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8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요약 5
CHAPTER 1. 서론 2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0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0
2) 연구의 목적 3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6
1) 연구 범위 36
2) 연구 방법 36
3. 연구 틀 41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2
1)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연구 42
2)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 관련 연구 42
3)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적응 및 취업 관련 연구 43
4)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연구 44
5) 주요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45
CHAPTER 2.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정책적 의의 47
1. 국제학생 이동 증가의 배경과 동인 48
1) 국제학생 이동 현황 48
2) 국제학생 이동의 공간적 패턴 50
3) 국제학생 이동의 동인 51
2. 외국인 유학생의 개념 54
1) 외국인 유학생의 정의 54
2) 외국인 유학생 관련 법령 56
3. 지역정책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의의 58
1) 외국인 유학생의 다층적 정체성 58
2)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정책적 의의 구분 58
3) 외국인 유학생 관련 지역정책의 과제 62
4.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정책 64
1) 중앙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 정책 64
2) 지자체의 외국인 유학생 지원 정책 78
3) 종합 및 시사점 92
CHAPTER 3. 해외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정책 97
1. 해외사례 분석 개요 98
1) 대상국가 선정 기준 98
2) 대상국가 선정 결과 99
2. 호주 100
1) 호주 외국인 유학생 현황 및 유치 정책의 특징 100
2) 외국인 유학생 취업 및 정주 지원 전략 110
3) 지역단위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사례 113
4)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의 지역 파급 효과 119
3. 독일 121
1) 외국인 유학생 정책 추진 배경 121
2) 외국인 유학생 유치 현황 124
3) 외국인 유학생 관련 주요 법ㆍ제도 129
4) 외국인 유학생 정주 촉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133
4. 대만 139
1) 외국인 유학생 정책 추진 배경 139
2) 외국인 유학생 현황 및 추이 141
3)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전략 145
4) 외국인 유학생 정주 촉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156
5) 지자체 단위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사례 161
5. 종합 및 시사점 164
1) 결과 종합 164
2) 시사점 165
CHAPTER 4. 지역별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학업 현황 167
1. 분석 개요 168
1) 분석 목적 및 내용 168
2) 분석 방법 169
2. 외국인 유학생 규모 170
1) 외국인 유학생 유입 추이 170
2) 외국인 유학생 규모 172
3. 외국인 유학생의 인적 특성 175
1) 출신국가(국적) 175
2) 재외동포 여부 180
3) 정부 초청 및 장학금 수혜 여부 182
4.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186
1) 학위 수준 186
2) 전공 191
3) 학위수준과 전공에 따른 지역구분 195
5. 지역인구 대비 외국인 유학생 규모 197
1) 대학 재학생 수 대비 외국인 유학생 197
2) 청년인구(20~39세) 대비 외국인 유학생 200
3) 생산가능인구(15~64세) 대비 외국인 유학생 204
6. 분석결과 요약 208
CHAPTER 5.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학업 단계 경험과 취업 의사: 전북특별자치도 사례 209
1. 사례지역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10
1) 목적 및 내용 210
2) 사례지역 선정 211
3) 설문조사 개요 213
2.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학업 단계 경험 217
1) 유치단계: 유학지 결정 과정 217
2) 학업 단계: 교육 및 근로 경험 219
3) 학업단계: 거주 경험 및 거주지역에 대한 인식 225
4) 졸업 후: 한국 및 지역 내 취업 의사 232
5) 외국인 유학생 취업 지원 정책에 대한 의견 238
3.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1
1) 분석 개요 241
2)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242
3) 전라북도에 있는 기업에 취업할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248
4) 종합 및 시사점 252
CHAPTER 6. 지역발전을 위한 외국인 유학생 정주 지원 방안 253
1. 기본방향 254
1) 연구 결과와 시사점 254
2) 정책 기본 방향 256
2.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취-창업 연결 사다리 강화 방안 258
1) 외국인 유학생 유형화를 통한 졸업 후 체류 경로 다양화 258
2) 기업과 외국인 유학생 간 연결성 제고를 위한 산학프로그램 확대 260
3) 외국인 유학생 창업 지원 262
3. 외국인 유학생 지역 내 정착 제고 방안 263
1)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이해도 제고 263
2)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지역주민의 수용성 제고 264
4. 지역 외국인 유학생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정책 패키지화 방안 267
1) 외국인 유학생 관련 통계 연계 및 성과 조사 시스템 구축 267
2) 지역 일자리 수급계획 하에서 외국인 유학생 취업 지원 정책 추진 269
3)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지원 주체로서 지자체의 역할 정립 270
CHAPTER 7. 결론 및 향후 과제 273
1. 결론 274
2.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 277
참고문헌 279
SUMMARY 300
[부록 1] 외국인 유학생 관련 선행연구 검토 304
[부록 2] 전북 지역 외국인 유학생 정주 실태 설문조사지 311
판권기 320
그림 1-1. 전 세계 국제학생 수 변화(1997~2020년) 31
그림 1-2. 외국인 유학생 수 변화(1999~2023년) 31
그림 1-3. 새로운 인구 확보를 위한 외국인 유입 필요성 32
그림 1-4. 글로벌 교육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 33
그림 1-5. 문제의식과 분석틀 35
그림 1-6. 연구수행 흐름도 41
그림 2-1.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 비율 변화 49
그림 2-2. 외국인 유학생 목적지의 국가별 비율(2010년 & 2020년) 49
그림 2-3. 외국인 유학생 출신 지역별 비율(2013년 & 2020년) 50
그림 2-4. 국가별 외국인 유학생 출신 지역(대륙별) 비율(2020년) 51
그림 2-5.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따른 수익(2010년 & 2019년) 59
그림 2-6. 총수출 중 교육 서비스 관련 수출의 비중(2010년 & 2019년) 60
그림 2-7. 시기별 교육부와 법무부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64
그림 2-8. 제4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비전 및 정책목표 65
그림 2-9. 제1차~4차 외국인 기본계획 중 외국인 유학생 정책 67
그림 2-10. 우수인재 패스트트랙 프로그램 68
그림 2-11. 지역특화 비자사업 개념도 69
그림 2-12. 외국인 유학생 유치 시스템 전환 72
그림 2-13. 교육부 대학재정지원 사업 개편 방향 73
그림 2-14. 유학생 지역기업 채용 활성화 협업 모형 75
그림 2-15. 외국인 유학생 취업 박람회(경상북도) 75
그림 2-16. 일학습병행 프로세스 77
그림 2-17. 경상북도 이민정책 기본계획 78
그림 2-18. 전북특별자치도 라이즈 기본계획 상 외국인 유학생 해당 부문 85
그림 2-19. 충북 K-유학생 설명회(태국 치앙마이) 86
그림 2-20. 충청북도 라이즈 기본계획 상 외국인 유학생 해당 부문(추진모델) 86
그림 2-21.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목표와 지역정책적 의의 변화 93
그림 3-1. 호주의 유학생 출신국가(각 연도/연도별 유학생 수) 101
그림 3-2. 호주의 교육기관별 유학생 등록 수(2019-2023년) 101
그림 3-3. 호주의 유학생 주별 분포 102
그림 3-4. 호주 국제 교육의 4가지 우선순위 103
그림 3-5. 각국 3차 교육기관의 상위 5개 출신국 유학생 비중(2020, 국제 교육 등록 건수 기준) 104
그림 3-6. 졸업 시점 호주에서 취업 중인 유학생이 소지한 비자유형 105
그림 3-7. 졸업생의 전일제 취업 비율 107
그림 3-8. 호주에서 전일제로 고용된 졸업생의 연봉 중위값(AUD) 108
그림 3-9. 졸업생 중 전임 관리직 또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비율 108
그림 3-10. 추가 풀타임 학업 중인 졸업생 비율 109
그림 3-11. 단기 및 중기적으로 국제 학부생들에게 인기 있는 학업 분야 109
그림 3-12. 2024-25 WA 주 지명 신청 방법 118
그림 3-13. 호주 유학 및 교육기관 선택 요인, 2022 119
그림 3-14. 학업 목적의 거주허가를 받은 후 10년까지 유학생 정주 현황 137
그림 3-15. 외국인 유학생의 거주허가를 받은 후 10년까지 정주 이유 138
그림 3-16. 대만의 인구 추계(1980~2070) 139
그림 3-17. 대만의 학위 과정, 비학위 과정 외국인 유학생 추이(2018~2024) 142
그림 3-18. 주요 국가 출신 외국인 유학생 수의 시계열 변화 143
그림 4-1. 지역별 유학생 수 변화(수도권/비수도권, 1999~2023년) 170
그림 4-2. 전체 외국인 유학생 수 500명 이상 비수도권 시ㆍ군 174
그림 4-3. 시군별 전체 유학생 수(2023년)(좌) 및 시군별 학위 과정 유학생 수(2023년)(우) 174
그림 4-4. 시군별 전체 유학생 대비 국적별 유학생 수 비율 179
그림 4-5. 시군별 전체 유학생 대비 재외동포 유학생수 비율 182
그림 4-6. 시군별 전체 유학생 대비 유학 형태별 비율 185
그림 4-7. 시군별 학위과정 유학생 대비 비율 190
그림 4-8. 시군별 학위과정 유학생 대비 전공별 유학생 비율 195
그림 4-9. 시군별 대학 재학생 수 대비 외국인 유학생 198
그림 4-10. 시군별 청년인구(20~39세) 대비 외국인 유학생 202
그림 4-11. 시군별 생산가능인구(15~64세) 대비 외국인 유학생(2023년기준) 206
그림 5-1. 정규 과정 이외 프로그램 참여 경험 여부 및 프로그램별 한국 적응 및 정착 도움 정도 223
그림 5-2. 한국에서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업종 236
그림 5-3. 체류자격, 학위수준, 전공분야 구분에 따른 취업 희망 업종 236
그림 6-1. 한국 취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 260
그림 6-2. 학교 소재 지역 정보 취득 경로 263
그림 6-3. 국내 취업의향이 없는 이유 265
그림 6-4. 유학과정의 단계별로 구분한 현행 수집항목의 내역 및 수집 주체 267
부록표목차 304
표 1.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 연구 304
표 2.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관리에 관한 선행연구 304
표 3.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적응 및 취업 관련 선행연구 306
표 4.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국책연구기관의 선행연구 309
표 5. 지방자치단체 대상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선행연구 309
표 6. 외국인 유학생 정책 관련 최근 논문 31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