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2

요약문 3

Ⅰ. 서론 18

1. 연구 배경 19

2. 연구 방향 21

3.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22

Ⅱ. 인공지능과 광고산업 23

1. 인공지능 시대, 광고산업의 공진화 25

1) 주목 경제 시대의 광고 25

2) 지능화된 맞춤형 광고 26

3) 생성형 인공지능의 확산 27

2.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법제도 29

1) 소비자/이용자 보호 30

2) 인공지능 법제화 동향 32

3. 인공지능 시대, AI 교육 37

1) AI 리터러시 38

2) 광고제작 AI 공공인프라, 아이작(AiSAC) 39

Ⅲ. 새 정부 국정과제 42

1. 인공지능 관련 주요 국정과제 44

2. 미디어ㆍ광고 관련 주요 국정과제 54

Ⅳ. 미디어광고산업 AI 추진과제 61

1. 광고를 활용한 AI 디지털 문해력 강화교육: AIE = AI + Education = AD In Edu 62

1) 이슈현황 62

2) 미래 모습 69

3) 해결방안 73

2. AI 기반 생애주기 맞춤형 광고 리터러시 교육 83

1) 이슈현황 83

2) 미래 모습 88

3) 해결방안 91

3. AI 실무역량 강화 단기 집중형 광고 교육 워크숍 운영사업 96

1) 이슈현황 96

2) 미래 모습 100

3) 해결방안 104

4. AI 기반 광고 인력 재교육 및 산업 역량 강화 114

1) 이슈현황 114

2) 미래 모습 119

3) 해결방안 121

5. AI 광고윤리ㆍ준법 전문가 양성 및 자율규제 지원사업 125

1) 이슈현황 125

2) 미래 모습 130

3) 해결방안 132

6. AI 기반 시민참여형 공익광고 제작 및 홍보 137

1) 이슈현황 137

2) 미래 모습 139

3) 해결방안 141

7. 우리의 공익광고를 세계의 공익광고로: AI를 활용한 K공익광고 148

1) 이슈현황 148

2) 미래 모습 153

3) 해결방안 155

8. AI 활용 광고윤리ㆍ투명성 관리체계 구축 162

1) 이슈현황 162

2) 미래 모습 168

3) 해결방안 171

9. AI 광고 콘텐츠 진위 표시 및 출처 라벨링 정책 사업 175

1) 이슈현황 175

2) 미래 모습 183

3) 해결방안 186

10. AI 기반 광고 진위성 탐지 및 신뢰성 증명 사업 195

1) 이슈현황 195

2) 미래 모습 205

3) 해결방안 206

11. AI 기반 광고 수용자 주의(attention) 예측 모델 개발 211

1) 이슈현황 211

2) 미래 모습 215

3) 해결방안 218

12. AI 미디어ㆍ광고 스타트업 집중 지원사업 222

1) 이슈현황 222

2) 미래 모습 227

3) 해결방안 229

Ⅴ. 결론 235

1. 연구결과 요약 236

2. 연구의 의의와 후속 과제 242

참고문헌 244

판권기 264

표목차 14

〈표 2-1〉 「유럽연합 인공지능법 (EU AI Act)」(2024) 34

〈표 2-2〉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2025) 36

〈표 3-1〉 새 정부 인공지능 관련 주요 국정과제 및 추진내용 48

〈표 3-2〉 새 정부 미디어ㆍ광고 관련 주요 국정과제 및 추진내용 57

〈표 4-1〉 부처별 교육기관과 교육 내용 68

〈표 4-2〉 단계별 추진계획 80

〈표 4-3〉 추진과제 요약 81

〈표 4-4〉 생애주기별 광고 노출 패턴 및 취약성 분석 86

〈표 4-5〉 AI 기반 광고 리터러시 교육 vs 기존 교육 비교 87

〈표 4-6〉 단계별 추진계획 93

〈표 4-7〉 추진과제 요약 95

〈표 4-8〉 AI 광고 실습 도구 활용 계획(예시) 105

〈표 4-9〉 광고산업 재직자 대상 1일 집중 워크숍 커리큘럼(예시) 108

〈표 4-10〉 광고산업 예비인력 대상 2일 집중 워크숍 커리큘럼(예시) 109

〈표 4-11〉 단계별 추진계획 110

〈표 4-12〉 추진과제 요약 113

〈표 4-13〉 단계별 추진계획 122

〈표 4-14〉 추진과제 요약 124

〈표 4-15〉 단계별 추진계획 133

〈표 4-16〉 추진과제 요약 135

〈표 4-17〉 단계별 추진계획 143

〈표 4-18〉 추진과제 요약 147

〈표 4-19〉 한국 ODA 최근 5년 현황 150

〈표 4-20〉 국내 공익광고 제작 편수 153

〈표 4-21〉 대국민 개발 커뮤니케이션의 성공 요인 154

〈표 4-22〉 타당성 조사시 주요 확인 및 협의사항 155

〈표 4-23〉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ODA 기관 협력 모델 156

〈표 4-24〉 공익광고 ODA 사례(미얀마 진출의 예) 157

〈표 4-25〉 단계별 추진계획 159

〈표 4-26〉 추진과제 요약 161

〈표 4-27〉 단계별 추진계획 172

〈표 4-28〉 추진과제 요약 174

〈표 4-29〉 단계별 추진계획 190

〈표 4-30〉 추진과제 요약 194

〈표 4-31〉 AI 영상의 진위성ㆍ신뢰성 증명이 이뤄지지 않은 사례 196

〈표 4-32〉 단계별 추진계획 207

〈표 4-33〉 추진과제 요약 209

〈표 4-34〉 해외 정책 및 사업 모범 사례 217

〈표 4-35〉 단계별 추진계획 219

〈표 4-36〉 추진과제 요약 221

〈표 4-37〉 단계별 추진계획 231

〈표 4-38〉 추진과제 요약 233

〈표 5-1〉 인공지능 및 미디어ㆍ광고 관련 주요 국정과제 237

〈표 5-2〉 미디어ㆍ광고산업 인공지능 국정과제 추진방안 239

〈표 5-3〉 미디어광고산업 관련 국정과제 핵심사업 242

그림목차 16

[그림 1-1]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체계도 20

[그림 1-2] 연구개요 22

[그림 2-1] 「인공지능법(EU AI Act)」 인공지능 위험 수준 분류 33

[그림 2-2] 광고제작 AI 공공인프라, 아이작(AiSAC) 39

[그림 3-1]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체계도 43

[그림 4-1] 영국의 Media Smart와 미국의 IAM 70

[그림 4-2] 영국 미디어 스마트 후원기관 70

[그림 4-3] 싱가포르 미디어 리터러시 위원회 72

[그림 4-4]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아이작(AiSAC)' 74

[그림 4-5] 광고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비전과 전략 78

[그림 4-6] 광고활용교육의 추진체계 79

[그림 4-7] AI 기반 광고 제작 플랫폼 '아이작(AiSAC)' 99

[그림 4-8] 영국 DMI의 'AI in Digital Marketing' 교육과정 101

[그림 4-9] 우리나라 ODA 현황 150

[그림 4-10] 공익광고의 프로세스 158

[그림 4-11] C2PA 콘텐츠 출처 및 신뢰성 검증 178

[그림 4-12] 콘텐츠 유형별 AI 생성물 라벨링 도입 현황 182

[그림 4-13] EU AI법 위험 기반 구분 및 예시 183

[그림 4-14] Meta 인스타그램 광고 AI Info 라벨링 사례 185

[그림 4-15] 딥페이크 탐지기술 구성도(KETI) 199

[그림 4-16] C2PA의 AI생성영상의 진위성 검증을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의 예 201

[그림 4-17] 한국방송협회의 방송광고심의 체계도 204

[그림 4-18] 광고 주목시간과 브랜드 지표 간 상관관계 213

[그림 4-19] 데이터 댐 프로젝트 225

[그림 4-20] 문화체육관광부의 AI 영상 콘텐츠 제작 지원사업 226

[그림 4-21] 영국 창조산업 지원 정책의 주요 성과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