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서언 3
요약문 10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1. 연구의 배경 13
2. 연구의 목적 14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15
제2장 현행 정보통신법 개관 17
제1절 국내 정보통신법제의 도입과 발전 17
1. 기술 발전과 상호 작용한 입법의 연혁 17
2. 디지털 융합 생태계와 정보통신법 체계 간 괴리 18
3. '규율 목적'에 근거한 법체계 재조명의 의의 19
제2절 시장 규제 20
1. 「전기통신사업법」 체계 고찰의 필요성 20
2. 전기통신역무와 사업자 분류 체계 21
3. 인터넷 생태계의 구성 26
4. 통신사업자의 시장 진입과 역무, 그리고 탈퇴에 대한 규율 28
5. 통신역무 이용자 보호에 대한 규율 46
6. 통신시장 경쟁 규제 50
7. 금지행위 규제 58
8. 통신시장의 설비 규제 68
제3절 이용자 보호 79
1. 현행법의 체계 79
2. 주요 법률 규정 분석 83
제4절 특수 규제 105
1. 분쟁해결제도 105
2.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말기유통법') 121
3. 전파법 129
4.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147
제5절 소결 153
제3장 디지털 융합 양상과 현행법의 대응 한계 155
제1절 디지털 융합 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특징 155
1. 네트워크 융합 155
2. 서비스 융합 159
3. 지능화 166
제2절 시장 생태계와 법체계 간의 부정합성 174
1. 이용자 보호 관점에서의 부정합성 174
2. 데이터 보호 및 활용 관점에서의 부정합성 177
제3절 법체계 내의 부정합성과 한계 179
1. 이용자 보호 관점에서의 부정합성 179
2. 데이터 보호 및 활용 관점에서의 부정합성 182
3. 분쟁해결제도 관련 부정합성 185
4. 기타 특수 규제 관련 부정합성 186
제4절 소결 190
제4장 디지털 융합 시장 규율을 위한 입법론 193
제1절 비교법적 접근 193
제2절 법체계의 진화 양상 194
1. 이용자 보호 체계의 통폐합 194
2. 새로운 데이터 거버넌스 수렴 195
제3절 법적 수단의 쇄신 199
제4절 시사점 203
제5장 정보통신법제의 새로운 지형 구상 205
제1절 디지털 융합에 부합하는 법체계 통합 및 재편 방향 205
1. 법체계 융합과 행정조직 개편 205
2. 규제 기능 분담과 기술적 수단 활용 208
제2절 다원적ㆍ다층적 규제 거버넌스 모색 210
1. 디지털 융합 시대 규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210
2. 새로운 규제 거버넌스 수립 방향 210
제6장 결론 213
참고문헌 216
Abstract 225
판권기 231
[그림 2-1] 인터넷 생태계 구조도 26
[그림 2-2] 경쟁상황평가 절차도 52
[그림 2-3] 경쟁상황평가 평가 지표 종합 체계 52
[그림 2-4] 인수합병 인가 절차 및 절차별 내용 56
[그림 2-5] 금지행위 조사 및 결정 절차 67
[그림 3-1] 인프라 구성 방식 157
[그림 3-2] 디지털 시장 생태계에서 게이트키퍼 플랫폼과 데이터 흐름 164
[그림 3-3] FM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GAMMA 기업 현황 17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