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요약 7
제1장 서론 14
제1절 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15
제2절 연차별 사업추진계획 17
1. 1차년도 17
2. 2차년도 18
3. 3차년도 20
제3절 3차년도 사업의 목적 및 추진 방법 22
1. 사업의 목적 22
2. 사업의 추진 방법 22
제2장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1.0 성과와 한계 23
제1절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1.0 개요 24
1. 추진 배경 24
2. 주요 내용 25
제2절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1.0 추진 현황과 성과 41
1. 자율주행 41
2. 도심항공 모빌리티 41
3. 디지털 물류 42
4. 모빌리티 서비스 43
5. 모빌리티 도시 43
제3절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1.0의 한계 44
제3장 모빌리티 미래 전망과 대응 방안 46
제1절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47
1. 이동 및 물류 기본권 강화 47
2. 모빌리티 행태 변화에 따른 도시 공간 구조 변화 48
3. 모빌리티 산업 국가 경쟁력 강화 49
4. 환경과 안전 향상에 대한 요구 증가 50
5.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공유 51
제2절 분야별 기술 동향 52
1. 자율주행자동차 52
2. UAM 59
3. 미래 자동차 63
4. 디지털 물류 70
5. 모빌리티 서비스 77
6. 도시공간구조 83
제3절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2.0 수립 방향 86
1. 기본 방향 86
2. 목표 및 전략 설정 86
3. 정책과제 구성 87
제4장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2.0 89
제1절 자율주행 분과 90
1. 자율주행의 강점을 살린 新 시장 개척 지원 90
2. 지자체ㆍ민간기업과 주요 권한ㆍ정보 공유 91
3. 자율차에 대한 국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안전ㆍ관리 강화 92
4. 새로운 자율주행 산업 여건을 반영한 인프라 지원계획 93
제2절 도심항공모빌리티 분과 95
1. 안전하고 수용성 높은 상용화 달성 95
2. 신개념 모빌리티 실증을 위한 K-UAM그랜드챌린지(GC) 추진 96
3. 신산업ㆍ신기술을 신속히 반영하는 제도 체계 확립 98
4. 시장 확산ㆍ발전을 유도하는 인프라 정비 101
5. 강건하고 경쟁력있는 시장‧산업 체질 구축 102
제3절 모빌리티 서비스 분과 104
1. 모빌리티 혁신 서비스 확산 104
2. 모빌리티 수단ㆍ서비스 간 연계성 강화 105
제4절 자동차 분과 107
1. 친환경 모빌리티 안전체계 확립 및 신산업 육성 107
2. 新차종과 운전 여건 변화에 대응한 선제적 제도 마련 108
제5절 스마트 물류 분과 111
1. 新 배송 기술을 통해 사각지대 없는 빠른 물류 서비스 제공 111
2. 기존 물류 인프라의 첨단화ㆍ디지털화 112
3. 물류 산업을 국가 핵심 산업으로 육성 114
제6절 도시공간구조 분과 115
1. 모빌리티 친화적 도시공간 조성 115
2. 첨단 모빌리티 수용을 위한 기반 마련 117
제5장 결론 118
참고문헌 121
[부록] 123
A. 모빌리티 포럼 운영 현황 124
B.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2.0(초안, 추후 최종안으로 수정 예정) 160
C. 모빌리티 혁신 영문 단행본 한글 요약 186
Abstract 240
판권기 242
〈그림 3-1〉 로봇 및 드론 배송 현황 77
〈그림 4-1〉 시기별 목표 95
〈그림 4-2〉 eVTOL(UAM용 기체) 활용 다각화 모델 예시 96
〈그림 4-3〉 K-UAM그랜드챌린지 단계별 현황 97
〈그림 4-4〉 5개 실무분과 및 14개 워킹그룹(WG) 구성도 99
〈그림 4-5〉 전기차 활용 형태 112
〈그림 4-6〉 디지털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 개요 113
〈그림 4-7〉 콜드체인 모니터링 플랫폼 개요 114
〈그림 4-8〉 모빌리티 허브 구상안(예시) 115
〈그림 4-9〉 Flex zone 개념 116
부록표목차 169
〈표 1〉 K-UAM 단계별 발전에 따른 주요 지표(K-UAM ConOps 1.0('21.9)) 169
부록그림목차 165
〈그림 1〉 시기별 목표 165
〈그림 2〉 eVTOL(UAM용 기체) 활용 다각화 모델 예시 166
〈그림 3〉 K-UAM그랜드챌린지 단계별 현황 166
〈그림 4〉 5개 실무분과 및 14개 워킹그룹(WG) 구성도 168
〈그림 5〉 전기차 활용 형태 180
〈그림 6〉 디지털 물류정보 통합 플랫폼 개요 182
〈그림 7〉 콜드체인 모니터링 플랫폼 개요 182
〈그림 8〉 모빌리티 허브 구상안(예시) 184
〈그림 9〉 Flex zone 개념 18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