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1. 들어가며 4

2. 인도양 지정학의 변화와 특징 8

가. 단일 패권 없는 분산화된 다극적 지정학 구도 8

나. 기존 강국과 신흥 강국 간 경쟁 부상 9

다. 대륙 중심에서 해양 중심으로 안보 구도의 전환 10

라. 인도양 도서국의 지정학 핵심 축으로의 부상 11

마. 인도양 초크포인트의 지정학적 가치 증가 13

바. 해저 지경학의 부상 15

3. 주요국의 인식과 관여 17

가. 미국 17

나. 인도 19

다. 중국 23

4. 평가와 전망 27

가. 인도양에 대한 미국의 관여 약화와 영향 27

나. 인도양 주도권 확보에 있어 인도의 구조적 한계 28

다. 인도양 도서국들의 헤징 확대 30

5. 정책적 시사점 31

가. 중장기적 관점에서 인도양 지역에 대한 전략적 인식 필요 31

나. 인도양 관여를 위해 인도와의 파트너십 강화 필수 31

다. 역내 다자협의체를 활용한 협력 네트워크 확대 32

라. 인도와의 국방ㆍ방산 협력 확대 33

판권기 2

표목차 22

〈표 1〉 2025년 인도의 서인도양 주요 합동 해상 훈련 현황 (저자 작성) 22

〈표 2〉 인도양에서 중국의 주요 군사 훈련 24

〈표 3〉 중국의 인도양 주요 초크포인트와 그 인근에 대한 항만 사업 현황 26

그림목차 6

〈그림 1〉 인도양의 지리적 환경 6

〈그림 2〉 인도양 지역의 해저 광케이블 망 (https://www.submarinecablemap.com/) 15

〈그림 3〉 미국 국방부 통합사령부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