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8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2
1. 연구 배경 13
2. 연구의 주요 내용과 차별성 16
가. 연구 목적과 주요 내용 16
나. 차별성 18
제2장 데이터 거버넌스 정책 프레임워크와 규범 19
1. 정책 수립의 배경과 영향요인 20
2. 데이터 축적 및 활용 기반 구축 23
가. 기본방향: 정부 주도의 데이터 축적 및 활용 23
나. 디지털 ID 프로그램과 솔루션 개발 26
3. 데이터 규범 29
가. 디지털 개인정보보호법 29
나. 분야별 데이터 현지화 규정 32
다. 비개인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안) 36
라. 디지털 인디아법(안) 40
4. 평가와 시사점 43
가. 데이터 축적 및 활용 기반 구축 43
나. 데이터 규범 44
제3장 인도의 디지털 통상협력: 데이터를 중심으로 49
1. 데이터 거버넌스와 디지털 통상정책의 연계 50
2. 데이터 현안에 대한 인도와 주요국 간 논의 52
가. WTO 52
나. 미국 54
다. EU 57
라. 호주 59
마. 중국 62
3. 인도의 디지털 공공 인프라(DPI) 대외협력 64
가. G20 64
나. 국제기구 및 양자 간 협력 67
4. 인도 진출기업 사례 71
가. 인디아 스택 활용 71
나. 데이터 현지화 요건 대응 74
다. 전자적 전송의 관세 모라토리엄에 대한 대응 77
라. 데이터 안보 우려에 대한 대응 79
5. 평가와 시사점 83
가. 인도와 주요국 간 논의 83
나. 인도의 디지털 공공 인프라 협력 85
다. 기업 진출 사례 86
제4장 결론: 한ㆍ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88
1. 정부 간 협력ㆍ논의 과제 89
가. 데이터 규범 현안 89
나. 통상협력 90
다. 디지털 공공 인프라(DPI) 협력 92
라. 공공 부문 디지털화 협력 93
마. 데이터 거버넌스 관련 정부 간 교류 94
바. 기업 진출 지원 96
2. 기업에 대한 시사점 97
참고문헌 99
[부록] 119
Executive Summary 125
판권기 3
그림 1-1. 인도의 분야별 디지털 정책 14
그림 2-1. 인도 데이터 거버넌스 수립의 영향요인 23
그림 2-2. 인도의 정부 주도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 25
그림 2-3. 인디아 스택의 구성요소 27
그림 2-4. DEPA 솔루션 구조 29
그림 2-5. 디지털 인디아법(안) 개요 41
글상자목차 11
글상자 3-1. EU의 디지털 통상정책 58
부록표목차 10
부록 표 1. 인도의 컴퓨터 및 관련 서비스, 시청각 서비스 분야 GATS 양허(specific commitment) 119
부록 표 2. 인도 FTA의 디지털 무역(전자상거래) 챕터 121
부록 표 3. 호주 FTA의 디지털 무역(전자상거래) 챕터 12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