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연구진
서문 / 우원식
요약
목차
I. 서론 1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가. 문제의식 20
나. 국제 동향과 시사점 2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9
II. 국내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 32
1. 국내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 현황 34
가. 정권별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 변천사 34
나. 현행법상 중앙부처 및 위원회의 책무 37
2. 국내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 한계점 및 대안 42
가. 국내 기후위기 대응 거버넌스에 관한 문제인식 42
나. 정책 대안 43
다. 정치 여건 45
라. 잠재적 갈등요소 48
III. 해외 탄소중립 추진체계 변화 과정 52
1. 국가별 탄소중립 정책과 경제정책 간 정합성 54
가. 탄소중립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 54
나. 복합적인 한국의 위치 55
2. 기후-에너지 통합부처 신설 국가 사례 58
가. 덴마크 59
나. 영국 62
다. 독일 66
라. 네덜란드 69
마. 국가 간 비교분석 72
3. 기존 부처 기능 강화형 거버넌스 개편 사례 77
가. 프랑스 77
나. 미국 79
다. 일본 81
라. 국가 간 비교분석 84
4. 소결 85
IV. 시사점 88
1. 해외 사례가 주는 시사점 90
2. 위원회의 역할 91
3. 법제도 및 기후정책 지원조직 92
참고문헌 94
판권기 99
[뒷표지] 100
[그림 Ⅰ-1]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 변화(1973~2023) 20
[그림 Ⅰ-2]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 대비 배출량 비교 21
[그림 Ⅰ-3] 2022년 배출원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22
[그림 Ⅰ-4]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연도(2018) 대비 목표연도(2030) 23
[그림 Ⅰ-5] 1994~2016년 제정 또는 발표된 기후변화 관련 법제도 및 행정명령 건수 변화 25
[그림 Ⅰ-6] 2015~2024년 화석연료와 청정연료(화석연료를 제외한 나머지) 투자금액 27
[그림 Ⅱ-1] 기후에너지부, 기후환경부, 기후경제부가 언급된 기사 건수 46
[그림 Ⅲ-1] 환경쿠즈네츠 곡선 55
[그림 Ⅲ-2] 국내 온실가스배출량에 적용된 환경쿠츠네츠 모델 55
[그림 Ⅲ-3] 탄소배출량과 경제성장의 탈동조화 국가(미국, 일본, 독일)와 그렇지 않은 국가(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비교 56
[그림 Ⅲ-4] 별도의 기후 부처를 신설한 국가 수 변화 58
[그림 Ⅲ-5] 별도의 기후 부처 신설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는 이론적 모형 59
[그림 Ⅲ-6] 영국 산업 탈탄소화 전략과 연계된 정책과의 관계도 65
[그림 Ⅲ-7] 네덜란드 경제&기후 부처 조직도 71
[그림 Ⅲ-8] 일본 지구온난화대책 추진본부 거버넌스 8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