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요약 10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9
1. 연구 내용 19
2. 연구 방법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이론적 논의 24
1. 아동학대의 개념 및 유형 24
2. 학대피해아동 보호제도 및 현황 29
3. 학대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공공의 의사결정 45
4. 의사결정이론 50
제2절 선행연구 분석 59
1.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업무 수행에 대한 연구 59
2. 아동학대 단계별 의사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61
제3절 소결 71
제3장 학대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공공의 의사결정 현황과 어려움 75
제1절 분석 개요 76
1. 분석 자료 76
2. 연구 참여자 선정 77
3. 조사 내용 및 방법 78
4. 연구 참여자의 특성 80
제2절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의사결정 현황 81
1. 신고 접수 결정: 이원적인 신고체계와 접수 결정의 낮은 선별성 81
2/3. 아동학대 판단 결정 86
3/4. 아동의 원가정 분리 결정 102
4/5. 아동학대 사례 종결 결정 109
제3절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어려움 111
1. 아동학대 업무 경험에 따른 어려움 112
2. 학대 판단의 어려움 114
3. 아동 분리 판단의 어려움 117
4. 조직과 정책에 따른 어려움(의견) 119
제4절 소결 126
제4장 국외 사례 분석 130
제1절 미국 사례 131
1. 플로리다주의 아동학대 관련 의사결정 주체 132
2. 학대피해아동 보호 현황 133
3. 학대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공공의 의사결정 현황 136
제2절 영국 사례 168
1. 스코틀랜드의 아동보호 현황 168
2. 아동학대(아동보호) 접수 판단 172
3. 아동보호 시작 여부 판단: 다기관 논의 177
4/2. 아동보호 관련 종사자 훈련 및 슈퍼비전 205
제3절 시사점 207
1. 미국 사례의 시사점 207
2. 영국 사례의 시사점 211
제5장 학대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의사결정 특성 214
제1절 조사 개요 215
1. 비넷 조사의 활용 215
2. 참여자의 선정 216
3. 조사 내용(비넷의 내용) 구성 218
4. 자료수집 방법 221
5. 윤리적 고려 222
6. 조사 참여자의 주요 특성 222
제2절 아동학대전담공무원 대상 비넷 조사 결과 225
1.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 225
2. 단계별 의사결정 생태체계에 따른 영향요인 255
제3절 시사점 269
제6장 결론 272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73
1.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의사결정 현황과 어려움 274
2. 국외 사례 분석의 주요 결과 274
3. 의사결정 특성과 영향요인 분석의 주요 결과 275
제2절 정책적 개선 방안 277
1.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초래한 개인 요인의 개선 방안 277
2.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초래한 사례 요인의 개선 방안 279
3.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초래한 조직 요인의 개선 283
4.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초래한 외부 요인의 개선 287
참고문헌 290
[부록] 아동학대전담공무원 대상 1차 심층인터뷰 조사표 304
Abstract 306
판권기 2
[그림 1-1] 연구흐름도 22
[그림 2-1] 학대피해아동 보호서비스 절차 30
[그림 2-2] 연도별 아동학대 신고 접수 추이 34
[그림 2-3] 연도별 전국 아동학대전담공무원 배치 규모 43
[그림 2-4] 연도별 전국 평균 아동학대전담공무원 1인당 담당 사례 수 44
[그림 2-5] 아동학대 대응 절차에서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주요 의사결정 지점 49
[그림 2-6] 의사결정 생태체계(Decision-Making Ecology) 59
[그림 4-1] 플로리다 아동학대 대응 단계 및 업무 주체 132
[그림 4-2] 플로리다주 안전 의사결정 방법 흐름도 137
[그림 4-3] 플로리다주 안전 결정 공식(Safety Decision-Making Formula) 158
[그림 4-4] 스코틀랜드 아동보호 절차의 개요 171
[그림 4-5] 국가실천모델 프레임워크 173
[그림 4-6] 아동보호 의뢰 양식 174
[그림 4-7] 다기관 논의 보고서 양식 179
[그림 4-8] 방임 평가도구 척도(위생) 189
[그림 4-9] 방임 평가도구 척도(가정안전) 189
[그림 4-10] 방임 평가도구 척도(감수성) 190
[그림 4-11] 아동보호등록부에 기재된 아동의 수(2000~2023) 195
[그림 4-12] 아동보호등록부에 기재된 아동의 아동보호계획회의 소집 원인(2022~2023) 197
[그림 4-13] 아동복지시스템 전반에서 안전에 대한 개입 208
[그림 5-1] 학대 판단의 의사결정 생태체계별 영향요인 257
[그림 5-2] 비넷 ①~비넷 ③ 단계별 응답자의 평균 학대 판단 결정 비율 259
[그림 5-3] 아동 분리의 의사결정 생태체계별 영향요인 263
[그림 5-4] 비넷 ①~비넷 ③ 단계별 응답자의 평균 아동 분리 결정 비율 26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