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1. 들어가며 4
2. 인도양 지정학의 변화와 특징 8
가. 단일 패권 없는 분산화된 다극적 지정학 구도 8
나. 기존 강국과 신흥 강국 간 경쟁 부상 9
다. 대륙 중심에서 해양 중심으로 안보 구도의 전환 10
라. 인도양 도서국의 지정학 핵심 축으로의 부상 11
마. 인도양 초크포인트의 지정학적 가치 증가 13
바. 해저 지경학의 부상 15
3. 주요국의 인식과 관여 17
가. 미국 17
나. 인도 19
다. 중국 23
4. 평가와 전망 27
가. 인도양에 대한 미국의 관여 약화와 영향 27
나. 인도양 주도권 확보에 있어 인도의 구조적 한계 28
다. 인도양 도서국들의 헤징 확대 30
5. 정책적 시사점 31
가. 중장기적 관점에서 인도양 지역에 대한 전략적 인식 필요 31
나. 인도양 관여를 위해 인도와의 파트너십 강화 필수 31
다. 역내 다자협의체를 활용한 협력 네트워크 확대 32
라. 인도와의 국방ㆍ방산 협력 확대 33
판권기 2
〈그림 1〉 인도양의 지리적 환경 6
〈그림 2〉 인도양 지역의 해저 광케이블 망 (https://www.submarinecablemap.com/) 15
〈그림 3〉 미국 국방부 통합사령부 1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