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요약 7

제1장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10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제2장 인구 구조 변화 관련 거시 모형 검토와 현실에의 함의 15

1.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의사결정과 인구 구조 변화의 효과 16

(1) 생애주기(life cycle) 전반에 걸친 경제 주체의 동태적 의사결정 16

(2) 대표적 개인의 기간 간 후생 극대화 17

2. 모형의 분석과 현실에의 함의: 저축ㆍ자본 형성, 투자, 성장, 격차 20

(1) 고령화(aging)에 따른 성장(Growth), 인구 구조 변화, 불평등(Inequality) 20

(2) 모형의 장점과 한계 23

제3장 고령화ㆍ저출생 관련 해외 및 우리의 현황 비교 25

1. 해외의 고령화, 인구 구조 변화 실태 26

(1) 전 세계적인 고령화ㆍ저출생 추세와 이에 따른 변화 26

(2) 대표적인 고령화 국가 ‘일본’ 사례 32

2. 우리의 고령화ㆍ저출생 상황과 대책들 36

(1) 급속한 고령화 상황 36

(2) 저출생 현황과 주요 대책들 40

3. 소결 및 기타 쟁점 정리 47

제4장 고령화ㆍ저출산에 따른 현안 검토: 연금제도 중심으로 52

1.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에 있어 주의점 53

(1) 현실의 복잡 다양성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ㆍ확인 필요 53

(2) 인구 감소에 따른 다양한 영향들 55

2. 인구 구조 변화와 노후소득 보장: 국민연금 관련 56

(1) 고령화ㆍ저출생의 파장과 공적연금제도 56

(2) 연금제도 개선을 위한 고민과 관련 쟁점 검토 66

제5장 시사점 및 결론 81

1.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객관적 접근과 인식의 전환 필요 82

2. 장기적 변화에 대한 지속적 관찰 및 원칙적 대응 필요 85

참고문헌 91

판권기 94

표목차 5

〈표 3-1〉 세계와 한국의 합계출산율 추이 29

〈표 3-2〉 일본과 한국의 총인구, 연령대별 인구 추이(1990~2060) 33

〈표 3-3〉 출생아 수 추이(1970~2023) 41

〈표 3-4〉 유소년, 학령, 청년 인구 추이(2020~2070) 42

〈표 3-5〉 문재인 정부 고령화ㆍ저출산 대책 주요 내용 45

〈표 3-6〉 윤석열 정부 고령화ㆍ저출산 대책 주요 내용 46

〈표 3-7〉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 주요 내용 46

〈표 3-8〉 인구 위기 대응ㆍ적응을 위한 6대 핵심 과제 48

〈표 4-1〉 공적연금 도입 후 주요 개혁 조치 61

〈표 4-2〉 문재인 정부의 연금제도 개선 정책 조합 방안 64

〈표 4-3〉 윤석열 정부 '연금개혁 추진계획' 주요 내용 65

〈표 4-4〉 다층노후소득보장 체계 71

〈표 4-5〉 공공사회복지 지출 증가 추이(1990~2019) 77

그림목차 6

〈그림 3-1〉 주요국의 고령화 진행 기간 비교 28

〈그림 3-2〉 향후 장기 경제성장률 전망 38

〈그림 3-3〉 출생아 및 합계출산율 추이(1970~2023) 41

〈그림 3-4〉 저출산 대응 예산 추이(2006~2023) 43

〈그림 4-1〉 노후 준비 방법(65~74세)의 변화 및 수급률 추이 57

〈그림 4-2〉 연금 가입자ㆍ수급자 수 추이 및 기금재정 전망 63

〈그림 4-3〉 노인빈곤율(65세 이상) 추이 OECD 노인 68

〈그림 4-4〉 기초연금 수급자ㆍ예산 추이 73

〈그림 5-1〉 한ㆍ일 고령자 비율 추이(2000~2050) 85

〈그림 5-2〉 한ㆍ일 출생률 추이(1980~2020)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