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1. 액상화 평가 4

1단계: 개요 5

2단계: 액상화 예비평가 8

3단계: 액상화 본평가 10

2. 얕은 기초 내진성능평가 16

A. 내진성능평가 17

1단계: 기초 현황 17

2단계: 평가조건 19

3단계: 내진 해석 21

4단계: 내진 안전성 검토 22

3. 깊은 기초 내진성능평가 27

A. 내진성능평가 28

1단계: 기초 현황 28

2단계: 평가조건 30

3단계: 내진 해석 33

4단계: 내진 안전성 검토 34

판권기 37

표목차 6

〈표 1.1〉 평가 대상 지반의 지층 구성 및 지반 물성값(현장 관입시험, 현장 탄성파 탐사, 실내실험 결과 활용) 6

〈표 1.2〉 평가 대상 지반의 지층 구성 및 지반 물성값(현장 관입시험 결과 활용) 7

〈표 1.3〉 평가 대상 지반의 액상화 예비평가 결과 9

〈표 1.4〉 실기록 지진파 정보 10

〈표 1.5〉 지반응답해석으로 도출한 깊이별 최대전단응력 12

〈표 1.6〉 깊이별 최대전단응력 및 반복전단응력비 12

〈표 1.7〉 깊이별 CRR7.5 산출 13

〈표 1.8〉 깊이별 MSF 산출 14

〈표 1.9〉 깊이별 CRR 산출 15

〈표 1.10〉 깊이별 액상화 안전율 15

〈표 2.1〉 지반조건(S2 지반) 18

〈표 2.2〉 반무한 균질탄성지반 위에 놓인 강성기초의 강성(Gazetas, 1991) 19

〈표 2.3〉 반무한 균질탄성지반위에 놓인 강성기초 근입효과 계수(Gazetas, 1991) 20

〈표 2.4〉 각 운동성분 별 기초 강성 산정 20

〈표 2.5〉 입력 설계 응답 스펙트럼(S2 지반) 21

〈표 2.6〉 최대부재력 결과 21

〈표 2.7〉 교각 얕은 기초 지지력 산정 결과 24

〈표 3.1〉 지반조건(S4지반) 29

〈표 3.2〉 말뚝 제원 29

〈표 3.3〉 강성 행렬 산정 31

〈표 3.4〉 입력 설계 응답 스펙트럼(S4지반) 33

〈표 3.5〉 최대부재력 결과 33

〈표 3.6〉 최대 변위 결과 33

〈표 3.7〉 흙의 종류에 따른 β값(Fellenius, 1991) 36

〈표 3.8〉 축방향 지지력 검토 결과 36

그림목차 7

〈그림 1.1〉 공진주시험으로부터 획득한 비선형 동적 곡선 7

〈그림 1.2〉 소성지수 기반의 액상화 가능범위 8

〈그림 1.3〉 보정된 7개 지진파와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11

〈그림 1.4〉 보정된 7개 지진파의 시간이력 11

〈그림 2.1〉 단면도 17

〈그림 2.2〉 T형 교각, 기초형식 : 직접기초(9.0×9.0m) 17

〈그림 2.3〉 구조해석 모델(MIDAS) 21

〈그림 2.4〉 Terzaghi's Bearing Capacity Factors 22

〈그림 2.5〉 전도 안전성 검토 방법 25

〈그림 3.1〉 단면도 28

〈그림 3.2〉 하부구조-구조형식 : T형 교각, 기초형식 : 강관말뚝(D=1.0m, t=11mm) 28

〈그림 3.3〉 좌표축 및 강성행렬의 정의 30

〈그림 3.4〉 구조해석 모델(MIDAS)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