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4
CHAPTER 1. 연구의 개요 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8
1) 연구 배경 8
2) 연구 목적 12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1) 연구 범위 13
2) 연구 방법 14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5
1) 선행연구 현황 15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15
4. 연구의 기대효과 17
CHAPTER 2. 이론 고찰 및 국내 세대통합 공간 조성의 필요성 18
1.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의 정의 19
1) 세대통합의 개념 19
2)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의 개념 25
3) 본 연구에서의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 정의 28
2. 국내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 조성의 필요성 31
1) 인구감소 및 사회적 변화 관점에서의 필요성 31
2) 지역 균형성장 관점에서의 필요성 39
CHAPTER 3. 독일과 일본의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 조성 사례 49
1. 독일 사례: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만들기 사업 50
1) 독일의 균형발전 정책과 세대통합 정책 50
2)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조성 사례 82
2. 일본 사례: 장소기반 세대통합 거점공간 조성 전략 95
1) 일본의 장소 기반 세대통합 거점공간 조성 배경 95
2) 일본의 장소 기반 세대통합 거점공간 조성 사례 분석 99
3. 소결 112
1) 독일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112
2) 일본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115
3) 해외사례를 통한 시사점 118
CHAPTER 4. 국내 세대통합 관련 정책 및 사례조사 121
1. 국내 세대통합 관련 정책 현황 122
1)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122
2)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126
3) 생활SOC 복합화 사업 129
4) 소결 132
2. 국내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 사례조사 134
1) 사례 선정 및 인터뷰 내용 134
2) 국내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 사례조사 135
3. 국내 사례의 특징과 한계 155
CHAPTER 5. 결론 및 정책 제안 158
1. 결론 159
2. 정책 제안 164
1) 인구구조 변화 대응 전략으로써 세대통합의 중요성 공론화 164
2) 균형성장과 인구정책 관점에서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의 역할 부여 165
3) 중ㆍ장기적 차원의 예산 지원과 정부 차원의 지원 체계 구축 167
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68
참고문헌 170
SUMMARY 187
[부록]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의 균형발전 기여도 평가 지표 191
판권기 195
그림 2-1.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의 개념 및 역할 30
그림 2-2. 자연증가 추이, 1970~2024년 31
그림 2-3. 국내 인구구조 및 인구특성 변화 전망 32
그림 2-4. 시도별 1인가구 구성비 및 증감률(2020~2050년) 34
그림 2-5. 다른 세대와 대화ㆍ협업ㆍ공감하는 것에 대한 느낌 36
그림 2-6. 사회통합 문제의 등장 37
그림 2-7. 생애주기별 국내 삶의 질 연구 주제 38
그림 2-8. 시군구별 장래 소멸 위험지역 41
그림 2-9.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세대교류의 종류 47
그림 2-10.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의 필요성 48
그림 3-1. 독일 자연적 인구수 변화 및 순이동 51
그림 3-2. 독일의 성별ㆍ나이별 인구구조 변화 전망(1990년 대비 2025, 2050, 2070년) 51
그림 3-3. 독일 1995~2017 인구 증감 변화와 2017~2035 예상 인구 증감 변화 지도 52
그림 3-4. 사회 문제 해소와 균형발전을 위한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만들기' 사업 57
그림 3-5.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만들기' 사업의 세대통합 작용 메커니즘 60
그림 3-6. 연방프로그램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만들기: 함께, 서로를 위하여'의 성과 구조도 66
그림 3-7.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만들기' 사업의 위치와 지역의 특징 분석 67
그림 3-8. 노르덴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83
그림 3-9. 토르게로우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세대통합 하우스' 84
그림 3-10. 슐레스비히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틸로 만남카페' 활동 86
그림 3-11. 트로이스도르프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인터네셔널 하우스' 활동 88
그림 3-12. 크렙스푀르덴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지역커뮤니티센터' 활동 89
그림 3-13. 하스푸르트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열린 만남공간 카페 비스트로' 활동 91
그림 3-14. 라이프치히 지역의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하우스 슈타인슈트라쎄 등록협회' 활동 93
그림 3-15. 일본의 인구 및 고령자인구 전망 95
그림 3-16. 후쿠이시 공민관 내ㆍ외부 모습 101
그림 3-17. 요코하마시 230카페 내ㆍ외부 모습 102
그림 3-18. 도야마시 복합커뮤니티센터 내ㆍ외부 모습 103
그림 3-19. 오카야마시 히로바관 내ㆍ외부 활동 모습 104
그림 3-20. 기후현 야오마치 복지회관 외부 전경 107
그림 3-21. 오슈시 이중돌봄카페 활동 자료 108
그림 3-22. 오슈시 이중돌봄카페 활동 자료 109
그림 3-23. 오슈시 이중돌봄카페 활동 자료 111
그림 4-1.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비전 및 로드맵 123
그림 4-2. 농촌재생활성화지역 단위의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 개념도 128
그림 4-3. 생활SOC 복합화 개념 129
그림 4-4. 울산마을교육공동체거점센터 공간 Ⅰ 139
그림 4-5. 울산마을교육공동체거점센터 공간 Ⅱ 140
그림 4-6. 송악마을공간 해유 공간 146
그림 4-7. 송악마을공간 해유 작품과 강당 147
그림 4-8. 동구나무아래센터 공간 Ⅰ 153
그림 4-9. 송악마을공간 해유 작품과 강당 154
그림 5-1. 지역에서 장소기반 세대통합 공간의 의미와 역할 발전 단계 16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