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3

국문요약 5

Abstract 7

제1부 미래 노동을 위한 핵심 고용 기술 전망(Ⅰ) 25

01. 총괄 서론 26

제1절 연구의 배경 27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체계 29

02. 미래 핵심 고용 기술 식별 연구의 필요성 31

제1절 미래 노동 환경 변화의 주요 동인: 인구, 기술, 그리고 디지털 전환 32

1. 사회ㆍ경제적 변화와 노동시장 구조의 재편 32

2. 기술혁신과 고용 환경의 변화 32

3. AI, IoT, 양자 등 핵심 기술의 발전 33

제2절 노동시장 필수 기술에 대한 논의 35

1. 미래 직업에 필요한 핵심 역량 식별 35

2. 소프트 스킬(Soft Skills)의 중요성 증대 36

제3절 The Skills Imperative 2035 주요 내용과 함의 37

1. 영국 'The Skills Imperative 2035' 연구 개요 37

2. 영국 'The Skills Imperative 2035' 연구의 주요 내용 38

3. 함의 40

제4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1

1. 연구의 필요성 41

2. 연구의 내용 및 목적 42

03. 사회ㆍ경제적 변화와 직업구조의 변화 44

제1절 국내 산업 AI 기술 도입 현황 45

1. 개요 45

2. 한국 기업의 전반적인 AI 도입 현황 46

3. AI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와 분석의 함의 47

제2절 거시적 측면에서의 미래 노동시장 변화 요인 검토 49

1. 기술발전 50

2. 저탄소 전환 51

3. 인구구조 변화 54

4. 산업구조 변화 59

제3절 국내 고용구조 변화 양상 60

1. 국내 고용구조 변화 분석 60

2. 국내 고용구조 변화 예상 68

04. 미래 환경 변화를 반영한 중장기 인력수요 전망 70

제1절 인력수요 전망 개요 71

1. 인력수요 전망의 목적 71

2. 인력수요 전망 모형 소개 71

제2절 기준선(Baseline) 전망 결과 77

1. 총수요 전망 77

2. 신규수요 전망 87

제3절 미래 환경 변화를 반영한 대안 시나리오 전망 92

1. 대안 시나리오 전망 개요 92

2. 대안 시나리오 전망 결과 105

제4절 소결 115

05. 2035년 미래 노동을 위한 고용 기술 파악을 위한 준비 작업 117

제1절 AI 기술을 활용한 직업분류체계-O*NET 매핑 118

1. O*NET 정보 활용의 필요성 및 연계 방향 118

2. 데이터 설명 120

3. 언어 모델 기반 취업알선직종, O*NET 직업 매칭 처리 121

4. 직업 전문가의 취업알선직종, O*NET 직업 매핑 처리 127

제2절 최근 5년간 주요 변화 129

1. 개요 129

2. 한국표준직업분류와의 연계 분석 130

06. 요약 및 시사점 136

제1절 연구요약 137

제2절 정책 제언 139

1. 직무 기반 정책 설계 체계로의 구조적 전환 139

2. 직무 기반 훈련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적 정책 도입 140

3. 직업별 고용 기술 변화에 대한 사회적 정합성 검토 및 표준화 체계 구축 141

4. 직무 전환을 고려한 직업훈련 체계 및 이행 경로 설계 141

제2부 AI 기반 기술혁명 시대 한국 산업의 미래 전략 연구(Ⅰ) 143

07. 서론 144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45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45

2. 연구의 목적 148

제2절 연구 내용 149

1. 주요 연구 내용 149

2. 기대효과 150

08. AI 기술의 등장과 산업구조 변화 151

제1절 AI 기술혁명의 이해 152

1. 개요 152

2. AI 기술의 정의와 발전 과정 154

제2절 새로운 경제 촉매제로서의 AI 158

1. AI 기술의 창조적 파괴와 생산성 역설 158

2. 생산성 역설(Productivity Paradox)과 노동시장의 재구성 159

제3절 인공지능의 산업별 영향력 168

1. 제조업: 스마트 공장과 서비스화 168

2. 헬스케어 산업: 헬스케어와 기술의 융합 169

3. 금융 산업: 지능형 금융 시스템 171

4. 유통 및 물류 산업: 자율공급망 172

09. AI 관련 주요국 육성정책 점검 174

제1절 주요 국가별 AI 정책 비교 175

1. 미국 175

2. 중국 181

3. 영국 186

4. 독일 191

5. 싱가포르 195

6. EU 199

7. 주요국의 정부 AI 투자 현황 204

제2절 국내 AI 정책 추진 현황 210

1. 주요 계획 및 전략 210

2. 부문별 정책 현황 216

제3절 한ㆍ미ㆍ중 AI 정책 비교 222

1. 개요 222

2. 미국 223

3. 중국 224

4. 국내 AI 정책 225

10. AI의 산업별 수용과 명암 229

제1절 분석 개요 230

1. 인공지능 기술의 영향력 증대 230

2. 인공지능 기술의 산업 변화 실현 가능성 231

3. 분석 목적 231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33

1. AI와 노동시장에 관한 선행연구 233

2. 행정자료 및 온라인 구인공고(OJPs) 데이터 활용 연구 240

3. AI 노출도와 도입 측정 지표의 이론적 검토 241

제3절 분석 방법론 243

1. AI 노출도(AIOE) 측정 방법 243

2. AI 도입률 측정 방법 246

3. 두 지표의 통합 및 연계 분석 방법 248

제4절 처리 시스템 구현 및 기술적 접근 249

1. 데이터 수집 및 가공 249

2. 데이터 처리 시스템 구조 251

제5절 분석 결과 255

1. 한국 기업의 AI 도입 현황 255

2. 업종별 AIOE 분포와 특성 262

3. AIOE와 AI 도입률 간의 관계 분석 265

4. 시사점 269

제6절 소결 271

11. 결론 및 정책 제언 273

제1절 주요 결과 정리 274

1. AI 기술혁명의 본질과 파급력 274

2. AI의 주요 적용 분야 및 혁신 사례 275

3. AI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275

4. 주요국의 AI 정책 동향 276

5. 한국의 AI 정책 현황 276

6. AI 노출도 및 도입률 분석 277

제2절 정책 제언 279

1. 산업별ㆍ기업 규모별 맞춤형 AI 확산 전략 추진 279

2. 기술과 노동의 상생을 위한 미래형 노동시장 구축 280

3. AI 기술 생태계 경쟁력 강화 282

4. AI의 사회ㆍ경제적 신뢰 확보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 정립 283

12. 향후 연구 제안 284

1. 미래 노동을 위한 핵심 고용 기술 전망 285

2. AI 기반 기술혁명 시대 한국 산업의 미래 전략 연구 286

참고문헌 288

1. 미래 노동을 위한 핵심 고용 기술 전망(Ⅰ) 288

2. AI 기반 기술혁명 시대 한국 산업의 미래 전략 연구(Ⅰ) 291

3. 부록 관련 참고문헌 296

[부록 1] The Skills Imperative 2035의 직종별 고용구조 변화 전망 297

[부록 2] O*Net - KECO 연계 작업 예시 301

[부록 3] 대안 시나리오 전망 개요 303

[부록 4] 국가별 글로벌 AI 활동성 지수 315

[부록 5] 국내 AI 정책 텍스트 마이닝 대상 정책 현황 321

판권기 331

표목차 20

〈표 2-1〉 영국 'The Skills Imperative 2035' 연구의 6대 필수 고용 스킬 38

〈표 3-1〉 표준직업대분류별 전일제 변환 취업자 수의 비중의 변화 63

〈표 3-2〉 표준직업중분류별 전일제 변환 취업자 수의 비중의 변화 64

〈표 3-3〉 표준직업소분류별 전일제 변환 취업자 수의 비중이 가장 많이 감소한 20개 직종 66

〈표 3-4〉 표준직업소분류별 전일제 변환 취업자 수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20개 직종 67

〈표 3-5〉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고용 증감이 예상되는 직업 목록(표준직업소분류) 68

〈표 4-1〉 영역 X를 기준으로 한 2기간의 경제활동상태 도식화 75

〈표 4-2〉 2025~2035년 산업 중분류별 총수요 전망 80

〈표 4-3〉 2025~2035년 직종 소분류별 총수요 전망 83

〈표 4-4〉 2025~2035년 직종 소분류별 신규수요 전망 87

〈표 4-5〉 대안 시나리오 전망에 반영한 미래 환경 변화 개요 93

〈표 4-6〉 기준선 전망 대비 기술발전 시나리오에서 신규수요가 증가/감소하는 주요 직종 101

〈표 4-7〉 기준선 전망 대비 고령화 시나리오에서 신규수요가 증가/감소하는 주요 직종 103

〈표 4-8〉 기준선 전망 대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신규수요가 증가/감소하는 주요 직종 104

〈표 4-9〉 기준선 전망 대비 대안 시나리오에서 신규수요가 증가하는 상위 15개 직종 112

〈표 4-10〉 기준선 전망 대비 대안 시나리오에서 신규수요가 감소하는 상위 15개 직종 114

〈표 5-1〉 취업알선직종 매뉴얼 직종별 주요 메타 특징 中 123

〈표 5-2〉 'Software Developers, Applications' 직업 설명을 BPE 토크나이저로 토큰화한 결과 125

〈표 5-3〉 O*NET데이터 모니터링의 기준 127

〈표 5-4〉 직업 간 개념 척도 매핑 기준 128

〈표 5-5〉 O*NET에서 정의한 스킬 목록 129

〈표 5-6〉 최근 5년간 기초 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1

〈표 5-7〉 최근 5년간 학습 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2

〈표 5-8〉 최근 5년간 사회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2

〈표 5-9〉 최근 5년간 문제해결 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3

〈표 5-10〉 최근 5년간 분석 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4

〈표 5-11〉 최근 5년간 기능 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4

〈표 5-12〉 최근 5년간 관리 스킬의 증가 또는 감소가 두드러진 직종 135

〈표 8-1〉 주요 기관별 AI의 경제적 영향 예측 161

〈표 8-2〉 일자리와 기술의 변화 전망(2023~2027) 164

〈표 8-3〉 알고리즘 경영 도구의 도입 현황과 주요 우려 사항(OECD Survey) 166

〈표 9-1〉 National AI R&D Strategic Plan 주요 내용 178

〈표 9-2〉 차세대 인공지능 개발 계획 주요 내용 182

〈표 9-3〉 동수산 공정 5대 과제 및 주요 내용 184

〈표 9-4〉 Growing the AI Industry in the UK와 National AI Strategy 주요 분야별 계획 비교 187

〈표 9-5〉 독일 AI 국가 전략의 12대 분야 192

〈표 9-6〉 German Standardization Roadmap on Artificial Intelligence 주요 내용 195

〈표 9-7〉 AI 협력 계획 주요 정책 및 추진 전략 199

〈표 9-8〉 고위험 AI 시스템 관련 조항 예시 201

〈표 9-9〉 「AI 혁신 패키지」 주요 구성 요소 및 내용 202

〈표 9-10〉 미국의 정부 AI 연구개발 투자 및 민간 투자 변화 추이 204

〈표 9-11〉 중국의 정부 AI 연구개발 투자 및 민간 투자 변화 추이 206

〈표 9-12〉 ICT 연구개발 예산규모 추이 220

〈표 9-13〉 ICT 분야 연구개발 사업의 기술 개발 사업 세부 분야별 예산 현황 221

〈표 9-14〉 주요 국가별 AI 활동성 지표 비교(2023년 기준) 222

〈표 10-1〉 기타 관련 연구 정리 235

〈표 10-2〉 한국숙련분류체계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숙련의 예시 250

〈표 10-3〉 AI 도입 기업과 미도입 기업 AI 노출도 비교 256

〈표 10-4〉 제조업의 AI 도입률 예시 261

〈표 10-5〉 제조업 중 AI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업종 예시 261

〈표 10-6〉 서비스업 클러스터 구성 261

〈표 10-7〉 서비스업 클러스터별 AI 도입률 현황 262

〈표 10-8〉 AI 노출도(AIOE) 척도의 기술통계 특성 262

〈표 10-9〉 산업별 맞춤형 접근의 예시 269

그림목차 22

[그림 1-1] 협동연구 체계 및 보고서 구성 30

[그림 3-1] 미래 노동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9

[그림 3-2] 기후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로 51

[그림 3-3] 생산연령인구 추이(중위) 54

[그림 3-4]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 추이 55

[그림 3-5] 총인구와 고령인구 추이(중위) 56

[그림 3-6] 세계와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 추이 56

[그림 3-7] 한국의 장기경제성장률 전망치 57

[그림 3-8] 표준직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추이 61

[그림 3-9] 표준직업대분류별 전일제 환산 취업자 수 추이 62

[그림 4-1] 인력수급 전망 모형 72

[그림 4-2] KIET-DIMM의 구조 74

[그림 4-3] 2025~2035년 부가가치 전망 78

[그림 4-4] 2025~2035년 취업계수 전망 79

[그림 4-5]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실질부가가치액 전망 94

[그림 4-6]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실질부가가치의 산업별 분포 전망 96

[그림 4-7]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고용계수 전망 97

[그림 4-8]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인력 총수요 전망 98

[그림 4-9]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인력 총수요의 산업별 분포 전망 100

[그림 4-10] 실질부가가치액 전망 비교: 기준선 전망-대안 시나리오 105

[그림 4-11] 실질부가가치의 산업별 분포 전망 비교: 기준선 전망-대안 시나리오 107

[그림 4-12] 고용계수 전망 비교: 기준선 전망-대안 시나리오 108

[그림 4-13] 인력 총수요 전망 비교: 기준선 전망-대안 시나리오 109

[그림 4-14] 인력 총수요의 산업별 분포 전망 비교: 기준선 전망-대안 시나리오 110

[그림 5-1] 분류체계 도식화 119

[그림 5-2] 자연어 기반 1차 매칭 방법론 120

[그림 5-3] 직업 전문가기반 2차 매핑 방법론 121

[그림 5-4] O*NET 데이터 수집 결과(일부 내용 캡처) 122

[그림 5-5] 취업알선직종 분류 매뉴얼 직업 설명(일부 내용 캡처) 122

[그림 5-6] 구글 번역기를 통해 번역한 O*NET 직업 데이터(일부 내용 캡처) 123

[그림 5-7] '취업알선직종 매뉴얼' 메타별 파싱 결과(일부 내용 캡처) 124

[그림 5-8] 취업알선직종 직업 문서를 문서의 BGE-M3 모델 기반 벡터화 결과 中 125

[그림 5-9] 각 도메인별 기준문서 임베딩 결과를 차원 축소하여 시각화 126

[그림 5-10] 취업알선직종 '작가'와 O*NET 직업 간 코사인 유사도 기반 유사도 산출 결과(일부 내용 캡처) 127

[그림 5-11] 7개 그룹별 숙련도의 변화 양상 130

[그림 8-1] 생산성 J-커브(Productivity J-Curve) 161

[그림 9-1] 'NAIS 2.0' 추진 계획 196

[그림 9-2] AI Makerspace 운영 개요 198

[그림 9-3] 정부 AI 연구개발 예산 부문별 현황 205

[그림 9-4] EU의 정부 AI 연구개발 투자 및 민간 투자 변화 추이 207

[그림 9-5] 국가별 AI 총투자 규모 현황 208

[그림 9-6] 국가별 정부 AI 연구개발 투자 비중 현황 209

[그림 9-7] 「인공지능 R&D 전략」 중점 추진 방안 211

[그림 9-8] 인공지능 법ㆍ제도ㆍ규제 정비 로드맵 목표 및 추진 과제 212

[그림 9-9] 「국가 AI 전략」 정책 방향의 비전 및 추진 전략 214

[그림 9-10] 「AI-반도체 이니셔티브」의 기술혁신 과제 추진 계획 216

[그림 9-11] 산업 AI 내재화 전략의 비전 및 추진 전략 218

[그림 9-12] 「교육 분야 인공지능 윤리원칙」 주요 내용 219

[그림 9-13] 글로벌 AI 활동성 주요 세부 지표 비교 225

[그림 9-14] 국내 AI 정책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226

[그림 9-15] 국내 AI 정책 종합 정리(2018~2024년) 228

[그림 10-1] 데이터 처리 흐름도 252

[그림 10-2] AI 기술 도입 현황 분석 255

[그림 10-3] 기업 규모별 AI 도입률 분석 257

[그림 10-4] 연도별 기업 규모별 AI 도입률 추이 257

[그림 10-5] 산업 대분류별 AI 도입률 분석 258

[그림 10-6] 정보통신업 세부 업종별 AI 도입률 분석 259

[그림 10-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세부 업종별 AI 도입률 분석 260

[그림 10-8] 기업 규모별 평균 AI 노출도 263

[그림 10-9] 전문 서비스업 세부 산업별 AI 노출도 264

[그림 10-10] AI 노출도가 낮은 상위 10개 산업 분석 265

[그림 10-11] 업종별 AI 도입률 266

[그림 10-12] 업종별 평균 AI 노출도 267

부표목차 303

[부록 3] 대안 시나리오 전망 개요 303

〈부표 1〉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직종별 신규수요 전망(2025~2035년 누계 기준) 303

[부록 5] 국내 AI 정책 텍스트 마이닝 대상 정책 현황 323

〈부표 1〉 각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직종별 신규수요 전망(2025~2035년 누계 기준) 323

〈부표 2〉 2025~2035년 직종 소분류별 신규수요 전망: 대안 시나리오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