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40
요약문 4
SUMMRY 24
제1장 서론 4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46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추진 방법 48
1. 연구의 목적 48
2. 연구추진 전략 및 프로세스 48
제2장 복합재난 대응 기술 52
제1절 기후위기와 적응기술 52
1. 적응기술의 개념 52
2. 국내ㆍ외 적응기술 정책 추진 현황 65
제2절 복합재난 개념 및 현황 84
1. 복합재난의 정의 및 유형 85
2. 복합재난 범위 94
3. 복합재난 발생 현황 98
4. 복합재난 대응 기술의 필요성 130
제3장 복합재난 대응 R&D 기획 방법론 132
제1절 국내ㆍ외 복합재난 대응 R&D 현황 분석 132
1. 국외 복합재난 대응 R&D 프로그램 분석 132
2. 국내 복합재난 R&D 사업 분석 142
제2절 복합재난 R&D 기획 방법론 정립 175
1. R&D 과제 발굴 및 기획 방법론 조사 175
2. R&D 과제평가 방법론 조사 189
3. 복합재난 대응 R&D 과제 발굴 및 기획 체계 구축 196
제4장 복합재난 대응 R&D 과제 발굴 및 기획 206
제1절 복합재난 대응 R&D 과제 발굴 206
1. 유망기술 Pool 구축 및 기술 제안서 206
2. 복합재난 대응 중점 R&D 과제 발굴 222
제2절 복합재난 대응 최종 10대 R&D 과제 기획 224
1. 주요 R&D 과제 도출 및 기술 개요서 224
2. 복합재난 대응 R&D 최종 10대 과제 선정 227
제5장 요약 및 결론 232
참고문헌 236
[별첨 1]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245
[별첨 2] 재난ㆍ안전 R&D 분류체계 279
[별첨 3] 복합재난 대응 R&D 과제 선정평가 결과(서면 평가지/AHP 조사지) 298
판권기 308
[그림 1-1] 본 과제의 연구추진 전략 49
[그림 1-2] 본 과제의 연구추진 체계 및 방법 49
[그림 1-3] 본 과제의 연구추진 프로세스 51
[그림 2-1] 기후변화 적응 및 물 - 과제 및 대응 조감도 56
[그림 2-2] NSF FY2025 예산요구안 내 4대 테마 67
[그림 2-3] 영국 「넷제로 연구혁신 프레임워크」의 통합적 접근방식 69
[그림 2-4] 프랑스 「국가 기후변화 적응계획」 주요 연혁(1999~2022) 70
[그림 2-5] 복합재난 개념 및 범위 분석 프로세스 84
[그림 2-6] 송창영ㆍ박상훈(2017)에 따른 복합재난 전개 유형 92
[그림 2-7] 윤동근(2017)에 따른 복합재난 전개 유형 93
[그림 2-8] 정부 기후변화 적응 대책 현황 94
[그림 2-9] 기후변화 리스크 선별 프로세스 96
[그림 2-10] 키워드 도출 및 네트워크 분석 프로세스 98
[그림 2-11] (생태계 : 가뭄 - 산불)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03
[그림 2-12] 최근 10년간 산불 재난 발생 현황 및 월별 발생 빈도 105
[그림 2-13] (농수산 : 온도 상승 - 가축ㆍ수산 질병 증가)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06
[그림 2-14] 축산 피해 증가량 및 전국 폭염 위험도 변화 109
[그림 2-15] (국토ㆍ연안 : 폭설 - 육상교통 파손ㆍ중단)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10
[그림 2-16] 폭설에 따른 포트홀 발생 현황 및 철도 운행 지연 113
[그림 2-17] (국토ㆍ연안 : 해수면상승 - 연안 시설물 피해)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15
[그림 2-18] 최근 30년간 해수면 상승률 및 상승 시나리오 117
[그림 2-19] (건강 : 기후ㆍ환경 변화 - 신ㆍ변종 감염병 증가)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18
[그림 2-20] 감염병 발생 경로 및 국내 신종 감염병 120
[그림 2-21] (산업ㆍ에너지 : 폭우 - 태양광 발전 설비 손상ㆍ생산 효율 저하)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22
[그림 2-22] 태양광 발전시설 풍수해 피해 현황 및 집중호우 빈도 125
[그림 2-23] (산업ㆍ에너지 : 강풍 - 송ㆍ변전 시설 손상) 키워드 기준 네트워크 및 빈도수 분석 결과 126
[그림 2-24] 태풍 발생 현황 및 송ㆍ변전 시설 손상 128
[그림 3-1] NSF CHIRRP 개요 133
[그림 3-2] NIRD의 인프라 부분간 연계도 135
[그림 3-3] 식품 분야에서의 기후변화 영향 사슬 139
[그림 3-4] SIP-스마트 방재 네트워크 구축 과제 개념도 141
[그림 3-5] 기후변화 적응 분야 R&D 투자 금액 및 과제 건수 추이 144
[그림 3-6] 연구개발 단계별 R&D 투자 비중 추이 144
[그림 3-7] 중분류별 R&D 투자 비중 추이 146
[그림 3-8] 소분류별 R&D 투자 금액 추이 146
[그림 3-9] 소분류별 R&D 투자 비중 추이 147
[그림 3-10] 2022년 기준 소분류 기술별 연구개발 단계 R&D 투자 비중 148
[그림 3-11] 사업부처별 기후변화 적응 소분류의 기술별 투자 현황 152
[그림 3-12] 생태계 부문의 동시 출현 키워드 분석 결과 154
[그림 3-13] 생태계 부문의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157
[그림 3-14] 국토ㆍ연안 부문의 동시 출현 키워드 분석 결과 159
[그림 3-15] 국토ㆍ연안 부문의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161
[그림 3-16] 농수산 부문의 동시 출현 키워드 분석 결과 163
[그림 3-17] 농수산 부문의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165
[그림 3-18] 건강 부문의 동시 출현 키워드 분석 결과 167
[그림 3-19] 건강 부문의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169
[그림 3-20] 산업ㆍ에너지 부문의 동시 출현 키워드 분석 결과 171
[그림 3-21] 산업ㆍ에너지 부문의 네트워크 시각화 결과 173
[그림 3-22] 기획의 일반적인 과정 176
[그림 3-23] 사업기획의 조직구조 및 진행 절차 178
[그림 3-24] RTA 방법론의 기획 기본 단계 181
[그림 3-25] R&D 기획 프로세스 확립 183
[그림 3-26] 수요기반 R&D 기획 및 운영체계 184
[그림 3-27] 국내 중소기업의 개도국 진출을 위한 맞춤형 R&D 과제 발굴 프로세스 185
[그림 3-28] 에너지 부문 기술 수요-공급 간 상관관계 분석 186
[그림 3-29] 수송 부문 기술 수요-공급 간 상관관계 분석 186
[그림 3-30] 개도국 수요 대응 기후기술 감축분야 국내 유망기술 사업기획 추진 프로세스 187
[그림 3-31] 기상/기후 분야 신규 사업기획 추진 프로세스 187
[그림 3-32] 탄소중립 글로벌 R&D 협력 촉진 사업기획 연구 프로세스 188
[그림 3-33]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기준 189
[그림 3-34] 과제 선정평가를 위한 AHP 계층구조 구성 195
[그림 3-35] 평가지표 가중치 산정을 위한 AHP 9점 척도 195
[그림 3-36] 복합재난 R&D 기획 단계 및 단계별 주요 활동과 활용기법 197
[그림 3-37] 복합재난 R&D 과제 발굴 및 기획 세부 추진 프로세스 198
[그림 3-38] ADAT2 프레임워크 199
[그림 3-39] 기술 제안서/기술 개요서/상세 기술서 작성 양식 구성 200
[그림 3-40] 복합재난 대응 R&D 과제 선정평가 프로세스 201
[그림 3-41] 2차 서면 평가지표에 대한 AHP 가중치 조사 모델 203
[그림 4-1] 생태계 분과 기획위원회 착수 회의 207
[그림 4-2] 농수산 분과 기획위원회 착수 회의 208
[그림 4-3] 국토ㆍ연안 분과 기획위원회 착수 회의 209
[그림 4-4] 건강 분과 기획위원회 착수 회의 210
[그림 4-5] 산업ㆍ에너지 분과 기획위원회 착수 회의 212
[그림 4-6] 유망기술 Pool의 재난 안전 유형 분류에 대한 선버스트 차트 217
[그림 4-7] 유망기술 Pool의 재난 안전 유형의 분류에 따른 통계분석 결과 218
[그림 4-8] 유망기술 Pool의 재난 관리 단계 분류에 대한 트리맵 차트 219
[그림 4-9] 유망기술 Pool의 재난 관리 단계의 분류에 따른 통계분석 결과 219
[그림 4-10] 유망기술 Pool의 ADAT2 프레임워크 분류 결과 221
[그림 4-11] 유망기술 Pool의 ADAT2 프레임워크 분류에 따른 통계분석 결과 2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