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연구진
서문 / 우원식
요약
목차
Ⅰ. 서론 24
1. 연구의 배경 26
2. 연구의 목적 28
Ⅱ.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30
1. 국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구조와 특성 32
가. 국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구조 32
나. 분석 업종 선정 38
2.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 구조 분석 44
가. 철강 44
나. 시멘트 48
다. 석유화학 53
라. 반도체·디스플레이 57
마. 정유 62
3. 국제 비교 68
가. 주요국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68
나.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69
다.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72
라. 독일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74
마. 프랑스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76
바. 영국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78
Ⅲ.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현황 80
1. 주요국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과 규제 82
가. 미국 84
나. EU 89
2. 국내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현황 94
Ⅳ.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과제와 대응 방안 98
1. 경제적 영향 분석 100
가. 탄소중립에 따른 산업의 변화 100
나. 경제적 영향 102
다. 기회와 도전 요인 111
라. 기후변화의 경제적 영향 전망 113
2. 업종별 영향 분석 118
가. 철강 120
나. 시멘트 124
다. 석유화학 130
라. 반도체·디스플레이 134
마. 정유 138
3. 산업부문 탄소중립 이행 전략 142
가. 저탄소 생산 공정 및 기술 혁신 143
나. 에너지 전환 및 효율화 148
다. 순환경제 및 공급망 혁신 151
라. 정책·인센티브 확대 153
Ⅴ. 결론 및 시사점 162
참고문헌 168
판권기 175
[뒷표지] 176
[그림 Ⅰ-1]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 추이 26
[그림 Ⅰ-2] 2030 온실가스감축 연도별 목표 26
[그림 Ⅱ-1] 주요국 GDP 대비 제조업 비중(2023) 32
[그림 Ⅱ-2] 주요국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비중(2022년) 33
[그림 Ⅱ-3] 산업부문의 화석연료 에너지 소비량 34
[그림 Ⅱ-4] 배출권 수요·공급량 비교('15~'23) 36
[그림 Ⅱ-5] 한국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구조 특성 37
[그림 Ⅱ-6]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유형 구조 39
[그림 Ⅱ-7] 5대 업종의 탄소중립 대응 관련 주요 지표 분석 41
[그림 Ⅱ-8] 철강 산업 대표공정 44
[그림 Ⅱ-9] 국가별 철강 생산량 45
[그림 Ⅱ-10] 국가별 철강제품 수출량 45
[그림 Ⅱ-11] 생산 공정별 철강 생산량 46
[그림 Ⅱ-12] 철강 산업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47
[그림 Ⅱ-13] 시멘트 생산 대표공정 49
[그림 Ⅱ-14] 시멘트 생산 공정별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50
[그림 Ⅱ-15] 시멘트 업체별 생산량 및 가동률(2023년) 50
[그림 Ⅱ-16] 연도별 국내 시멘트 생산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51
[그림 Ⅱ-17] 석유화학 산업의 생산공정 54
[그림 Ⅱ-18] 석유화학 산업 54
[그림 Ⅱ-19] 석유화학 산업 온실가스 배출량 56
[그림 Ⅱ-20] 반도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국가 인벤토리 기준) 60
[그림 Ⅱ-21] 디스플레이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국가 인벤토리 기준) 61
[그림 Ⅱ-22] 주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61
[그림 Ⅱ-23] 정유 산업의 공급망 64
[그림 Ⅱ-24] 상압증류장치 구조도 65
[그림 Ⅱ-25] 정유산업 온실가스 배출량 67
[그림 Ⅱ-26] 미국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69
[그림 Ⅱ-27] 미국 부문별 누적 에너지절약(2000~2021) 70
[그림 Ⅱ-28] 미국 제조업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2) 71
[그림 Ⅱ-29] 일본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72
[그림 Ⅱ-30] 일본 부문별 누적 에너지절약(2000~2022) 73
[그림 Ⅱ-31] 일본 제조업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2) 73
[그림 Ⅱ-32] 독일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74
[그림 Ⅱ-33] 독일 부문별 누적 에너지절약(2000~2021) 75
[그림 Ⅱ-34] 독일 제조업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2) 75
[그림 Ⅱ-35] 프랑스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76
[그림 Ⅱ-36] 프랑스 부문별 누적 에너지절약(2000~2019) 77
[그림 Ⅱ-37] 프랑스 제조업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2) 77
[그림 Ⅱ-38] 영국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78
[그림 Ⅱ-39] 영국 부문별 누적 에너지절약(2000~2022) 79
[그림 Ⅱ-40] 영국 제조업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2) 79
[그림 Ⅲ-1] 무역 교란 산업정책 목표의 구분 83
[그림 Ⅲ-2] 무역 자유화 산업정책 목표의 구분 83
[그림 Ⅲ-3] 주별 청정에너지 의무사용 정책 현황 86
[그림 Ⅲ-4] 주별 재생에너지 인증서 추적 시스템 87
[그림 Ⅲ-5] 유럽연합 배출권 거래 시스템 연도별 배출량 추이 91
[그림 Ⅲ-6] EU ETS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무상할당비율 92
[그림 Ⅲ-7] EU ETS의 배출권 경매 낙찰가격 추이 92
[그림 Ⅳ-1] 탄소중립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결과 101
[그림 Ⅳ-2] 철강부문 CBAM 인증서 부담 비용 전망 106
[그림 Ⅳ-3] 탄소국경세 부과시 우리 수출 영향 106
[그림 Ⅳ-4] 공급망 ESG에 대한 중요도 인식 107
[그림 Ⅳ-5] RE100을 요구 받은 경험 유무 107
[그림 Ⅳ-6] 기업 규모별 녹색기술 특허 보유비율 격차 109
[그림 Ⅳ-7] 탄소중립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도전과 기회 111
[그림 Ⅳ-8]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준 전망 대비 실질 GDP 성장률 감소 전망 115
[그림 Ⅳ-9] 2023~2030년 산업 부문의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추정 130
[그림 Ⅳ-10] 2023~2030년 산업 부문의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추정 13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