간 연합훈련 352
2. 중국과 역내 국가 간 연합훈련 359
3. 중국과 역외 국가 간 연합훈련 361
Ⅵ. 정책적 시사점 362
참고문헌 367
2024 사회 문화 동향: 사회 문화 정책, 궈차오(国潮)의 진화, 그리고 청년 세대의 두 초상 / 이욱연 372
Ⅰ. 머리말: 2024년 중국 사회 문화의 풍경 373
Ⅱ. 2024년 중국의 주요 사회 문화 관련 정책 377
1. 20기 3중전회의 주요 사회 문화 정책 377
2. 2024 전국인민대표대회 정부 보고 주요 사회 문화 정책 382
Ⅲ. 2024년 주요 사회 문화 동향 386
1. 진화하는 궈차오 현상: 소비 트렌드에서 국가 정책과 문화 트렌드까지 386
2. 청년 세대의 두 초상: 애국주의 청년과 '역사의 쓰레기 시간' 속 청년 400
Ⅳ. 평가 및 한국의 대응 전략 412
Ⅴ. 맺음말 420
참고문헌 422
판권기 2
2024년 중국 산업경제 및 한ㆍ중 경제관계 / 김동수 73
그림 1. 중국 과학기술정책 거버넌스 변화 73
그림 2. 중국 산업정책의 변화 73
그림 3. 중국의 외환보유고와 위안달러 환율 77
그림 4. 중국의 실업률 77
그림 5. 중국 상하이지수(좌), 중국 주거용 부동산가격(우) 78
그림 6. 주요국의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 추이 79
그림 7. 대중 교역 추이 91
그림 8. 대중 교역 추이(홍콩 포함) 92
그림 9. 우리 기업의 대중 신규 직접투자 추이 97
그림 10. 중국 진출기업 가동률 99
그림 11. 중국 진출기업의 향후 2~3년 전망 99
그림 12. 중국 진출기업의 경영상 애로사항 100
그림 13. 중국 기업의 대한국 신규 직접투자 추이 101
그림 14. 한중일 경제성장 추이 105
2024년 한중 정치외교 관계: 새로운 한중관계 위상정립을 위한 모색 / 이희옥 234
그림 1. 한중관계 전문가 인식 234
그림 2. 중국의 한국 호감도 235
그림 3. 5년 후 한중관계전망(한국) 236
그림 4. 5년 후 한중관계전망(중국) 236
그림 5. 현재 한중관계 평가 236
그림 6. 한중관계의 중요성 236
2024년 북중관계 정세보고 / 이중구 280
그림 1. 북중간의 교역액(수출 및 수입)(2019. 1~2024. 12) 280
그림 2. 연도별 북중 정상 명의의 축전 발송 횟수(2016~2024) 287
그림 3. 2024년 주요 국면별 북중 간 주요 교류 횟수(2024년 1월~12월) 289
2024년 중국의 국방 / 이영학 328
그림 1. 2017-2024 중국 국방예산 편성 추이 328
그림 2. 중국의 대대만 포위 및 봉쇄 훈련 비교(2022년 8월, 2024년 5월 및 10월 훈련) 348
그림 3. 해경 편대 훈련 349
그림 4. 중러 연합훈련 지역(2003년~2024년 중순) 357
그래프목차 19
그래프 1. 역대 3중전회 시기의 GDG와 CPI 비교 1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