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8
국문요약 4
제1장 미중 무역 분쟁과 제3국 경제 13
제2장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통상정책이 수입 및 수입 단가에 미치는 직접 영향 및 대제3국 전이 효과 분석 20
1. 서론 21
가. 미중 무역 분쟁과 미국의 대중 관세 및 비관세 정책 변화 21
나. 선행 연구 결과 22
2. 실증분석 자료 및 모형 24
가. 수출입, 수출입 단가, 관세, 비관세 자료 24
나. 실증분석 모형 25
다. 실증분석 결과: 수입 효과 27
라. 실증분석 결과: 수입 단가 효과 33
마. 실증분석 결과: 가격 전가 효과 38
3. 전이 효과 분석 40
가. 미국의 대제3국(Rest of World)에의 수입 및 수입 단가에 미치는 효과 40
나. 중국의 대제3국(Rest of World)에의 수출 및 수출 단가에 미치는 효과 43
다. 한국의 대미 수출 및 수출 단가에 미치는 효과 46
라. 한국의 대제3국 수출 및 수출 단가에 미치는 효과 50
4. 소결 53
제3장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통상정책이 한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58
1. 서론 59
가. 연구의 배경 및 주요 발견 59
나. 선행 연구 63
2. 이론적 논의 64
가. 미국 대중 관세가 제3국의 무역과 FDI에 미치는 영향 64
나. 미국 대중 관세가 투자대상국별로 미치는 영향 66
다. 미국 대중 관세가 해외 자회사 지배구조에 따라 미치는 영향 68
3. 실증분석 69
가. 데이터 69
나. 실증분석 식 71
4. 실증분석 결과 73
5. 소결 94
제4장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통상정책과 이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가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 98
1. 서론 99
가. 연구의 배경 99
나. 선행 연구 101
2. 통상정책의 경제효과 분석을 위한 모형 102
가. 연구 모형 및 방법론 102
나. 구조적 모형과 축약형 모형 103
다. 축약형 모형의 추정 및 구조적 충격의 식별 104
3. 벡터자기회귀 모형과 소규모 개방경제하에서의 한국 경제 106
가. 기본 모형의 설정과 분석 결과 106
나. 미국 통상정책의 변화와 불확실성이 미국과 중국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113
4. 소결 118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21
참고문헌 125
[부록] 129
Executive Summary 134
판권기 3
그림 3-1. 한국 기업의 지역별 해외 자회사 수 추이 및 총 FDI 금액 61
그림 3-2. 한계 효과 91
그림 4-1. 원/달러 환율의 역사적 분해 109
그림 4-2. 미국 관세 충격의 충격반응함수 110
그림 4-3.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 충격의 충격반응함수 111
그림 4-4. 원/달러 환율 변화(y-o-y)의 역사적 분해 112
그림 4-5. 미국 관세 인상의 한국 수출입 충격반응함수 116
그림 4-6. 미국 통상정책 불확실성의 한국 수출입 충격반응함수 117
부록표목차 11
부록 표 1. 미국의 수입에서 중국과 한국 기업의 경쟁 정도 129
부록 표 2. 한국 기업의 FDI 대상국(60개국) 130
부록 표 3. 한국 기업의 전 세계 FDI 131
부록그림목차 12
부록 그림 1. 미국의 역사적 통상정책 불확실성 지수와 관세 지수 13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