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1
목차 7
요약 5
Ⅰ. 서론 13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의 내용 14
Ⅱ. 사이버폭력 관련 국내외 문헌고찰 16
1.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16
가. 국내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 사이버어울림 프로그램 16
나. 국외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의 동향: 디지털 사회ㆍ정서 역량 37
다.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 관련 국내외 메타분석 연구결과 50
라.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 관련 국내외 문헌고찰 74
2. 역량 기반 사이버폭력 예방 프로그램 현황 분석 93
가. 역량 기반 국내 사이버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현황 93
나. 역량 기반 국외 사이버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현황 110
Ⅲ.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도출 및 타당도 분석 130
1. 연구 개요 130
가.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도출 130
나.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분석 132
2. 연구결과 141
가.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개발에 따른 참고자료 141
나.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분석 결과 152
다.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154
Ⅳ. 결론 196
1. 근거 기반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 체계 196
2. 학교급별 발달수준을 반영한 핵심요소 198
3. 사이버어울림 프로그램 내용 요소인 교수요목 198
4. 학교급별 특성을 고려한 사이버어울림 프로그램의 적용 199
참고문헌 201
[부록 1]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조사지: 초등학교 저학년 229
[부록 2]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조사지: 초등학교 고학년 261
[부록 3]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조사지: 중학교 293
[부록 4]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조사지: 고등학교 325
판권기 357
표목차 9〈표 1〉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폭력 인식 및 대처 학습주제 목록 16
〈표 2〉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자기존중감 학습주제 목록 19
〈표 3〉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자기조절 학습주제 목록 21
〈표 4〉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감정조절 학습주제 목록 24
〈표 5〉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공감 학습주제 목록 27
〈표 6〉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의사소통 학습주제 목록 30
〈표 7〉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갈등관리 및 문제해결 학습주제 목록 32
〈표 8〉 학교급 및 수준별 사이버 윤리의식 학습주제 목록 35
〈표 9〉 사회정서학습 영역의 하위요소(CASEL, 2020) 39
〈표 10〉 사회ㆍ정서 역량성향과 사회ㆍ정서 역량(James et al., 2019: 16) 42
〈표 11〉 영역별, 학교급별 디지털 사회정서학습 주제(Campos, 2023) 43
〈표 12〉 CASEL의 사회ㆍ정서 역량에 따른 학교폭력 관련 요인 분류 48
〈표 13〉 사이버폭력 예방 역량 관련 국내외 메타분석 연구결과 51
〈표 14〉 국내외 메타분석 연구의 사이버폭력 관련 요인 출현 여부 61
〈표 15〉 국내외 메타분석 연구 기반 사회정서 영역별 사이버폭력 관련 역량 73
〈표 16〉 기본 프로그램의 구성 관점 93
〈표 17〉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8대 역량 94
〈표 18〉 사이버어울림 기본 프로그램 특성 및 활용 방법 95
〈표 19〉 초등(저학년) 사이버어울림 기본 프로그램 96
〈표 20〉 초등(고학년) 사이버어울림 기본 프로그램 97
〈표 21〉 중등 사이버어울림 기본 프로그램 97
〈표 22〉 심화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 98
〈표 23〉 사이버어울림 심화 프로그램 특성 및 활용 방법 99
〈표 24〉 초등 사이버어울림 심화 프로그램 100
〈표 25〉 중등 사이버어울림 심층 프로그램 100
〈표 26〉 사이버어울림 교과연계 특성 및 활용 방법 101
〈표 27〉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5
〈표 28〉 사이버폭력 예방 또래 상담 프로그램 109
〈표 29〉 ViSC 프로그램 구성 112
〈표 30〉 Media Heroes 프로그램 구성 114
〈표 31〉 Asegúrate 프로그램 구성 116
〈표 32〉 Prev@cib 2.0 Program의 구성(Ortega-Barón et al., 2022 재구성) 122
〈표 33〉 ConRed teaching sessions(Ortega-Ruiz et al., 2012) 124
〈표 34〉 Advice for teachers and families in the ConRed awareness-raising campaign 124
〈표 35〉 초등학교급 CFS 프로그램 교육과정(4학년) 127
〈표 36〉 초등학교급 CFS 프로그램 교육과정(5학년, 6학년) 128
〈표 37〉 사회ㆍ정서 영역별 사이버폭력 관련 역량 130
〈표 38〉 연구방법: 교수요목 개발 131
〈표 39〉 연구참여자 특성: 교수요목 개발 132
〈표 40〉 연구방법: 교수요목 타당성 검증 132
〈표 41〉 조사 대상자: 교수요목 타당성 검증 134
〈표 42〉 초등학교 저학년 연구참여자 정보 135
〈표 43〉 초등학교 고학년 연구참여자 정보 136
〈표 44〉 중학교 연구참여자 정보 137
〈표 45〉 고등학교 연구참여자 정보 139
〈표 46〉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개발 참고자료 141
〈표 47〉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타당도 분석 결과 152
〈표 48〉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자기인식 영역 154
〈표 49〉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자기관리 영역 160
〈표 50〉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사회적 인식 영역 172
〈표 51〉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관계적 기술 영역 177
〈표 52〉 사이버어울림 교수요목: 책임 있는 의사결정 영역 186
그림목차 11
[그림 1] CASEL(2020)이 제시한 사회ㆍ정서 역량 38
[그림 2] 내용 타당도 비율(CVR) 산출식 133
[그림 3] 내용 타당도 지수(CVI) 산출식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