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0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2. 연구의 주요 내용 19
가. 탄소중립도시 제도 개선방향 마련 20
나. 탄소중립도시 선도도시 최종대상지 공모 및 선정ㆍ평가 21
3. 한국형 탄소중립도시 개념 정의 22
제2장 법제도 및 국내외 추진현황 분석 27
1. 탄소중립도시 지정 법제도 현황 27
가. '탄소중립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 27
나. 탄소중립도시 지정 등에 관한 고시 31
2. 외국의 탄소중립도시 추진 정책사례와 특징 33
가. EU, 기후중립 스마트도시 33
나. 일본, 탈탄소 선행지역 46
3. 국내 기타 도시지정 사례와 특징 55
가. 도시지정 사례의 체계 및 구성 55
나. 도시지정 공모 프로세스 유형 64
다. 도시 지정의 법적 기반 65
라. 도시 지정을 위한 구성요소 68
4. 탄소중립도시 지정 법제도 개선 필요성 70
가. 현행 법제도 관련 쟁점 71
나. 국외 탄소중립도시 지정 사례분석의 시사점 73
다. 국내 기타 도시지정 사례 분석의 시사점 74
제3장 탄소중립도시 지정을 위한 정책이슈 도출 76
1. 개요 76
2. 탄소중립도시 정책목표 및 공모 가이드라인 분석 77
가. 탄소중립 관련 추진사례 분석 77
나. 탄소중립도시 관련 추진사례의 주요 이슈 및 쟁점 분석 90
3.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사업제안서 및 사업 분석 96
가.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사업제안서 분석 개요 96
나. 탄소중립 선도도시 사업제안서의 전체 제안내용 분석 96
다. 탄소중립 선도도시 사업제안서 내 지자체 세부사업 내용 분석 111
라.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계획 내 거버넌스 체계 분석 127
4. 탄소중립도시 지정을 위한 지역 특성 및 전문가 의견 분석 136
가. 국내 도시유형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 분석 136
나. 전문가 의견 수렴 및 네트워크 분석 145
5. 탄소중립도시 제도적 이행기반 분석 154
가. 국내 탄소중립도시 제도적 이행기반 현황 분석 154
나. 탄소중립도시 지원기구 및 지원체계 분석 157
다. 국외 탄소중립도시 제도적 이행기반 비교 분석 162
6. 탄소중립도시 지정 관련 정책이슈 도출 166
가. 정책이슈 종합 166
나. 정책개선 우선순위 선정 168
제4장 탄소중립도시 지정 및 제도화 방안 마련 171
1. 탄소중립도시 지정 기본방향 171
가. 지정의 목적 171
나. 지정의 목표 172
다. 지정의 방식 174
라. 공간계획의 기본방향 175
2. 탄소중립도시 지정 제도의 개선방향 177
가. 탄소중립도시 지정 추진 전략 177
나. 탄소중립도시 조성사업계획 178
다. 지정 기준 및 절차 189
라. 사업 추진 방향 194
마. 이행 체계 201
3. 탄소중립도시 지정 제도의 법률 개선 (안) 마련 214
가. 「탄소중립기본법」 및 「탄소중립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214
나. 지정고시 개정(안) 219
다. 사업추진을 위한 독립법 제정 223
제5장 결론 및 제언 226
1. 결론 및 종합 226
2. 향후 연구 제언 228
참고문헌 230
[부록] 239
Ⅰ.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ㆍ평가 과정 및 결과 240
Ⅱ.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가이드라인 250
Ⅲ.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Q&A 262
Executive Summary 265
판권기 2
그림 1-1. 연구의 체계 19
그림 1-2.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가이드라인 설명회 21
그림 1-3. 지자체 컨설팅 운영체계 22
그림 1-4. 한국형 탄소중립도시의 개념 26
그림 1-5. 한국형 탄소중립도시의 국내 선행사례 26
그림 2-1. Horizon Europe R&I의 5가지 미션 33
그림 2-2. 참여 도시 목록 35
그림 2-3. CCC 체계 39
그림 2-4. 기후중립 행동계획의 구성 40
그림 2-5. 기후중립 투자계획의 구성 42
그림 2-6. 스톡홀름의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감축목표 44
그림 2-7. 지역 탈탄소 로드맵의 개요 47
그림 2-8. 탈탄소 선행지역 선정 과정 48
그림 2-9. 탈탄소 선행지역 선정 일정 48
그림 2-10. 탈탄소를 통한 지역과제 해결 접근 사례 50
그림 2-11. 지역 탈탄소 촉진사업의 주체 간 수평적 연계 51
그림 2-12. 사업 단계별로 요구되는 자금조달 액션 53
그림 2-13. 미나토미라이 21지구 사업 연계도 54
그림 2-14. 미나토미라이 21지구 내 참여기업 55
그림 2-15. 문화도시 지정 및 추진 절차 56
그림 2-16. 수소도시 2.0 비전 및 목표 62
그림 2-17. 수소도시 지자체 연계사업 예시 63
그림 2-18. 공모 외 사업 추진 과정 - (수소도시) 64
그림 2-19. 공모 사업 추진 과정 - ① 평생학습도시 등 64
그림 2-20. 공모 사업 추진 과정 - ② 스마트도시 등 64
그림 2-21. 공모 사업 추진 과정 - ③ EU 기후중립 스마트도시 등 65
그림 2-22. 공모 사업 추진 과정 - ④ 문화도시 등 65
그림 3-1. 탄소중립 그린도시 공모과정 81
그림 3-2.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과정 81
그림 3-3. 탄소중립 선도도시 종합구상 85
그림 3-4. 문제해결형(좌) 및 종합선도형(우) 사업(예시) 86
그림 3-5. 종합구상 및 사업계획 체계(예시) 88
그림 3-6. 지자체 유형에 따른 사업유형별 세부사업 101
그림 3-7. 지자체 유형에 따른 총사업비 대비 온실가스 감축량 101
그림 3-8. 사업분류에 따른 사업유형별 세부사업 수 102
그림 3-9. 사업분류(핵심-민간협력)-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07
그림 3-10. 사업분류(핵심-기존정부지원)-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07
그림 3-11. 사업분류(핵심-신규)-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08
그림 3-12. 사업분류(핵심-비예산)-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08
그림 3-13. 사업분류(연계-부처연계)-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09
그림 3-14. 사업분류(연계-지자체)-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10
그림 3-15. 사업분류(연계-공공ㆍ민간)-사업유형-세부사업 간 네트워크 분석 110
그림 3-16.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지자체별 핵심사업 및 연계사업의 빈도 111
그림 3-17.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핵심사업의 사업방식에 대한 지자체별 빈도 113
그림 3-18. 탄소중립 선도도시 공모 연계사업의 사업방식에 대한 지자체별 빈도 115
그림 3-19.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3가지 유형 128
그림 3-20. 거버넌스 유형별 예시 135
그림 3-21. 도시유형별 총배출량 및 추이 137
그림 3-22. 도시유형별 배출량 평균 및 표준편차 변화 138
그림 3-23. GRDP 대비 1인당 배출량 138
그림 3-24. 도시유형별 총배출량 및 1인당 배출량 상자그림(2021년 기준) 139
그림 3-25. 경제 부문별 배출 비율 및 배출량 변화 143
그림 3-26. 네트워크 분석 프로세스 145
그림 3-27. 탄소중립도시 개념 및 목적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49
그림 3-28. 탄소중립도시 지정 기준과 방식 및 절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50
그림 3-29. 탄소중립도시 조성계획 세부 내용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51
그림 3-30. 탄소중립도시 이행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53
그림 4-1. 공간계획의 기본방향 176
그림 4-2. 탄소중립도시 지구단위 사업대상지 설정 예시 184
그림 4-3. 탄소중립도시 지정기준 지표의 공간정보 적용 예시 184
그림 4-4. 탄소중립도시 관련 계획의 위계 및 타 계획과의 연계성 187
그림 4-5. 지역적 특성에 따른 정책 유형화 방안 예시 190
그림 4-6. 탄소중립도시 지정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안) 194
그림 4-7. 도시재생사업의 지원체계와 주요 기능 209
부록표목차 243
부록 표 1-1. 서면평가 평가항목 243
부록 표 1-2. 경진대회 평가항목 244
부록그림목차 240
부록 그림 1-1. 탄소중립도시 지구단위 사업대상지 설정 예시 240
부록 그림 1-2. 공모 가이드라인 및 Q&A 241
부록 그림 1-3. 공모 가이드라인 설명회 242
부록 그림 1-4. 전체 지자체 컨설팅(좌: 1차, 우: 2차) 242
부록 그림 1-5. 현장실사 확인 사항 244
부록 그림 1-6. 탄소중립 선도도시 국민평가단 모집 공고 245
부록 그림 1-7. 서울 노원 탄소중립 선도도시 포스터 246
부록 그림 1-8. 충남 당진 탄소중립 선도도시 포스터 247
부록 그림 1-9. 충남 보령 탄소중립 선도도시 포스터 248
부록 그림 1-10. 제주 탄소중립 선도도시 포스터 24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