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
요약 13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19
1. 연구 내용과 구성 19
2. 연구 방법 21
제2장 주요국 코로나19 전후의 사회경제적 특성 24
제1절 각국 경제적 특성 25
제2절 코로나19 전후 고용 변화 32
제3절 각국의 일하는 방식 변화 45
제3장 한국의 코로나19 영향 52
제1절 서론 53
제2절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56
1. 고용유지정책 56
2. 긴급고용안정지원금 5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60
1. 분석자료 60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64
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64
2. 일자리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71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78
1. 고용변화 78
제6절 소결 88
제4장 독일의 코로나19 영향 89
제1절 서론 90
제2절 독일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93
1. 고용유지정책 94
2.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가계 지원 98
3. 재택근무 100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102
1. 분석자료 및 내용 102
2. 분석방법 105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05
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105
2. 일자리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114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121
제6절 소결 132
제5장 영국의 코로나19 영향 134
제1절 서론 135
제2절 영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37
1. 방역ㆍ봉쇄정책 137
2. 고용지원 140
3. 소득지원 143
4. 돌봄지원 147
제3절 분석자료 149
1. 분석자료 149
2. 분석 변수 및 내용 151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55
1. 인구학적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155
2. 일자리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164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172
제6절 소결 187
제6장 미국의 코로나19 영향 194
제1절 서론 195
제2절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201
1. 연방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201
2. 연방 정부의 코로나19 대응과 쟁점 211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25
1. 분석자료 225
2. 분석방법 227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30
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230
2. 고용 특성별 고용과 소득 변화 244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260
1. 고용 및 소득 변화 260
2. 정책 효과 272
제6절 소결 281
제7장 노르웨이의 코로나19 영향 283
제1절 서론 284
제2절 노르웨이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289
1. 방역ㆍ봉쇄정책 289
2. 고용지원 290
3. 돌봄지원 294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95
1. 분석자료 295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98
1. 고용상태 추이 298
2. 주당 근로시간 추이 304
3. 고용상태 변화 308
4. 주당 근로시간 변화 312
5. 연간 근로소득 변화 316
6. 월 노동소득 변화 320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324
1. 고용상태 변화 324
2. 주당 근로시간 감소 329
3. 연간 근로소득 감소 331
4/5. 월 노동소득 감소 333
제6절 소결 335
제8장 결론 338
제1절 요약 및 정리 339
1. 누가 고용 충격을 크게 받았는가?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51
1. 산업구조 개선과 미래형 산업 일자리 확대 351
2. 한국 고용구조 개선과 고용안전망 강화 352
3. 고용유지정책 접근성 확대 및 위기 대응 신속성 강화 353
4. 근로시간 청구권 확대와 시간제 사회보장성 강화 356
5. 재택/원격근무 근무형태 변화에 대응한 제도와 인프라 지원 357
6. 돌봄지원정책 강화 358
참고문헌 359
Abstract 372
판권기 2
[그림 2-1] 성별 고용률 및 전년 동분기 대비 취업자 증감률(15~64세) 35
[그림 2-2] 성별 고용률 및 전년 동분기 대비 취업자 증감률(25~54세) 36
[그림 2-3] 성별 고용률 및 전년 동분기 대비 취업자 증감률(15~24세) 37
[그림 2-4] 성별 고용률 및 전년 동분기 대비 취업자 증감률(55~64세) 38
[그림 2-5] 산업별 전년 동분기 대비 취업자 증감률(15세 이상) 40
[그림 2-6] 유럽 주요국 '항상(usually)' 재택 근무자 비율 47
[그림 2-7] 유럽 주요국 '가끔(sometimes)' 재택 근무자 비율 48
[그림 2-8] 미국 2023년 산업별 전일제 임금근로자 대비 재택근무 비율 49
[그림 3-1] 한국 코로나19 진행 경과 53
[그림 3-2] 한국 고용유지지원금 수혜 인원 비중(2019년 4/4분기 임금노동자 대비) 57
[그림 3-3] 한국 인구 특성별 고용률 증감(전년 대비) 66
[그림 3-4] 한국 인구 특성별 취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66
[그림 4-1] 독일과 주요국 코로나19 진행 경과 비교 91
[그림 4-2] 독일 2020-2022년 단축근로제(STW) 사용 추이 96
[그림 4-3] 독일 글로벌 금융위기와 팬데믹 시기 산업별 단축근로제 사용자 비율과 평균 근로시간 단축 비율 97
[그림 4-4] 독일 소득계층, 고용형태, 성별, 지역별 원격근무자 비율 102
[그림 4-5] 독일 인구 특성별 고용률 증감(전년 대비) 107
[그림 4-6] 독일 인구 특성별 취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107
[그림 4-7] 독일 인구 특성별 실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108
[그림 4-8] 독일 인구 특성별 휴직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109
[그림 5-1] 영국 성별 고용률과 실업률 변화 137
[그림 5-2] 2020년 3월~2021년 3월까지 UK 코로나19 봉쇄 타임라인 139
[그림 5-3] 영국 휴직된 직무 수 141
[그림 5-4] 영국 유니버셜 크레딧: 수급자 수와 신규 신청 144
[그림 5-5] 영국 상환유예조치 받은 가구와 받지 않은 가구의 소득과 지출 변화 147
[그림 5-6] UKHLS Survey timeline 150
[그림 5-7] 영국 인구 특성별 고용률 증감(전년 대비) 157
[그림 5-8] 영국 인구 특성별 취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157
[그림 5-9] 영국 인구 특성별 실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158
[그림 5-10] 영국 인구 특성별 휴직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159
[그림 5-11] 영국 유연 근무 형태 사용 192
[그림 6-1] 미국의 월별 실업률 추이 196
[그림 6-2] 인종별, 성별 미국의 월별 실업률 추이 197
[그림 6-3] 미국의 실업보험 수급자 비중 208
[그림 6-4] 미국의 월별 실업수당 지급액 209
[그림 6-5] 미국 가계의 가처분소득 변화와 소득 원천별 개인 소득 변화 210
[그림 6-6] 주별 고용률 및 실업률 추이 212
[그림 6-7] 미국 주요 주별 실업보험 수급자 비중 221
[그림 6-8] 주요 복지국가의 순사회지출 유형별 비중과 영역별 민간의 복지 제공(2019년) 223
[그림 6-9] 미국 인구 특성별 2년 전 대비 고용률 증감(전년 대비) 233
[그림 6-10] 미국 일자리 특성별 2년 전 대비 취업자 증감률 245
[그림 7-1] 노르웨이 성별ㆍ연령별 실업률 및 성별/구직기간별 구직자 수 추이(2016~2021년) 286
[그림 7-2] 노르웨이 성별ㆍ연령별 총 풀타임(주당 37.5시간) 시간 추이(2016~2021년) 288
[그림 7-3] 노르웨이 인구 특성별 취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303
[그림 7-4] 노르웨이 인구 특성별 비취업자 수 증감률(전년 대비) 304
[그림 8-1] 업종 특성별 취업자 비중과 자영업자 비중(2022년) 344
[그림 8-2] 미국과 유럽의 경기침체 정책대응 차이와 비취업률 353
[그림 8-3] 글로벌 금융위기 동안 실직과 근로시간 단축 후 소득 변화 354
[그림 8-4] 고용유지정책 사용주 부담분 35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